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개쉽싸리

    학명 : Lycopus ramosissimus (Makino) Makino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쉽싸리속(Lycopus)
    이명 : 개쉽사리 개택란 고려쉽싸리 섬쉽쌍리 쉽사리제주쉽싸리조선쉽싸리좀개쉽싸리
    잎 : 잎은 대생하고 경생엽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3cm 나비 1cm이며 깊은 톱니가 있거나 다소 우상으로 갈라지고 가지의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 1-1.5cm 나비 3-5mm로서 양면에 선점이 밀생하고 양쪽에 각 3개 정도의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흰색이고 가지의 엽액에서 소화경이 없는 꽃이 밀생한다. 꽃받침은 5갈래로 열편은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며 겉에 선점이 있고 화관은 통 모양이고 입술모양으로 4갈래이고 길이 3mm이며 백색이고 수술은 2개이다.
    열매 : 분과는 길이 1mm로서 꽃받침보다 짧고 타원형이며 둔한 능선이 3개 있고 바깥쪽 윗부분에 선점이 약간 있다.
    줄기 : 높이가 30cm에 달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포복경이 사방으로 뻗는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I. 14 (191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흰각시붓꽃

    학명 : Iris rossii f. alba Y.N.Lee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이명 : 흰각씨붓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 J. Bot. 17(1) : 35 (1974)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가는금불초

    학명 : Inula britannica var. linariifolia (Turcz.) Rege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금불초속(Inula)
    이명 : 가는잎금불초 좁은잎금불초
    잎 : 잎은 뿌리잎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 쓰러지며 밑부분의 잎은 중앙부의 잎보다 길고 창모양이며 잎자루가 길다. 중앙부의 잎은 선상 창모양 또는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9cm, 폭 6-10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보인다. 앞쪽잎에는 털이 없으나 뒤쪽에는 선점과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다.
    꽃 : 꽃은 지름 18-25m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흔히 포엽이 없다.
    꽃차례받침은 반구형이며 길이 4-6mm, 지름 8-14mm이고 포린은 4줄로 배열되며 가장이꽃은 길이 10mm정도로서 황색이며 뒷면에 선점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원기둥모양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털과 더불어 10개 능선이 있고 갓털은 길이 3mm정도이며 8-9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높이 30-7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단일하나 2-3개가 함께 자라기도 하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뿌리 : 뿌리는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ent. fl.-ussur. 85 (186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나도민들레

    학명 : Crepis tectorum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나도민들레속(Crepis)

    잎 : 잎은 끈생엽과 경생엽이 있는데 근생엽은 길이 10-15 cm, 나비 4 cm 정도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착한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있고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좁아져 나비 1 cm 내외로 되며 가장자리가 전연이고 뒤쪽으로 말리며 잎자루는 없고 기부는 줄기릎 둘러싼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노란색이고, 줄기 위쪽이 여랴 갈래로 갈라져 그 끝에 달라며,
    두상화서는 지름이 2 cm정도이고 설상화로만 이루어졌으며, 총포는 길이 6-9 mm이고, 내편은 12-15 개로 털이 많고,
    외편은 길이가 내편의 1/3← 1/2 이며 털이 많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고, 종자는 길이 3.5 mm이며, 위쪽이 좁아지고 적갈색~자갈색이며 능선이 10줄 있고 작은 톨기가 있어 꺼끌꺼끌하고 끝에 관모가 달린다
    줄기 : 줄기는 백색 털이 있고 흰 유액이 나온다
    뿌리 : 뿌리 곧다.
    분포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및 상진부리
    형태 : 한해살이 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2 : 807 (1753)
    참고문헌 : 1) Kor. J. Pl. Tax. 35 : 206 (2005)
    Read More
  5. 자주알록제비꽃

    학명 : Viola variegata var. chinensis Bunge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자주오랑캐 자지오랑캐 좀알록제비꽃
    잎 : 알록제비꽃에 비하여 잎 표면에 무늬가 거의 없고 잎 뒤에 자색이 뚜렷하다. 잎은 뿌리에서 소수가 총생하며 엽병이 길다. 둥근난형 이거나 원형 또는 난상타원형이며 심장저 둔두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뒷면은 자주색을 띄며 양면에 단모가 있으며 탁엽은 선형이며 엽병하부에 착생한다.
    꽃 : 꽃은 5~6월에 진흙색(자줏빛)으로 피며 잎사이에서 엽병보다 짧은 꽃대가 나와 끝에 좌우대칭의 1개의 꽃이 달린다. 측하향하며 화판은 5개로 도란상원형이며 측편에 털이 있다. 거는 좁고 길며 악편은 5개이고 피침형이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삭과는 난상타원형이며 3개로 벌어진다.
    줄기 : 줄기는 6cm이다.

    분포 : 중부이북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gel, Pl. Radd. 1 : 226 (1861)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개버무리

    학명 : Clematis serratifolia Rehder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으아리속(Clematis)
    이명 : 개버머리 꽃버무리으아리꽃
    잎 : 잎은 대생하고 2회3출복엽이며 소엽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첨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이고 어느정도 치밀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없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5-6cm로서 짧은 화경(花梗)에 몇 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꽃받침잎은 4개로서 연한 황색이다. 화피는 긴 타원형이고 약간 뾰족하며 겉에는 털이 없으나 안쪽에는 털이 있고 수술은 많으며 수술대에 털이 있다. 암술대는 길이 5mm내외로서 연한 황색 또는 백색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는 난형이고 길이 2.5mm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끝에 깃털모양의 긴 암술대가 꼬리처럼 달린다.
    줄기 : 길이 2m까지 자라는 덩굴성으로 1년생 줄기는 적자색이다.

    분포 : 경북 및 강원도 이북의 표고 100~1 700m 지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만경목 수형:만경형

    특징 : 여름이 되면 덩굴이 모여나서 연하고 빛나는 잎 사이에서 귀여운 노랑색 등과 같은 꽃이 환하게 피며 개화량이 대단히 많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itt. Deutsch. Dendrol. Ges. 1910: 248 (1910)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Read More
  7. No Image

    애기더덕

    학명 : Codonopsis minima Nakai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더덕속(Codonopsis)
    이명 : 섬더덕 애기소경불알
    잎 : 잎은 어긋나지만 작은 가지에서는 마주나고 달걀모양 또는 달걀상 타원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의 양면에는 털이 있고 맥 위에 더 많이 있으며 뒷면은 흰색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자줏빛이 돌며 끝이 5개로 갈라져서 뒤로 다소 말린다
    꽃받침은 바소꼴이며 5개로 갈라지고 꽃받침조각은 바소꼴로서 길이 약 10-12mm, 화관은 종처럼 생기며 13mm 끝이 5개로 갈라안쪽이 어두운 자주빛이 돈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의 끝부분은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9~10월에 익으며 끝부분이 3갈래로 터져 종자가 나온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약간 자색을 띠며 시계방향으로 다른 나무에 감겨 올라간다
    질겨서 잡아 당겨도 끊어지지 않고 자르면 유액 나오지만 향이 전혀 나지 않았다

    뿌리 : 뿌리는 굵지 않고 작은 크기로 동그란 모양
    분포 : 제주도 한라산 높은 숲속
    형태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유사종 : 더덕(C. lanceolata)은 주로 산 중턱의 숲속에서 자라므로 뿌리는 중앙부가 비대해져 굵고 약간 길다.
    종더덕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 잎이 4윤생처럼 보이고, 잎자루가 없다. 뿌리가 도라지 모양이다.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Rupr. & Maxim.) Hemsl. : 뿌리가 공 모양이다.
    만삼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 잎이 어긋나거나 마주나고 잎자루가 길다.
    애기더덕 Codonopsis minima Nakai : 전체가 소형이고 줄기가 질겨서 잘 끊어지지 않는다.

    특징 : 전체가 소형이고 털이 많으며 끊어지지 않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Quelpaert Isl. 85 (Nakai, 191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반달콩제비꽃

    학명 : Viola verecunda var. semilunaris Maxim.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잎 : 잎은 초승달모양으로 길이 1.5~2.5cm 나비 2~3.5cm이며 끝은 둔하거나 둥글고 밑은 심형이며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잎의 2~4배 길다. 경엽은 호생하고 엽병이 짧으며 탁엽은 피침형으로 밋밋하거나 얕은 톱니가 약간 있다.
    꽃 :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의 잎짬에서 긴 화경이 나와 1개씩 달리며 위쪽에 포가 있다. 꽃은 좌우상칭이고 5수성이며 부속체는 끝이 둥글고 밋밋하며 측판에 털이 있고 순판에 자색 줄이 있으며 거는 길이 2~3mm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장란형이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고 비스듬히 누워 올라간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대만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St.-Pet. 23 : 335 (1877)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섬매발톱나무

    학명 :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Nakai
    과명 :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속명 : 매자나무속(Berberis)
    이명 : 섬매자나무
    잎 : 잎은 새가지에서는 호생하고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한 것처럼 보이며 도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3cm로서 예리하고 모상(毛狀)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주름이 많고 연한 녹색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황색이며 지름 1cm이고 총상화서는 길이 10cm이며 반쯤 처지고 10-20개의 꽃이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10mm이고 꽃잎은 약간 미요두이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서 장타원형이며 9월에 붉게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소지에 구(溝)가 있으며 2년지는 회황색 또는 회색이고 가시가 크며 3출하고 길이 1-2cm이다.

    분포 : 울릉도 및 제주도(한라산 1 100m이상)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성 관목 수형:반구형.
    유사종 : ▶매자나무(B. koreana)
    ▶연밥매자나무(B. koreana var. ellipsoidea)
    ▶당매자나무(B. poiretii)
    ▶왕매발톱나무(B. amurensis var. latifolia Nak.) : 잎이 원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울릉도 및 강원도에서 자란다.

    특징 : 매자나무와 매발톱나무의 중간형이다.
    매발톱나무에 비해 가시가 더 크고 잎과 열매가 작으며 매자나무에 비해 생육속도가 느린 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sylv. kor. 21: 71 (193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10. No Image

    검산초롱꽃

    학명 : Hanabusaya latisepala Nakai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금강초롱꽃속(Hanabusaya)
    이명 : 검산초롱
    잎 : 잎은 호생하지만 윗부분의 것은 총생하고 엽병이 길며 긴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12㎝ 나비 5cm로서 털이 없거나 양면 맥 위와 엽병에 털이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길이 4㎝ 지름 2㎝의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 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1.5cm 밑부분의 나비 5mm로서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으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수술은 5개이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가 70cm에 달하고 털이 거의 없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우리 나라 북부지방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금강초롱에 비해 꽃받침 갈래의 폭이 넓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No Image

    수련

    학명 : Nymphaea tetragona Georgi
    과명 : 수련과(Nymphaeaceae)
    속명 : 수련속(Nymphaea)

    잎 : 잎은 뿌리에서 나온다. 긴 엽병이 수면까지 자라 그 끝에 잎이 난다. 잎은 난상 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원두이며 밑부분은 깊이 갈라져 화살모양이고 약간 떨어지거나 양쪽 가장자리가 거의 닿으며 길이 5~12cm 폭 8~15cm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질이 두꺼우며 앞면은 광택이 나는 녹색이나 뒷면은 흑자색이다.
    꽃 : 꽃은 6~8월에 수면 위에서 피고 백색이며 지름 5cm정도로서 밤에는 접어들기 때문에 수련(睡蓮)이라고 한다.
    꽃은 3일 동안 피었다 닫혔다 하며 꽃받침잎은 4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cm 밑부분의 폭1-1.5cm로서 둔두이고 녹색이며 꽃잎은 8~15개이다. 수술은 40개 정도이고 꽃밥은 황금색이다. 암술대는 거의 없고 암술머리는 납짝하게 눌러진 공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난상 원형이고 4개의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물속에서 썩어 다수의 종자가 나오고 종자에 육질의 종의(種衣)가 있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짧으며 많은 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시베리아 유럽 동부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중부 이남에서 재배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생 수초식물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애기수련 (N.minima NAKAI) : 잎 끝에서 엽저까지의 길이가 1.8-5.5cm이고 폭 1.6-4.3cm이며 꽃받침열편은 길이 1.7cm로서 끝이 뾰족하고 꽃잎의 길이가 1.5cm이며 장산곶에서 자란다.
    특징 : ▶꽃이 밤에 접어들기 때문에 수련(睡蓮)이라고 한다.
    ▶야생종의 수련은 드물고 공원이나 정원의 못에서 보는 것은 대부분이 원예품 종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ise russ. Reich 1 :220 (Bemerk, 177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2. 제비꽃

    학명 : Viola mandshurica W.Becker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가락지꽃 민오랑캐꽃 병아리꽃 씨름꽃 앉은뱅이꽃 오랑캐꽃 옥녀제비꽃 외나물 장수꽃 참제비꽃 참털제비꽃 큰제비꽃
    잎 : 뿌리에서 긴 엽병이 있는 잎이 모여난다. 잎은 피침형이며 둔두이고 절저 또는 약간 심장저에 가까우며 길이 3-8cm 폭 1-2.5cm로서 가장자리에 얕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이 핀 다음에 자라는 잎은 난상 삼각형이고 심장저로 되며 윗부분에 약간 뚜렷하지 않는 파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3-15cm로서 윗부분에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보라색 또는 짙은 자색으로 4~5월에 피며 잎 사이에서 높이 5-20cm의 가늘고 긴 화경이 나오며 그 끝에 한 송이 꽃이 달려서 한쪽을 향하여 핀다. 꽃잎은 5개이고 서로 같지 않으며 장타원형이고 길이 12-17mm로서 측편(側片)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순편(脣片)은 구두주걱모양이고 자색의 줄이 있다. 거는 짧은 원주형이고 길이 5-7mm이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피침형이고 길이 5-8mm로서 끝이 뾰족하며
    열매 : 삭과로서 광타원형이고 3갈래로 벌어진다.
    줄기 : 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은 길이 3-10mm이며 암갈색의 뿌리가 있다. 지상경이 없이 근출엽이 뭉쳐 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제주 경남(남해도) 충북 경기도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for. albescens T.LEE) : 백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는 꽃이 핀다.
    ▶둥근털제비꽃(Viola collina)
    ▶고깔제비꽃(V. rossii)
    ▶삼색제비꽃(V. tricolor)
    ▶금강제비꽃(V. diamantiaca)

    특징 : 여러 변종들이 있는데 `Royal Robe`는 크고 긴 줄기에 진한 자주꽃이 핀다. `Charm`은 작고 흰 꽃이 피며 Royal Elk`는 매우 향기로운 보라색 꽃이 핀다. 제비꽃의 많은 다른 종들은 팬지 야생의 삼색오랑캐 꽃과 같은 많은 대중 정원의 1년생 또는 다년생들을 포함해서 일반적으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gler, Bot. Jahrb. 54, Beibl. 120 : 179 (191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양귀비

    학명 : Papaver somniferum L.
    과명 : 양귀비과(Papaveraceae)
    속명 : 양귀비속(Papaver)
    이명 : 아편꽃 앵속 약담배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난형으로서 밑부분이 원줄기를 반 정도 얼싸안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전체가 회청색이며 길이 3~20cm 가량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백색 외에 홍색 자색 등 여러 가지 색이 있고 원줄기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리며 꽃봉우리가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잎은 2개이고 타원상 주형(舟形)이며 길이 1.5-2cm로서 일찍 떨어지고 꽃잎은 4개이며 길이 5-7cm로서 둥글고 교호로 대생하며 밑부분의 것이 가장 크다. 많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암술머리가 방사형이다.
    열매 : 삭과로서 난상 구형이고 길이 4~6cm 지름 3.5-4cm로서 털이 없으며 성숙하면 위쪽 작은 구멍에서 종자가 방출된다.
    줄기 : 높이 50-15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이란 터키 이도 중국 내몽고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월년초.
    유사종 : 개양귀비(P. rhoeas)
    특징 : 설익은 열매 껍질에 상처를 내어 흘러나오는 유액(乳液)이 말라 약간 굳어졌을 때 70℃ 이하에서 말린 것을 아편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Read More
  14. No Image

    가는개여뀌

    학명 : Persicaria trigonocarpa (Makino) Nakai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여뀌속(Persicaria)
    이명 : 붉은대동여뀌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거의 없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3-7cm 폭 4-8mm 가량으로서 마르면 흔히 갈색이 돌며 양면 특히 가장자리에 가까운 맥 위에 잔복모가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다. 엽초모양의 탁엽은 길이 5-12mm로서 홍색이 돌고 복모와 더불어 긴 연모(緣毛)가 있다.
    꽃 : 꽃은 8-10월에 피며 길이 2-2.2mm로서 홍색이 돌고 가지 끝에 달리는 수상화서는 길이 2-3cm로서 꽃이 밀생한다. 소화경은 가늘며 털이 없고 화피는 5개로서 길이 2mm정도이고 적갈색이며 윤채가 있다.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세모진 난형이고 길이 2mm정도이며 적갈색이고 광택이 난다.
    줄기 : 높이 30-50cm이며 줄기의 밑부분이 옆으로 기고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가 다소 높고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쪽(P. tinctoria): 거의 털은 없고 줄기는 원통 모양 붉은 자주색이다
    특징 : 세뿔산여뀌라고도 하여 세뿔여뀌와 혼동하기 쉽고 대동여뀌와 비슷하지만 마르면 적갈색으로 되므로 붉은대동여뀌라고 고쳤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5. No Image

    달구지풀

    학명 : Trifolium lupinaster L.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토끼풀속(Trifolium)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짧으며 5개의 소엽으로 된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예두에 예저이고 엽맥이 뚜렷하며 길이 2-4cm 폭 0.5-1cm이다. 잎뒷면의 주맥에 복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탁엽은 막질로 줄기를 감싼다.
    꽃 : 두상화서는 길이 5-30mm로서 10-20개의 꽃이 부채살 처럼 달리고 꽃은 6-9월에 피며 짙은 홍색이고 엽액에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으로 5개의 피침형 조각으로 갈라지며 10맥이 있고 첫째 열편이 가장 길며 꽃잎이 꽃받침 보다 2배정도 길다. 기판은 타원형에 원두이고 익판은 장원형이며 용골판은 익판보다 짧다.
    열매 : 협과는 선상 장원형으로 4-6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줄기는 여럿이 뭉쳐나와 높이가 30cm에 달하며 다소 네모지고 비스듬히 자라며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다. 보통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뿌리 : 땅속에 원주형의 굵은 뿌리가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북부지방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제주달구지풀 var.alponum NAK. : 한라산정 근처에서 자라며 전체가 작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댕댕이나무

    학명 : Lonicera caerulea var. edulis Turcz. ex Herder
    과명 : 인동과(Caprifoliaceae)
    속명 : 인동속(Lonicera)
    이명 : 댕강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장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1∼4cm 나비 1cm 정도이다. 앞면은 털이 있고 뒷면은 융모가 있으며 톱니는 없다. 엽병은 길이 1∼6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잎짬에서 화경이 나와 끝에 2개씩 달린다. 화경의 길이 2∼10mm이다. 포는 길이 5∼8mm이며 털이 있다. 꽃받침은 톱니처럼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황백색이며 원통형의 종 모양이며 길이 1.2~1.5cm로서 털이 약간 있다. 수술은 암술대보다 짧고 씨방은 2개가 합쳐진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타원형이며 7~8월에 자흑색으로 익으며 백분로 덮여 있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골속은 충실하다. 작은 가지에는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일본, 러시아 / 한국(강원도 양구군, 인제군, 평창군)
    형태 : 낙엽활엽 관목이다.

    특징 : [취약종]
    평가내용:취약종 / 국가단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Imp. Naturalistes Moscou. 37-1 (186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Read More
  17. 호제비꽃

    학명 : Viola yedoensis Makino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들오랑캐 들제비꽃
    잎 : 잎은 삼각상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절저 예저 또는 다소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고 길이 3-6cm 폭 1-2cm이지만 과시에는 길이 8cm 폭 3cm에 달한다. 엽병은 잎보다 짧고 길이는 2-5cm이지만 때로는 15cm에 달하는 것도 있고 윗부분에 날개가 약간 있는 것도 있다.
    꽃 : 화경은 잎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다소 짧다. 꽃은 자주색이며 3~4월에 피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길이 5-7mm로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부속체는 둥글며 밋밋하거나 둔한 톱니가 있다. 꽃잎은 길이 10-14mm이고 측열편에 털이 없으며 거(距)는 길이 5-7mm로서 둥글다.
    열매 : 삭과로서 난상 타원형이고 5~8월에 성숙하며 종자는 황색으로 난원형이고 활택(滑澤)하다.
    줄기 : 전체에 짧은 털이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서울 근교 신촌 일대 중국의 하북 하남 산동 호남 호북 복건 등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금강제비꽃 제비꽃 둥근털제비꽃 등이 있다.
    특징 : 전초를 지정(地丁) 자화지정(紫花地丁) 지정초(地丁草) 양각자(羊角子) 독행호(獨行虎) 여의초(如意草) 전두초(箭頭草) 자지정(紫地丁)이라 한다. 제비꽃에 비해 잎은 좁고 짧으며 털이 많고 측판에 털이 없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노랑갈퀴

    학명 : Vicia chosenensis Ohw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이명 : 노랑갈키 노랑말굴레풀조선갈키나물참갈퀴덩굴
    잎 : 잎은 호생하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우상복엽으로서 끝에 덩굴손의 흔적이 있다. 소엽은 긴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7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탁엽은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꽃 : 총상화서는 엽액에서 발달히며 화경이 길고 꽃은 6월에 피며 길이 12mm정도로서 자줏빛이 도는 황색이고 소화경이 밑으로 처지며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황색 꽃이 피기 때문에 노랑갈퀴라고 한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선상타원형이며 털이 없고 2~4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높이가 8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서고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 건장한 뿌리가 깊이 들어간다.
    분포 : 중부이북 심산지역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5: 182 (193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흰털제비꽃

    학명 : Viola hirtipes S.Moore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광능오랑캐 광릉제비꽃 솜제비꽃 흰털오랑캐
    잎 : 잎은 밑동에 총생하며 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고 둔두 예저이고 길이 3-6cm 폭 2-4cm이며 표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파상의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5-15cm로서 윗부분에 날개가 약간 있고 백색의 퍼진 털이 있다.
    꽃 : 화경은 길이 7-12cm로서 중앙부에 2개의 포가 있으며 백색의 퍼진 털이 있고 꽃은 4월에 피며 홍자색이고 잎 사이에서 내는 여러 개의 화경 끝에 붙으며 좌우상칭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7-8mm이며 부속체는 반원형으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꽃잎은 길이 15-20mm로서 끝이 파지거나 둥글고 측열편 안쪽에 털이 있다. 꽃잎과 꽃받침잎 및 수술은 각 5개이고 거는 원통형이며 길이 7-8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세모지고 도란상 타원형이며 털이 없다.
    줄기 : 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이 짧으며 뿌리는 흰색이고 2-3갈래 이다.
    분포 : 우리나라 중부 이남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n. Soc. Bot. 17 : 379, t. 16, f. (187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약모밀

    학명 : Houttuynia cordata Thunb.
    과명 : 삼백초과(Saururaceae)
    속명 : 약모밀속(Houttuynia)
    이명 : 삼백초 십자풀어성초즙채집약초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난상 심장형이며 길이 3-8cm 폭 3-6cm로서 뚜렷한 5출맥이 있고 연한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밑부분은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탁엽이 엽병 밑에 붙어 있다.
    꽃 : 6월경에 원줄기 끝에서 짧은 화경(花莖)이 나와 그끝에 길이 1-3cm의 수상화서가 발달하며 백색의 꽃이 달린다. 포는 4개이고 화서 밑에 십자형(十字形)으로 달려 꽃같이 보이며 길이 1.5-2cm이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떨어지지 않는다. 꽃은 화피가 없고 3개의 수술이 있어 황색으로 보이며 자방은 1개이고 상위로서 3실이며 3개의 암술대가 았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며 3개로 화주 사이에서 갈라져 연한 갈색 종자가 나온다.
    줄기 : 원줄기는 잎과 더불어 털이 없으며 길이 20-50cm로서 곧게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있고 몇 개의 세로줄이 있다.
    뿌리 : 뿌리는 백색이고 연하며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히말라야 쟈바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울릉도 남부지역의 습지에 자생하며 중부지방에서도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특징 : ▶우리 나라에는 1종이 있으며 외국에서 개발된 원예종으로 무늬변종이 있다. 잎과 줄기에서 고약한 냄새가 난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이 주둔하던 병영지 주변에는 항시 약모밀을 재배하여 항생제 대용으로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전초에서 독특한 악취가 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 234 (196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