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국경찔레

    학명 : Rosa jaluana Kom.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장미속(Rosa)

    잎 : 잎은 호생하며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첨두 원저이며 길이2-3cm 폭 1-2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탁엽의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고 밑부분이 엽병과 합쳐진다.
    꽃 : 꽃은 새가지 끝에 원추화서를 이루며 꽃은 5월에 피고 지름 2cm정도로서 적색이며 소화경에 털이 없거나 선모가 약간 있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 뒤로 젖혀지며 안쪽에 융모가 있다. 꽃잎은 도란형이고 미요두이며 향기가 있다. 암술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8mm정도로 9월경에 적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길이 3㎜정도로서 백색이며 털이 나 있다.
    줄기 : 가지끝이 밑으로 처지고 흔히 덩굴성으로 되며 소지에 가시가 있고 털이 있는 것도 있다.

    분포 : 전국 산야의 표고 50-1 900m 사이의 산기슭과 계곡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털찔레(=털가시나무 var. adenochaeta Ohwi): 잎과 화서에 선모가 많다. ▶좀찔레(=좀가시나무 var. quelpaetensis Nakai): 소엽의 길이가 1-2cm이고 꽃이 작다. ▶제주찔레꽃(R. luciae Fr. et Rockheb.): 소엽은 길이 2-3㎝의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탁엽은 거의 밋밋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Manshur. 2 : 537 (1904)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2. No Image

    꽃잔대

    학명 : Adenophora koreana Kitam.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잔대속(Adenophora)
    이명 : 꽃모시나물 큰꽃잔대 큰잔대
    잎 : 잎은 호생하고 빽빽이 나며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넓은 쐐기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은 없다.
    꽃 : 꽃은 8~9월에 밝은 하늘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편측성으로 모여 총상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은 5열하고 열편은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화시에 뒤로 말린다. 화관은 종형으로 끝이 5열하며 길이 2.2cm 정도이고 암술대가 밖으로 나온다. 자방하위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전주에 털이 거의 없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드물게 나며 만주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5: 205 (193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냄새냉이

    학명 : Coronopus didymus (L.) Sm.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냄새냉이속(Coronopus)
    이명 : 미륵냉이빈대냉이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며 근생엽은 선상 장타원형으로 1-2회 우상복엽(羽狀複葉)으로 옆의 열편이 4-6쌍이다. 경생엽(莖生葉)은 난형(卵形)-타원형(楕圓形)으로 우상복엽이며 옆의 열편은 3쌍 내외이다.
    꽃 : 꽃은 5-10월에 피며 꽃은 작고 지름 1㎜ 백색 십자화(十字花)이며 뿌리에서 생긴 총상화서와 줄기에서 잎과 마주나는 총상화서가 있다. 꽃받침 4개 난형이며 꽃잎은 피침형으로 길이 0.5㎜ 담황색이고 꽃받침보다 짧다. 수술 2개 암술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1쌍의 공을 붙여 놓은 모양이며 끝이 요두(凹頭) 기부는 요저(凹底)이고 열매조각은 편구형으로 높이 1.5㎜ 폭 2.5㎜이며 그물 모양으로 주름이 졌고 2-3㎜의 열매 자루가 있다.
    줄기 : 줄기는 아래쪽에서부터 분지(分枝)하고 높이 10-20㎝ 엷은 녹색이며 백색 연모(軟毛)가 있다.

    분포 : 제주도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호주 일본 중국 등지에 귀화되었으며 국내에서는 全義植 씨에 의해여 1991년 제주도에서 채집되어 `냄새냉이`로 명명이 되었다. 전체 식물에서 강한 냄새가 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brit. 2: 691 (1804)
    참고문헌 : 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Read More
  4. No Image

    돌양지꽃

    학명 : Potentilla dickinsii Franch. & Sav.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양지꽃속(Potentilla)
    이명 : 바위양지꽃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총생하며 소엽은 3개(간혹 5개)이고 사각상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2.5-5cm 폭1.5-3cm로서 뒷면이 분백색이고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탁엽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경생엽은 3출 또는 우상으로 갈라지고 소엽은 길이 2cm의 난형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뒷면이 백색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10mm내외로서 황색이며 화탁에 길이 2mm 의 백색털이 밀생하고 정생 또는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10개 내외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끝이 뾰족하며 좁은 난형이고 부악편은 피침형이며 꽃밥은 넓은 난형이고 암술대는 길이 1.5mm이다.
    열매 : 수과는 난형이며 갈색으로서 밋밋하고 밑부분에 수과보다 긴 꼬불꼬불한 털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0-20cm이며 전체에 복모가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굵고 목질이다.
    분포 : 전국의 표고 500m 이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potentilla 속 식물은 20여종에 이르는데 돌양지꽃과 같 이 고산성식물은 한라산 1 500m 이상에서 자생하는 좀양지꽃(P. matsumurae) 을 비롯하여 백두산에 자생하는 은양지꽃(P. nivea)이 있다. ▶참양지꽃 (var.breviseta NAK.):수과 밑에 있는 털이 수과보다 훨씬 짧다. ▶섬양지꽃 (var.glabrata NAK.):잎의 맥 위에만 털이 있고 뒷면이 회청색이 아니며 울릉도에서 자란다.
    특징 : 속명 Potentilla는 라틴어 potens(강력)의 축소형이며 처음에는 P. auserina 의 강한 약효때문에 생겼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2 : 337 (Franch. & Sav., 187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No Image

    두메잔대

    학명 : Adenophora lamarckii Fisch.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잔대속(Adenophora)

    잎 : 잎은 호생 아대생 또는 3-4개씩 윤생하며 다소 조밀하게 달리고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에 달리며 길이 3-5.5cm 나비 7-20mm로서 양면에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으며 뒤로 말리고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벽자색이며 꽃받침열편은 통부보다 다소 길고 피침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털이 없고 화관은 길이 2cm정도로서 털이 없으며 열편 끝이 뾰족하다. 암술대는 꽃 밖으로 길게 나오고 윗부분이 굵으며 돌기 같은 털이 다소 밀생하고 암술머리가 뒤로 말린다.

    줄기 : 높이 20-40cm이고 털이 없다.

    분포 :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Soc. Imp. Naturalistes Moscou. 6: 168 (182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땅귀개

    학명 : Utricularia bifida L.
    과명 : 통발과(Lentibulariaceae)
    속명 : 통발속(Utricularia)
    이명 : 땅귀이개
    잎 : 잎은 선형이고 지하경의 군데군데에서 지상으로 나오며 길이 6~8mm로서 녹색이고 밑부분에 흔히 1~2개의 포충대(捕蟲袋)가 있다. 화경(花莖)에 몇 개의 인엽이 호생하며 인엽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막질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부분에 달린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7-15cm이고 인엽이 호생한다. 꽃은 8~9월에 피며 밝은 황색이고 2~7(10)개가 달리며 포는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소포는 2개이고 선형으로서 포길이의 1/2 정도이며 소화경은 길이 2~3mm에서 3~7mm로 자라고 윗부분에 2개의 날개가 있다. 꽃받침은 2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넓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막질로서 소화경과 길이가 비슷하고 화관은 지름 3.5~4mm이며 거는 밑을 향하고 길이 3mm로서 끝이 뾰족하다.
    열매 : 삭과는 둥글며 지름 3.5mm이고 종자에 비스듬히 달린 줄이 있다.

    뿌리 : 실같이 가는 지하경이 땅속으로 뻗으며 포충대(捕蟲袋)가 군데군데 달린다.
    분포 :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식충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7. No Image

    마타리

    학명 :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 ex Trevir.
    과명 : 마타리과(Valerianaceae)
    속명 : 마타리속(Patrinia)
    이명 : 가얌취 가양취 미역취
    잎 : 잎은 대생하고 우상으로 깊이 갈라지며 양면에 복모가 있고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있고 위로 갈수록 없어진다. 근생엽은 난형 내지 긴 타원형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황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서분지의 한쪽에 돌기 같은 흰털이 있다. 화관은 황색이고 지름 3-4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통부가 짧고 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자방은 하위이고 3실로서 그 중 1실만이 종자를 맺는다.
    열매 : 수과로 타원형이며 길이는 3-4mm로서 약간 편평하고 앞면에는 맥이 있으며 뒷면에는 능선이 있다.
    줄기 : 높이 60-150cm이고 곧게 자라며 줄기 윗부분에서 분지하고 털이 없으나 밑부분에는 털이 약간 있으며 밑에서 새싹이 갈라져서 번식한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는다. 굵은 뿌리가 비스듬히 뻗으며 몇 개의 잔뿌리가 내린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소련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야 양지에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돌마타리(P. rupestris Juss.) ▶금마타리(P. saniculaefolia Hemsl.): 줄기에 마주 붙은 잎은 손바닥꼴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뚝갈(P. villosa Juss.)
    특징 : 가을의 대표적인 들풀의 하나지만 `패장`이라는 생약명으로 알려져 있는 약초다. 그러나 봄에 돋아나는 어린 순은 `가얌취`라고도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마타리를 패장이라 하고 있다. 패장이란 말은 뿌리에서 장(豆醬) 썩는 냄새가 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nd. Sem. Hort. Bot. Vrat. App. 2 : (182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물머위

    학명 : Adenostemma lavenia (L.) Kuntze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물머위속(Adenostemma)
    이명 : 진득찰아재비
    잎 : 잎은 대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작고 중앙부의 것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4-20cm 나비 3-12cm로서 양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6cm이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백색이며 두화는 원줄기와 가지 끝에 취산상으로 달리고 화경이 있으며 총포는 길이 4mm이고 포편은 2줄로 배열되며 밑부분이 합쳐지고 비슷한 길이로서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나중에 젖혀진다.
    열매 : 수과는 길이 4mm 지름 1mm정도로서 도피침형이며 끝이 둥글고 선점이 있다.
    줄기 : 높이 30-100cm이고 원줄기는 밑부분이 굽어서 뿌리가 내리며 윗부분에 잔털이 있고 다소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남부 해안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vis. Gen. Pl. 1 : 304 (Kuntze, 189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9. No Image

    민해당화

    학명 : Rosa rugosa var. chamissoniana C.A.Mey.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장미속(Rosa)

    잎 : 잎은 호생하고 7-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작고 좁은 타원형 또는 타원상 도란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 넓은 예저로 두껍고 잎에 주름살이 적다.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고 잎 뒷면에는 맥이 튀어나오고 잔털이 밀생하며 선점이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지름 6-9cm로서 홍자색이고 화경에 자모가 있으며 꽃이 피면 매우 아름다우며 짙고 맑은 향기는 이꽃의 인상을 강하게 한다. 빛깔은 홍자색이 보통이나 흰빛깔과 분홍도 있고 겹꽃도 있다. 꽃받침통은 둥글고 털이 없으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꽃잎은 넓은 도란형으로서 끝이 오목하고 꽃잎에 방향성 정유가 있어서 향수의 원료가 된다.
    열매 : 열매는 편구형이며 지름 2.5cm로서 적색으로 익고 광택이 있어 영롱하게 빛나므로 더욱 아름답다. 수과는 길이 4mm로서 털이 없다.
    줄기 : 줄기에 자모 및 융모가 있다. 해당화와 달리 가지에 가시가 거의 없다.

    분포 : 전국의 바닷가 모래밭이나 산기슭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개해당화(var. kamtschatica Regel): 꽃과 열매가 적은 것. ▶많첩해당화(for. plena Byhouw): 꽃잎이 만첩인 것.
    특징 : 가지에 가시가 거의 없고 잎이 작으며 잎에 주름이 적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Ser. 6, Sci. Math., Seconde Pt. Sci. Nat. 6: 34 (1849)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0. No Image

    분홍장구채

    학명 : Silene capitata Kom.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끈끈이장구채속(Silene)
    이명 : 구슬꽃대나물 애기대나물
    잎 : 잎은 대생하며 긴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길이 1-4cm 나비 4-16mm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 포와 연결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10-11월에 피고 분홍색으로서 가지 끝에 밀생하며 꽃받침은 통형이고 길이 8mm 지름 4mm로서 겉에 10개의 녹색 맥과 꼬부라진 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5개이고 길이 10mm 나비 2mm로서 깊이 2mm정도로 갈라지며 수술은 10개로서 꽃잎 밑에 붙어 있고 밖으로 길게 나온다. 암술대는 2-4개로서 길이 9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대가 짧고 꽃받침통 안에 들어 있다. 종자는 흑색이며 신장형이고 길이 0.6-0.7mm로서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30cm이며 마디가 뚜렷하고 튀어나온다. 전체에 꼬부라진 털이 밀생하며 밑에서 여러 개의 대가 나온다. 엽액에서 굵은 가지가 나와 길게 자라기 때문에 원줄기는 비스듬히 눕는다.

    분포 : 내장산과 중부 이북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애기장구채(M. apricum Rohrb.): 전체에 회색의 잔털이 밀생 잎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 길이 2-8㎝ 끝이 뾰족하다. ▶장구채(M. firmum Rohrb.): 녹색 또는 자줏빛을 띠는 녹색 마디 부분은 검은 자줏빛이다. 잎은 긴 타원형 난상 넓은 피침형 길이 3-10㎝이다. ▶털장구채(M. firmum Rohrb. for. pubescens Ohwi): 장구채와 닮았으나 식물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가는장구
    특징 : 전체에 털이 산재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18: 440 (1901)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1. No Image

    산돌배

    학명 : Pyrus ussuriensis Maxim. var. ussuriensis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배나무속(Pyrus)
    이명 : 돌배 산돌배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원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점첨두 원저이고 길이 5-10cm 폭 4-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는 침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5cm로 털이 없다.
    꽃 : 꽃은 5-7개씩 산방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털이 없고 화관은 지름 3-3.5cm로 백색이며 꽃받침잎은 삼각상 피침형이고 끝이 둥글며 옆으로 퍼지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4-5월에 개화한다. 암술대 기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3-4cm로 8-10월에 황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며 줄기는 단립하여 통직하고 수피는 흑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소지는 갈색이며 털이 없다.

    분포 : ▶중국과 일본 우수리강 주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 또는 계곡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문배나무(var. seoulensis) : 꽃이 큰 것. ▶참배(var. mecrostipes) : 열매의 지름이 5-6cm이고 과피에 0.5mm정도의 피목이 산재한 것. ▶털산돌배(var. pubescens Nak.) :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금강산돌배(var. diamantica Uyeki) : 잎 뒷면 맥위에 면모가 있고 잎이 타원형 넓은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청실리(var. ovoidea Rehder) : 열매가 난상 원형
    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Cl. Phys.-Math.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15: 132 (185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2. No Image

    새박

    학명 : 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ex Cogn.
    과명 : 박과(Cucurbitaceae)
    속명 : 새박속(Melothria)

    잎 : 덩굴손이 잎과 대생한다. 잎은 호생하며 삼각상 심원형 편심형 또는 난형이고 끝이 대개 뾰족하지만 둔하게 그치며 밑은 심장저이고 길이 3-6cm 폭 4-8cm로서 가장자리에 크고 낮은 톱니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진 듯한 것도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자웅화가 모두 엽액에 한개씩 달리지만 수꽃이 가지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는 것도 있으며 화관은 백색이고 5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으로서 짧으며 소화경이 있다. 수꽃은 3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1개의 짧은 암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2갈래이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1cm로서 길이 15-50mm의 과경에 달리며 밑으로 처지고 녹색이지만 익으면 회백색으로 되며 종자는 편평하고 회백색이며 많다.
    줄기 : 잎 맞은편에서 자란 덩굴손으로 감아 올라간다.

    분포 : 제주도나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난대에 널리 85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열매가 새알같이 생긴 박이라 하여 새박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onogr. phan. 3 : 599 (A.DC. & C.DC., 1881)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13. No Image

    애기사초

    학명 : Carex conica Boott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둥글사초 흰사초
    잎 : 잎은 나비 2-4㎜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검은 자주색에서 암갈색으로 되며 흔히 섬유 모양으로 갈라진다.
    꽃 : 소수(小穗)는 3-5개개가 서로 떨어져 곧게 서고 웅소수(雄小穗)는 곤봉형으로서 끝에 달리며 암갈색이고 자소수는 짧은 원주형이며 길링 1-2.5cm 나비 2.5-3.5mm로서 윗부분의 것은 엽초 속에 들어 있고 밑부분의 것은 대가 길게 나온다. 포는 가시같으며 굵어진 엽초와 더불어 길이 1-3cm이고 자화영(雌花穎)은 도란형이며 검은 자갈색으로서 뒷면에 1맥이 있고 갑자기 뾰족해진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으며 암술머리는 3개로 길이 3mm정도이다.
    열매 : 과포는 포영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길며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2.5-3mm로서 맥이 많으며 맥은 자줏빛이 도는 갈색이고 윗부분이 갑자기 좁아져 짧은 부리로 되며 끝이 약간 밖으로 꼬부라지고 갈라지지 않는다. 수과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길이 2mm로서 끝이 찌그러진 원반같다.
    줄기 : 줄기는 근경에서 총생하고 높이 20-50cm로서 둔한 삼각형이며 밋밋하거나 윗부분만 거칠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또는 짧게 뻗는다.
    분포 : 남쪽 섬 및 남부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arr. Exped. China Japan 2 : 325 (A.Gray, 185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야산고비

    학명 : Onoclea sensibilis var. interrupta Maxim.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야산고비속(Onoclea)
    이명 : 야산고사리
    잎 : 영양엽과 포자엽의 2형이 있다. 영양엽은 길이 30-60cm로서 털이 없고 엽병은 길이 20-30cm이며 황록색이 돌지만 기부 근처는 갈색 윤채가 돌고 연한 갈색 인편이 약간 있으며 인편은 난형이다. 엽신은 넓은 난상 삼각형으로서 길이와 나비가 각 15-30cm이고 1회우상으로 갈라지며 끝이 급히 좁아져서 예두의 정엽으로 되고 중축은 밑부분에 뚜렷한 날개가 있으며 우편은 5-10쌍이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파상의 톱니

    열매 : 소우편의 열편은 3-4개로서 각 1개의 포자낭군을 둘러싸고 익으면 녹색에서 갈색으로 된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으며 군데군데 비늘조각이 달린다. 끝에서 잎이 드문드문 나온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im. fl. amur. 337 (185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5. No Image

    왕지네고사리

    학명 : Dryopteris monticola (Makino) C.Chr.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관중속(Dryopteris)
    이명 : 참왕지네고사리
    잎 : 잎은 길이 약 120cm 폭 20-30cm이고 엽병과 엽신 길이의 1/2이거나 같은 길이이며 인편이 밀생한다. 엽병에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막질이고 딱딱하며 넓은 선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짙은 갈색으로서 큰 것은 길이 2cm정도이다. 엽신은 긴 타원상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지지 않으며 중축에 선형의 인편이 달리고 폭 20~30cm이다. 우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폭 2-3cm로서 짧은

    열매 :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륵 가까이에 1줄로 달리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뿌리 : 근경은 굵고 땅을 기며 끝에서 여러 개의 잎이 뭉쳐난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ndex filic.278 (190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16. No Image

    장지채

    학명 : Scheuchzeria palustris L.
    과명 : 장지채과(Scheuchzeriaceae)
    속명 : 장지채속(Scheuchzeria)
    이명 : 진들장포
    잎 : 밑부분은 전년도의 엽초로 싸여 있고 잎은 뿌리에서 돋지만 화경(花莖)에서도 3-4개의 잎이 자란다. 근생엽은 밋밋하며 길이 8-30㎝ 폭 1-2㎜로서 끝이 둔하고 1개의 구멍이 있다. 엽설은 길이 3-4㎝로서 끝이 둔하고 화경에 달린 3-4장의 잎은 길이가 7-10㎝이며 엽초가 비후해진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15-30cm이며 꽃은 총상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정생하고 길이 4-8㎝로서 꽃이 4-8송이씩 달리며 소화경은 곧게서고 길이 5-20mm이고 첫째 포는 잎과 같으며 6-7월에 녹색꽃이 핀다. 화피와 수술은 각 6개이고 암술은 3개로서 밑부분이 약간 붙어 있으며 길이 3mm정도이고 암술대는 없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 대형의 넓은 타원형이고 주머니같으며 옆으로 퍼지고 앞쪽에서 터지며 길이 6-7㎜정도이다. 종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m정도로서 흑색이다.

    뿌리 : 지하경은 굵고 약간 옆으로 뻗는다. 마디에서 긴 뿌리가 자란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 고원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7. No Image

    초롱꽃

    학명 : Campanula punctata Lam.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초롱꽃속(Campanula)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심장상 난형이며 경생엽은 날개가 있는 엽병이 있거나 없고 삼각상 난형이거나 넓은 피침형이며 뾰족한 끝이 둔하게 그치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좁으며 길이 5~8cm 폭 1.5~4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한 거치가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백색 또는 연한 홍자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으며 긴 화경 끝에 종같은 꽃이 달려 밑으로 처진다. 꽃의 길이는 4~8cm이며 꽃통은 3.5cm로 아래를 향하여 핀다. 꽃받침은 5개로 좁게 갈라지며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열편 사이에 뒤로 젖혀지는 부속체가 있으며 수술은 5개 암술 1개 자방은 하위이다.
    열매 : 삭과는 8-9월에 익으며 자방 3실이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전체에 퍼진 털이 있으며 흔히 옆으로 자라는 포복지(匍匐枝)가 있다. 줄기는 중상부에서 가지를 치며 잔털이 있다.
    뿌리 : 잔근성이며 지하경이 있다.
    분포 : 한국 일본 동부시베리아에 분포한다. 남부와 중부 중부지역의 산의 낮은 곳에 자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자주초롱꽃(C. p. var. rubiflora Max.) : 평북에서 자라며 짙은 자주색 꽃이 핀다. ▶섬초롱꽃(C. takesimana) : 울릉도에서 자생하며 전체적으로 대형이다. 잎과 줄기에 광택이 있으며 꽃은 자주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다. ▶흰섬초롱꽃(C. takesimana Nak. for. alba T. Lee) ▶자주섬초롱꽃(C. takesmmana Nak. purpurea T. Lee)은 울릉도에 자생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cycl. (Lamarck) 1 : 586 (Lamarck, 178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5)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6)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7)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회령바늘꽃

    학명 : Epilobium fastigiatoramosum Nakai
    과명 : 바늘꽃과(Onagraceae)
    속명 : 바늘꽃속 (Epilobium)
    이명 : 가지바늘꽃 버들잎바늘꽃
    잎 : 잎은 대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좁고 긴 타원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중앙 밑부분이 가장 넓고 밑부분이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1.5-6cm 폭 3-10mm로서 표면에 굽은 털이 약간 있고 뒷면은 중륵과 가장자리에도 굽은 털이 있으나 나중에는 맥위에만 남으며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고 엽병이 극히 짧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길이 3.5-4.5mm로서 연한 홍색이고 줄기끝이나 가지끝에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2.5-3.5mm이고 소화경은 극히 짧으며 굽은 털이 밀생한다. 자방은 백색의 굽은 털이 밀생하며 선모가 약간 섞여 있고 암술머리가 곤봉같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긴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 3-6cm이며 소과경은 길이 5-15mm이고 종자는 긴 타원형이며 원두 둔저이고 길이 1-2.5mm로서 투명한 부분이 없으며 겉에 유두상 소돌기가 밀생한다.
    줄기 : 높이 20-60cm이고 근경에서 짧게 기는 가지가 발달하기도 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고 능선이 없으며 특히 윗부분에 굽은 털이 있고 잎이 많이 달린다.
    뿌리 : 근경은 길게 뻗는 수가 있음
    분포 : 강원도 정선 이북. 특히 백두산지역과 회령 근처에서 흔히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버들바늘꽃: 높이 10-50cm. 비늘잎이 붙고 땅위줄기에 붙는 잎은 선상 피침형 꽃은 연한 붉은 색으로 줄기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바늘꽃: 높이 30-80cm.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 꽃은 연한 홍자색으로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1송이씩 달린다. ▶한라바늘꽃: 줄기와 잎에 구부러진 털만 있거나 윗부분에 선모가 있고 자방과 꽃자루에 구부러진 털과 선모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No Image

    개자리

    학명 : Medicago polymorpha L.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개자리속(Medicago)
    이명 : 고여독꽃자리풀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있고 3출엽이며 소엽은 넓은 도란형이고 원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2cm 나비 7-15mm로서 윗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탁엽은 반난형이고 깊은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황색이고 엽액에 두상으로 달리며 포는 선형이고 작으며 꽃받침은 길이 2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2~3회 말리고 지름 5~6mm로서 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갈고리같은 가시가 있다.
    줄기 : 털이 없거나 약간 있고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기거나 비스듬히 선다.

    분포 : ▶북미 아시아에 널리 분포. ▶전국 각처.
    형태 : 이년초.

    특징 : 녹비 또는 목초자원으로 심었던 것이 펴져 야생상으로 된 것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20. No Image

    갯버들

    학명 : Salix gracilistyla Miq.
    과명 : 버드나무과(Salicaceae)
    속명 : 버드나무속(Salix)
    이명 : 솜털버들
    잎 : 잎은 호생하고 도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첨두 예저이고 길이 3-12cm 폭 0.3-3cm로서 표면은 밀모로 덮여 있지만 곧 없어지며 뒷면에는 융모가 밀생하여 흰빛이 돌거나 간혹 털이 없고 선상(腺狀)의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3-10mm로서 털이 있을 때와 없을 때가 있다. 주맥과 측맥이 뚜렷하다.
    꽃 : 꽃은 잎보다 먼저 3-4월에 피며 전년지에 액생하고 암수그루가 다르며 유이화서로 달린다. 수꽃화서는 길이 3-3.5cm로서 화축에 털이 있고 포는 난형으로 첨두이며 상반부는 흑색으로서 털이 있고 밀선은 1개이며 수술은 2개가 완전히 합생한다. 암꽃화서는 길이 2-5cm로서 화축에 털이 있고 포는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털이 있으며 밀선은 1개이고 적색이다. 암술머리는 4개이고 1개의 꿀샘이 있다. 씨방에 긴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고 길이 3mm정도이며 털이 있고 4-5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2m내외이며 뿌리 근처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고 소지에 흰색의 부드러운 털이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가지는 활처럼 휘어진다.
    뿌리 : 뿌리 부근에서 많은 가지가 나온다.
    분포 : ▶중국과 일본 우수리에도 분포한다. ▶전국에 걸쳐 표고 100-1 800m사이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매자잎버들(S. berberifolia Pallas): 잎은 원형 타원형 뒷면은 녹색 길이 4-15㎜ 폭 4-12㎜이다. ▶왕버들(S. chaenomeloides Kimura): 잎이 나올 때 붉은빛을 띠며 잎은 타원형 뒷면은 흰색이다. ▶떡버들(S. hallasanensis Leveille): 잎은 원형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3-14㎝ 폭 2-7㎝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버들(S. stipulari
    특징 : 맹아력이 크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Bot. Lugduno-Batavi 3 : 26 (186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