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좀산미나리아재비

    학명 : Ranunculus acris f. oreodoxa (Kitag.) Tamura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6 : 111 (195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흰큰등갈퀴

    학명 : Vicia pseudoorobus f. albiflora (Nakai) T.B.Lee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이명 : 흰꽃큰등갈퀴





    분포 : 한반도(함경북도 백두산 함경남도 함흥)


    특징 : 모종인 큰등갈퀴의 자주색꽃에 비해 꽃 색깔이 흰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eoul Univ. J(B). 20 : 146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좀부추

    학명 : Allium spirale Willd.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부추속(Alliu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bid. Suppl. 17 (1813)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푸른잔디

    학명 : Zoysia japonica var. pallida Naka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잔디속(Zoysi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5. 뫼제비꽃

    학명 : 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f. selkirkii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메오랑캐 메제비꽃 멧제비꽃 뫼오랑캐 묏오랑캐 산제비꽃 알록뫼제비꽃 알룩메제비꽃
    잎 : 잎은 2-3장이 밑부분에 밀생하며 난상 심장형이고 녹색이며 밑부분이 깊은 심장저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와 폭이 각 2-3cm이지만 과시(果時)에는 5cm에 달하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 또는 뒷면에 털이 있거나 없다. 엽병은 길이 3-10cm이고 윗부분에 털이 있거나 없다.
    꽃 : 화경은 길이 5-8cm로서 잎과 길이가 다소 비슷하고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7mm이며 부속체는 난상 삼각형으로서 끝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꽃잎은 길이 12-15mm이며 측판에 털이 없고 순판에 자주색 줄이 있으며 다화성이다. 거(距)는 짧은 원통형이며 길이 6-8mm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세모지다.
    줄기 : 길이는 6cm정도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가늘며 꽃이 진 후 땅속에 포복지가 생긴다.
    분포 : 전국의 높은 산에서 표고 800m이상되는 지역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메알록제비꽃은 잎에 흰 무늬가 있으며 메제비꽃과 섞여 자란다.
    특징 : 고산성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dinb. Philos. Journ. 6 : 324 (182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물석송

    학명 : Lycopodium cernuum L.
    과명 : 석송과(Lycopodiaceae)
    속명 : 석송속(Lycopodium)
    이명 : 땅석송
    잎 : 잎은 밀생하고 침형으로 비스듬히 처진다.

    열매 : 8~9월경에 담황갈색의 포자를 형성한다.
    줄기 : 지면으로부터 길게 뻗으면서 약 15~25cm 곧추 선다.

    분포 : 한라산 흑산도 울릉도 일본 중국 아프리카 등지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7. No Image

    밤메꽃

    학명 : Calonyction aculeatum (L.) House
    과명 : 메꽃과(Convolvulaceae)
    속명 : 밤메꽃속(Calonyction)
    이명 : 나팔아재비 만월초 밤나팔꽃 야회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Torrey Bot. Club 31 : 590 (1904)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선연리초

    학명 : Lathyrus komarovii Ohw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연리초속(Lathyrus)

    잎 : 잎은 호생하며 1-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 우상복엽으로서 정소엽이 소돌기 같이 퇴화되고 덩굴손이 없다.
    소엽은 피침형이며 엽병이 없고 밑부분이 둥글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중앙부의 큰 소엽은 길이 7cm 나비 17mm이며 탁엽은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화살밑 같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홍자색이고 길이 1.5cm로서 나비 모양이며 총상화서에 달린다. 화서는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며 긴 화경 끝에 소수의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털이 없으며 앞쪽 열편은 길이 3.5mm이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선형이고 검은색으로 익으며 길이 2.5cm 지름 5mm로서 털이 없다.
    줄기 : 원줄기에 날개가 있고 털이 다소 있다.

    분포 : 강원도 대관령 이북의 산지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2: 329 (193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흰왜젓가락나물

    학명 : Ranunculus quelpaertensis var. albiflorus Y.N.Lee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폭 4-10cm로서 3출복엽이고 소엽은 엽병이 다소 길며 난형이고 3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편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복모가 있고 경생엽은 엽병이 짧으며 3출복엽이고 윗부분의 것이 단순히 3개로 갈라진다.
    꽃 : 꽃은 8월에 황색으로 피며 줄기나 가지끝에 3-4개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1.5-6cm이며 꽃받침잎은 5개이고 꽃이 필때 뒤로 젖혀지며 타원형이고 길이 2.5-4mm로서 뒷면에 털이 있으며 기부에 꿀샘이 있다. 꽃잎은 5개이며 백색이고 길이 4-6mm로서 도란형이며 수술대는 털이 없고 길이 1-1.5mm이며 꽃밥은 길이 1.5mm정도이다.
    열매 : 취과는 둥글고 화탁에 짧은 털이 있으며 수과는 길이 3.5mm정도로서 편평한 도란형이고 암술대가 뒤로 젖혀진다.
    줄기 : 곧게 서고 높이 15-80cm이며 비스듬히 선 털이 있거나 털이 거의 없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제주도에 난다.
    형태 : 2년 내지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꽃이 흰 왜젓가락나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0. No Image

    제주백운풀

    학명 : Oldenlandia brachypoda DC.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백운풀속(Oldenlandia)











    학명출전 : Prodr. 4 : 424 (DC., 1830)

    Read More
  11. No Image

    청가시덩굴

    학명 : Smilax sieboldii Miq. f. sieboldii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청미래덩굴속(Smilax)
    이명 : 종가시나무청가시나무 청가시덤불 청경개까시나무청미래청밀개덤불청열매덤불
    잎 : 잎은 호생하며 난상 타원형 난상 심장형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5-14cm 폭 3-9cm로서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은 약간 심장저이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약간 윤채가 있으며 밑부분에서 나온 5-7맥이 다시 그물맥으로 된다.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중앙부에 탁엽이 변한 1쌍의 덩굴손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길이 2-3mm로서 넓은 종같으며 엽액에 산형화서로 달리고 화경(花莖)은 길이 15mm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타원형이며 다소 육질이고 길이 2-3mm이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지름 7-9mm로 9-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길이가 5m에 달하며 원줄기는 녹색이고 능선과 곧은 가시가 있으며 가지는 녹색으로서 흑색 반점이 있고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산야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의 덩굴성 관목.
    유사종 : ▶민청가시덩굴(var. inermis Nak.) : 원줄기에 가시가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Versl. Med. Akad. Afd. Nat. ser. 2:2:87 (1866)

    Read More
  12. 노루삼

    학명 : Actaea asiatica H. Hara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노루삼속(Actaea)

    잎 : 경생옆은 2-3개이며 엽병이 길고 2-4회 3출복엽이며 최종소엽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결각과 톱니가 있고 때로는 3개로 갈라지며 길이 3-7cm 폭 2-5cm로서 맥에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백색이며 줄기 상부에서 길이 3-5cm의 총상화서로 핀다. 소화경은 길이 10-15mm 지름 1mm정도로서 성숙기에 암적색으로 된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도란형이고 길이 3mm정도로서 꽃이 피면 곧 떨어진다. 꽃잎은 6개이며 넓은 난형이고 길이 2-2.5mm이다. 수술은 많고 길이 4mm정도이며 수술대는 실모양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장과는 둥글며 지름 6mm이고 7-8월에 익어 흑자색으로 된다. 소과경은 지름 0.6mm정도이다.
    줄기 : 줄기는 높이 40-70cm이며 기부에 몇개의 갈색 인편이 있고 털은 없으나 다만 윗부분 화서 부근에 짧은 권모(卷毛)가 있고 갈라지지 않고 2-3개의 큰 잎이 있다.
    뿌리 : 근경은 굵고 홍갈색이며 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붉은노루삼 (A.erythrocarpa FISCH.) : 열매가 적색 또는 백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ourn. Jap. Bot. 15 : 313 (193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뚜껑별꽃

    학명 : Anagallis arvensis L.
    과명 : 앵초과(Primulaceae)
    속명 : 뚜껑별꽃속(Anagallis)
    이명 : 개봄마지 개봄맞이 개봄맞이꽃 뚜겅별꽃 별봄맞이꽃 보라별꽃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난형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1~2.5cm 나비 5-15m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이 둥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청자색이고 엽액에 1송이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2-3cm로서 포가 없다.
    꽃받침잎은 피침상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6mm로서 1맥이 있고 화관은 지름 1~1.3cm로서 5개로 갈라져 수평으로 퍼지며 열편은 도란상 원형이고 가장자리는 잔털이 있다.
    수술은 5개로서 꽃잎과 대생하며 수술대에 털이 밀생한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지름 4mm로서 밑부분에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익으면 중앙부에서 옆으로 갈라져 뚜껑처럼 열리고 종자는 흑갈색이며 지름 1mm정도로서 두드러기같은 돌기가 밀생한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줄기는 옆으로 뻗다가 비스듬히 서며 네모가 진다.

    분포 : 우리 나라 남부
    형태 : 일년 내지 이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4. No Image

    흰아프리카문주란

    학명 : Crinum moorei var. album Hert.
    과명 : 수선화과(Amaryllidaceae)
    속명 : 문주란속(Crinum)
    이명 : 아프리카문주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5. No Image

    숙은꽃장포

    학명 : Tofieldia coccinea Rich.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석장포속(Tofieldia)
    이명 : 숙은꽃장포풀 숙은돌창포 애기바위장포
    잎 : 잎은 좌우로 편평하고 근생이며 2줄로 늘어서고 선형이며 길이 2-5cm 폭 2-4mm이고 짙은 녹색이며 윤기가 나고 혁질이며 가장자리가 까실까실하고 끝이 뾰족하다. 화경(花莖) 윗부분에 1-2개의 작은 잎이 있다.
    꽃 : 수상화서는 길이 1-2cm로서 많은 꽃이 달린다. 꽃은 7-8월에 피며 포액에서 밑을 향하며 길이 2-3mm로서 백색 또는 검은 갈자색이 돌고 소화경은 길이 2-3mm로서 위 끝에 3개로 갈라진 소포가 달린다. 화피열편은 6개이며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2.5mm정도로서 털이 없다. 수술은 6개로서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2.5mm정도로서 털이 없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와 길이가 비슷하며 꽃밥은 황색이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며 암술머리는
    열매 : 삭과는 둥글며 지름 3mm정도이고 밑으로 처지며 종자는 타원형으로서 길이 0.8mm 정도이고 꼬리가 없다.
    줄기 : 높이 5-15cm이다.
    뿌리 : 근경이 짧으며 뿌리가 튼튼하다.
    분포 : ▶러시아 극동부 캄차카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의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App. 736 (182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히말라야여뀌

    학명 : Persicaria wallichii Greuter & Burdet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여뀌속(Persicaria)











    학명출전 : Willdenowia 19 : 41 (1989)
    참고문헌 : 1) Kor. J. Pl. Tax. 33 : 221 (2003)
    Read More
  17. No Image

    가는쇠고사리

    학명 : Arachniodes aristata (G.Forst.) Tindale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쇠고사리속(Arachniodes)
    이명 : 가는쇠고비애기가새고사리 좀가위고사리좀바위고사리
    잎 : 엽병은 앞면에 홈이 지고 길이 30-60㎝로서 인편이 드문드문 달리며 밑부분과 근경에 달린 인편은 길이 4-7mm 폭 1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엽신은 난형이고 길이 20-40㎝이며 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우편은 길이 10-20㎝로서 긴 타원형이고 점점 좁아져서 뾰족해지며 첫째 우편이 가장 크고 뒤쪽 첫째 소우편은 특히 크게 자라 다른 우편과 크기가 비슷해 진다. 소우편은 대가 있으며 털이 없고 표면에 윤채가 있으며 톱니 끝이 까락처럼 뾰족하다

    열매 : 포자낭군은 엽신 상반부의 소우편에 2줄로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며 지름 1mm정도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지면 가까이에서 길게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상록다년초.
    유사종 : ▶좀쇠고사리 (R.pseudo-aristata H.ITO) : 근경이 짧으며 잎이 다닥다닥 달리고 정우편이 발달하지 않으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ontr. New South Wales Natl. Herb. 3:89 (196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5)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18. No Image

    개쇠뜨기

    학명 : Equisetum palustre L.
    과명 : 속새과(Equisetaceae)
    속명 : 속새속(Equisetum)
    이명 : 늪쇠뜨기
    잎 : 엽초는 열편과 더불어 길이 10-12mm로서 녹색이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갈색에서 흑색으로 되고 가장자리는 백색 막질이다.

    열매 : 포자낭수는 원줄기 끝에 달리며 길이 1~3cm로서 긴 타원형이며 갈색이 도는 자주색에서 점차 누른빛이 돌고 대가 있다.
    줄기 : 식물체 전체가 영양경과 포자경을 겸한다. 원줄기는 마디 또는 지하경 끝에서 곧게 자라고 높이 20-60cm 지름 2-4mm로서 옆으로 잔주름이 있으며 가지가 규칙적으로 돋지만 끝부분에는 가지가 없다. 마디에서 여러 개의 가지가 둘러 나고 비스듬히 서며 갈라지지 않는다.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뻗으며 마디가 있고 흑갈색이며 마디에서 잔뿌리가 돋는다.
    분포 : 울릉도 및 중부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쇠뜨기
    특징 : 쇠뜨기와 비슷하지만 엽초가 2배정도 길며 열편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고 포자낭수가 영양경 끝에 달리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9. 왕제비꽃

    학명 : Viola websteri Hemsl.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왕오랑캐
    잎 :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잎은 비늘 모양으로 퇴화되고 윗부분의 것은 짧은 엽병이 있으며 피침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탁엽은 피침형이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3-6cm이며 소포는 중앙 위쪽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6mm이며 부속체는 짧고 끝이 파지며 꽃잎은 길이 12-13mm로서 측판 내부에 털이 없고 순판은 백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으며 거는 타원형이고 길이 3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털이 없다.
    줄기 :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40-60cm이고 털이 있다.

    분포 : 경기도 가평 함경북도 백두산 ▶충청북도 보은군에 위치한 국사봉(551m)에서 발견되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2(3)-분포지가 중부 이북에만 생육한다고 알려졌으나 충북 보은군에 위치한 국사봉에서 발견되었다.(551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23 : 56 (188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들바람꽃

    학명 : Anemone amurensis (Korsh.) Kom.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바람꽃속(Anemone)

    잎 : 근생엽은 1-2개이고 2회 3출 우상복엽이다.
    꽃 : 화경(花莖)은 밑부분이 막질의 인편으로 싸여 있고 끝에서 잎같은 3개의 포엽이 윤생한다.
    총포엽은 엽병이 있고 3개로 완전히 갈라진다.
    열편은 피침형이며 극히 짧은 대가 있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화경(花梗)은 총포병(總苞柄)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다소 길고 백색 견모가 밀생함. 꽃받침열편은 5개가 수평으로 퍼지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4mm, 폭 2mm로서 백색이며 겉에 털이 밀생하고 안쪽에 털이 없다. 꽃은 4월 중순에 피며 총포 내에서 화경이 나와 끝에 1송이씩 달리고 지름 2cm이며 꽃잎은 없고 암술과 수술은 많으며 길이 2mm로서 털이 없고 암술에 견모가 밀생한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다.
    줄기 : 높이가 15cm에 달한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으며 끝에서 잎과 화경(花莖)이 나온다.
    분포 : 우리나라 강원도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회리바람꽃과 비슷하지만 꽃받침이 젖혀지지 않으며 화경이 보다 짧고 많은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 Hort. Petrop. 22 : 262 (190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