1. No Image

    보리

    학명 : 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L.) Asch.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보리속(Hordeum)
    이명 : 것보리 겉보리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선상 피침형으로 뒤로 젖혀지지 않고 폭 10-15mm이며 녹색바탕에 다소 흰빛이 돌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둘러싸는 엽초로 된다. 엽설은 짧으며 엽초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수상화서는 길이 5-8㎝이고 소수가 3개씩 화서축 좌우에 달리므로 6개의 줄로 나타나며 소수는 1개의 꽃으로 된다. 포영에는 2맥이 있고 호영 끝에 까락이 있거나 없으며 수술은 3개이다.

    줄기 : 높이 1m정도 자라며 원줄기는 속이 비고 원주형이며 마디가 높고 마디사이가 길다.

    분포 : 재배작물로서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쌀보리(var.nudum HOOKER fil.): 영과가 잘 떨어진다.
    특징 : ▶주요한 재배작물의 하나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Brandenburg 1: 873. (186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꼬리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formosana (Christ) C.Chr.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관중속(Dryopteris)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ndex Filic. 266 (C.Chr., 1905)

    Read More
  3. No Image

    좀짚신나물

    학명 : Agrimonia pilosa var. nipponica (Koidz.) Kitamura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짚신나물속(Agrimonia)






    분포 : 한반도(제주) 일본


    특징 : 기본종인 짚신나물에 비해 전체가 약간 섬세하며 털도 연하고 소엽은 3-5개로 끝이 둔하며 꽃잎은 장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게 끝난다(잎뒤에 선점이 적고 꽃의 지름 5mm내외 구자는 2mm 내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20: 199 (1962)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4. No Image

    진득찰

    학명 : Sigesbeckia glabrescens (Makino) Makino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진득찰속(Sigesbeckia)
    이명 : 민진득찰진둥찰찐득찰희첨
    잎 : 잎은 대생하며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길고 길이 5~13cm 폭 3.5~11cm로서 난상 삼각형이며 예두 절저이거나 엽병으로 흐르는 엽신과 더불어 예저이고 양면에 짧은 복모가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기부에 3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긴 타원형 또는 선형으로 되며 엽병이 없어진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황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경은 길이 1-3cm로서 짧은 털이 있다. 총포편은 5개이며 주걱모양으로 퍼지고 내포편은 꽃을 둘러사며 모두 녹색으로서 선모가 밀생한다. 설상화관은 길이 1.5-2.5mm로서 황색이고 끝이 3개로 얕게 갈라지며 통상화는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10월에 익으며 도란형이고 4개의 능각이 있으며 길이 2mm로서 다름 물체에 잘 붙으며 관모가 없다.
    줄기 : 원줄기에 복모가 있고 원주형이며 곧게 서고 가지가 마주 갈라지며 갈자색이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원줄기와 잎에 복모가 있어 얼핏보기에 털이 없는 것같이 보이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 : 25 (191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5. No Image

    카나리새풀

    학명 : Phalaris canariensis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갈풀속(Phalaris)

    잎 : 잎새는 길이 10-30㎝ 폭 0.5-1㎝이다. 잎집은 등이 둥글고 잎집 구부에 있는 엽설은 높이 3-6㎜이고 끝의 잎집은 팽대(膨大)된다.
    꽃 : 6-9월에 꽃이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3-5㎝ 폭 1-2㎝로 장타원형 또는 원추형이며 백록색을 띠우며 소수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소수는 도란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길이 5-9㎜로 납작하며 3개의 소화로 이루어진다. 포엽은 영존성이며 2개가 모두 모양과 크기가 같고 길이 5-6㎜ 진한 초록색의 폭넓은 3맥이 뚜렷하며 중앙맥을 경계로 강하게 접혀서 용골이 되며 용골 부위에 톱니가 없는 반달모양의 지느러미가 있다. 3개의 소화 중 제1 제2 소

    줄기 : 줄기는 높이 20-60㎝로 곧게 서며 기부에서 많은 가지를 치고 털이 없다.

    분포 : 유럽 서아시아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경기도 원당의 고양시 종합운동장 건설 예정 공한지에서 다수 발견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갈풀(Phalaris arumdinacea): 높이 70-180㎝로 식물 전체가 크며 원추화서의 길이 5-25㎝로 처음은 화지가 직립하여 수상화서처럼 보이나 후에 옆으로 펼쳐저 원추화서가 된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3(4)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IV) (박수현, 1993)
    Read More
  6. No Image

    큰수리취

    학명 : Synurus excelsus (Makino)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수리취속(Synurus)
    이명 : 산수리취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며 삼각형이고 예두이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10-21㎝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백색 면포가 밀생하여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결각상으로 갈라지며 뾰족한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지고 난상 삼각형으로서 밑부분이 절저 또는 예저이며 엽병은 짧아지거나 없어진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밑을 향해 달리며 총포는 둥글고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으며 길이 3cm 나비 3-5cm이고 포편은 여러 줄로 배열되며 바깥쪽으로 점차 짧아지지만 모두 끝이 뾰족한 선상 피침형으로서 중앙부의 나비가 2-3mm이다. 화관은 길이 25mm이고 흑자색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6mm 지름 3mm로서 털이 없으며 흑색 점이 있고 관모는 길이 20mm로서 갈색이다.
    줄기 : 높이 1-2m이고 자줏빛이 돌며 거미줄 같은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2: 48 (193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향기풀

    학명 : Anthoxanthum odoratum L. var. odoratum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향기풀속(Anthoxanthum)
    이명 : 버어날그리스봄쇠미기풀
    잎 : 잎은 길이 5-10㎝ 폭 3-6㎜로서 밋밋하고 털이 없는 것과 긴 털이 있는 것이 있으며 엽설은 난형이고 길이 2-3mm이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화수(花穗)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4-7cm 폭 7-15mm이고 가지는 짧고 거칠며 흔히 털이 있다. 소수(小穗)는 1개의 꽃으로 되고 피침형이며 길이 8㎜이고 소축(小軸)은 꺼칠꺼칠하다. 포영은 길이가 같지 않으며 끝이 까락처럼 뾰족하고 중륵 윗부분에 잔돌기와 더불어 때로는 털이 있으며 겉에 잔점과 1-3맥이 있다. 불결실성 외영은 종이질같은 막질이고 갈색이며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으며 5맥이 있고 밑부분

    줄기 : 높이 20-50cm이고 향기가 있으며 화경(花莖)이 갈라지지 않고 밀생하며 가냘프다.

    분포 :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금억새

    학명 : Miscanthus sinensis var. chejuensis (Y.N.Lee) Y.N.Lee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억새속(Miscanthus)

    잎 : 잎은 노란빛을 띤 녹색이다.
    꽃 : 꽃은 9~10월에 황금색으로 핀다. 화수에 가지가 선다.
    열매 :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한국(제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9. No Image

    꼬랑사초

    학명 : Carex mira Kuk.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잎 : 잎은 새로 나온 것은 서며 폭 2mm정도로서 꽃이 진 다음 자라고 마른 것은 엉켜서 남는다. 밑부분의 엽초는 황갈색이며 밑부분은 짙은 적색이고 그물처럼 갈라짐.
    꽃 : 소수는 2-4개가 서로 접근하여 서며 정소수는 수꽃이고 검은 적갈색이며 길이 15-20mm로서 넓은 선형이고 다른 것은 암꽃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0mm 지름 6mm로서 대가 없다. 첫째 포는 대를 싸고 있으나 통으로 되지 않으며 끝이 까락같고 자화영은 길이 2.5-3mm로서 검은 적갈색 1맥이 있고 가장자리는 백색 막질로서 털이 약간 있으며 둥근 끝에 까락이 있다. 암술대는 곧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과포는 길이 3-3.5mm로서 난상 방추형이고 늑맥외에는 맥이 없으며 복모가 있고 천천히 좁아져서 짧은 부리로 되며 끝부분은 흑색이고 2개로 갈라짐.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 있으며 길이 2mm로서 세모진 방추형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20-40cm이다.

    분포 : 지리산 산록의 숲속과 원산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산양지사초 (C.montana L.) : 과포는 맥이 없고 세모진 도란형이며 끝이 갑자기 부리로 되고 백두산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Herb. Boissier. 2 ser. 5: 1161 (190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넓은잎외잎쑥

    학명 : Artemisia stolonifera (Maxim.) Ko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쑥속(Artemisia)
    이명 : 너른외잎쑥넓은외잎쑥넓은잎외대쑥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경생엽은 포행하며 흔히 날개가 있는 짧은 엽병이 있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7-14cm 폭 4.5-8cm로서 가탁엽(假托葉)이 있고 우상으로 얕게 또는 중앙까지 갈라진다.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2쌍이며 서로 가깝게 붙어 있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표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조금 있고 뒷면에는 백색 면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가면서
    꽃 : 꽃은 8-9월에 황갈색으로 피며 길이 4-4.5cm 폭 3-4mm로서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고 총포에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내편은 긴 타원형이며 원두이다. 가장자리의 10-12개 암꽃은 화관이 통상송곳형으로서 길이 1.5-2mm이고 가운데 11-14개의 양성화는 통상종형으로서 길이 2-2.5mm이다.
    열매 : 수과는 타원형으로 길이 1.8mm 지름 0.6mm정도이며 털이 없고 긴 타원형이며 암갈색이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처음에는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으며 줄기는 곧게서고 홈줄이 있으며 홍자색을 띠고 있다.
    뿌리 : 지하경이 사방으로 벋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25 : 676 (190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1. No Image

    목포대극

    학명 : Euphorbia pekinensis var. subulatifolius (Hurus.) T.B.Lee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대극속(Euphorbia)
    이명 : 목포버들옻 )
    잎 : 잎은 호생하고 밀생 피침형 선상 피침형 끝이 둔하거나 둥근 모양이고 길이는 4~7cm이다. 중륵이 뒷면 끝까지 돌출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줄기 끝의 잎은 윤생하며 다른 잎과 비슷하다.
    꽃 : 꽃은 5월에 황록색으로 핀다. 배상화서가 달린다. 총포는 잎 모양으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1~2cm이다. 선체는 다소 선형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겉은 돌기가 밀생하고 둥근 모양이다.
    줄기 :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제주도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eoul Nat. Univ., Coll. of Agric. Bull. 8(1) : 98 (1983)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12. No Image

    버들분취

    학명 : Saussurea maximowiczii Herd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취나물속(Saussurea)
    이명 : 각시버들분취 개분취 톱날분취 톱분취 한라분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고 길이 5~22cm의 엽병이 있다. 경생엽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며 길이 10~30cm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고 측열편은 4~6쌍으로서 서로 떨어져 있으며 도피침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으며 불규칙하게 갈라지기도 하고 정열편이 작다. 윗부분의 잎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으며 뒷면에 선점과 더불어 백색털이 약간 있고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여러 개의 자홍색 통꽃만으로 이루어진 두상화가 줄기나 가지 끝에 산방화서를 이루고 지름 10mm이다. 총포는 좁은 통형이고 길이 10-14mm 지름 6mm로서 거미줄같은 백색 털로 덮여 있으며 자주색이고 포편은 8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짧고 난형이며 중편은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내편은 선형 둔두이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1-13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5mm 지름 1.5-2mm로서 적자색 줄이 있고 관모는 2줄이며 길이 9mm이고 백색이며 우상으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가 50-160cm에 달하고 곧게 서며 짧은 털과 선점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톱분취 (for.serrata Kitam.): 잎이 깊게 갈라지지 않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Natur. Mosc. 41, 3: 14 (186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13. No Image

    물별

    학명 : Elatine triandra var. pedicellata Krylov
    과명 : 물별과(Elatinaceae)
    속명 : 물별속(Elatine)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4. No Image

    섬사스레피나무

    학명 : Eurya japonica f. integra (Nakai) T.B.Lee
    과명 : 차나무과(Theaceae)
    속명 : 사스레피나무속(Eurya)

    잎 : 잎에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며 혁질이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넓은 피침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3-8cm 폭 1-3cm로서 사스레피나무와 달리 톱니가 없다. 표면에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황록색이고 엽병은 길이 1-5mm이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4월에 피며 지름 5-6mm이고 연한 황록색이며 전년지의 엽액에 1-2개씩 달리고 화경은 길이 1-2mm이며 소포는 2개이고 끝까지 남아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둥글고 자흑색이며 길이 1-1.5mm로서 가장자리가 막질이고 꽃잎도 5개로서 기부가 합생하며 자백색이고 길이 3-4mm이다. 수꽃의 수술은 10-15개이며 암꽃의 꽃잎은 길이 2mm로서 수술이 없고 자방이 둥글다.
    열매 : 열매는 지름 5-6mm로서 10월에 자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어린 가지에 털이 없다.

    분포 : 전남과 경남 등 따뜻한 지역의 표고 1 000m 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유사종 : ▶사스레피나무(Eurya japonica Thunb.): 잎은 어긋나며 길이 3~8㎝ 넓이 1~3㎝의긴타원형으로 두껍다. ▶떡사스레피(var. aurescens Rehder et Wils.): 잎이 넓고 두꺼우며 화주가 떨어져 있고 마르면 황색으로 되는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Woody Pl. Kor. 316 (1966)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5. No Image

    알방동사니

    학명 : Cyperus difformis L.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방동사니속(Cyperus)
    이명 : 알방동산이
    잎 : 잎은 납작한 선형이고 길이 15-25cm 폭 2-5mm이며 질이 유연하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는 껄끄럽다. 엽초는 빽빽하게 줄기를 감싸고 털이 있거나 없으며 황갈색이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화서는 단순하거나 갈라지며 때로는 둥글게 되어 소수가 밀생하고 지름 7cm정도이다. 포는 줄기 꼭대기에 달리고 2-3개이며 화서보다 훨씬 길고 가지는 0-6개로서 길이가 같지 않고 긴 것은 길이 5cm정도이다. 소수는 길이 3-10mm로서 선형이며 흑갈색이고 다시 밀착하여 지름 8-15mm의 구상(球狀) 화서를 형성하며 약간 부풀고 10-20개의 꽃이 달린다. 인편은 도란형이고 막질이며 길이 0.5mm정도로서 끝이 둥글면서 파지고
    열매 : 수과는 세모진 도란형으로서 길이 0.5mm가량이며 색이 연하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총생하며 높이 25-60cm이고 3능형이며 털이 없다.

    분포 : ▶구대륙의 온대와 열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enter Pl. Conservation. 2: 6 (175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일본조팝나무

    학명 : Spiraea japonica L.f.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조팝나무속(Spiraea)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1-8cm 폭이 0.8-4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예리한 톱니가 있거나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예저이며 뒷면은 색이 연하거나 백색이고 양면 또는 뒷면에 털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엽병은 길이 1-5mm로서 털이 있거나 없다.
    꽃 : 꽃은 6월경에 피며 지름 3-6mm로서 연한 분홍색이고 가지끝의 산방화서에 모여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0.4-0.6cm이고 꽃받침잎은 소화경과 더불어 털이 있거나 없으며 열편은 난형이고 점차 뒤로 젖혀진다. 꽃잎은 5개이며 난형 또는 원형으로서 밑부분에 뾰족한 돌기가 있다. 수술은 꽃잎보다 훨씬 길고 많으며 꽃밥은 백색이고 화반(花盤) 둘레에 밀선(蜜腺)이 있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 5개이고 길이 2-3mm이며 털이 없고 8-9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지에 능각이 없으며 털이 있는 것도 있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uppl. Pl. 262 (1781)
    참고문헌 : 1) 관악수목원 보고 (이창복, 197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자귀풀

    학명 : Aeschynomene indica L.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자귀풀속(Aeschynomene)

    잎 : 잎은 엽병이 짧고 20-30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선상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길이 10~15mm 폭 2~3.5mm로서 뒷면이 분백색이다. 탁엽은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7-12mm로서 약간 윗부분에 달린다.
    꽃 : 총상화서는 엽액에 달리고 1-2개의 잎과 2-3개의 꽃이 달리며 꽃은 7월에 피고 길이 1cm정도로서 황색이며 포는 탁엽과 비슷하지만 보다 작고 소포는 꽃받침 밑부분에 달리며 녹색이다. 꽃받침은 밑부분에서 2개로 갈라지고 길이 5mm정도로서 막질이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대개 털이 없고 편평한 선형이며 길이 7~8mm의 대와 더불어 길이 3-5cm 나비 5mm이고 6-8개의 마디가 있으며 익으면 마디사이의 양쪽에 주름이 생긴다.
    줄기 : 높이 50-80cm로서 줄기는 연하고 윗부분은 속이 비어 있으며 흔히 원줄기 엽축 및 화경에 반구형의 기반이 있는 잔털이 드문드문 돋는다.

    분포 : 전국 각 처.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분절이 있어 차풀과 크게 구별할 수 있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참깨

    학명 : Sesamum indicum L.
    과명 : 참깨과(Pedaliaceae)
    속명 : 참깨속(Sesamum)

    잎 : 잎은 마주나고 줄기 윗부분에서는 때때로 어긋나며 엽병이 길고 길이 10cm의 긴 타원 모양 또는 바소꼴이다. 잎 끝 부분은 뾰족하고 밑 부분은 거의 둥글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줄기 밑 부분에 달린 잎은 폭이 넓고 가장자리의 톱니가 발달해 3개로 갈라지기도 하며 엽병 밑 부분에 노란 색의 작은 돌기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연분홍색으로 피고 줄기 윗부분에 있는 잎겨드랑이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화관은 통 모양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인데 그 중에 2개가 길고 1개의 헛수술이 있으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씨방은 4실이고 주변에 털이 빽빽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길이 2∼3cm의 원주형이며 약 80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흰색 노란색 검은색이다.
    줄기 : 줄기는 단면이 네모지고 여러 개의 마디가 있으며 높이가 1m에 달하고 흰색 털이 빽빽이 있다.
    뿌리 : 뿌리는 곧고 깊게 뻗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9. No Image

    큰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hikonensis (H.Ito) Nakaike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관중속(Dryopteris)

    잎 : 엽병은 길이 20-50㎝로서 인편이 밀생하고 인편은 흑갈색 또는 흑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실처럼 길며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지고 짧아진다. 엽신은 길이 30-60㎝ 폭 20-40㎝로서 넓은 난형이고 윗부분이 갑자기 좁아지며 표면에 윤채가 있다. 우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중앙에서부터 점점 좁아지며 소우편은 윗부분의 것만이 우축에 직접 달리고 밑부분의 것은 대가 짧다. 엽신 밑부분은 3회우상복엽으로 되며 열편에 톱니가 약간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중앙부에 달리고 포막 가장자리에 털이 있는 것도 있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짧으며 끝에 잎이 총생.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상록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20. No Image

    화살사초

    학명 : Carex transversa Boott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연약사초
    잎 : 잎은 호생하고 편평하며 선형이고 길이 40㎝ 폭 2.5-5.5㎜이며 부드럽고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다소 거칠거칠하다. 밑부분의 엽초는 짙은 적색이며 섬유상 또는 그물처럼 약간 갈라진다.
    꽃 : 소수는 3-4개로서 윗부분에서는 인접하고 밑부분의 1-2개는 떨어져 있으며 정소수는 수꽃뿐이지만 간혹 암꽃이 섞이기도 하고 선형이며 길이 1-3cm 지름 6-7mm로서 윗부분의 것은 대가 거의 없으나 밑부분의 것은 긴 대가 있다. 첫째 포는 잎같고 화경(花莖)보다 길며 엽초가 있고 자화영은 난형이며 긴 까락끝이고 길이 1.5mm정도로서 연한 색에서 갈색으로 되며 뒷면 녹색부에 3맥이 있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으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고 비스듬히 퍼지며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5-6mm로서 녹색에서 흑녹색으로 되며 맥이 많고 밋밋하다. 긴 부리끝은 백색 막질로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세모진 타원형이고 엷은 황색이며 길이 1.7mm정도로서 비스듬한 돌기가 있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20-70cm이다. 줄기는 세모지고 곧게 서며 밑동에 자갈색의 엽초가 있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arr. Exped. China Japan 2 : 324 (A.Gray, 185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