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긴다람쥐꼬리

    학명 : Lycopodium integrifolium Matsuda & Nakai
    과명 : 석송과(Lycopodiaceae)
    속명 : 석송속(Lycopodium)
    이명 : 곧은잎석송 곧은잎솔석송
    잎 : 잎은 총생하며 윤채가 있는 짙은 녹색으로서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15-20mm 폭 1.5mm이하이며 표면에는 넓고 약간 도드라진 중륵이 희미하게 나타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약간 밖으로 젖혀지며 끝이 점차 좁아져서 약간 뭉뚝해지고 밑부분이 약간 좁아지는 듯하며 원줄기로 흘러서 능선이 진다. 포자엽은 보통잎과 비슷하거나 약간 작다.

    열매 : 포자낭은 가지 또는 원줄기 끝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리고 포자낭수를 만들지 않으며 신장형이고 연한 황색으로서 끝에서 옆으로 갈라져서 포자가 나온다.
    줄기 : 높이 15-30cm이며 밑부분이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추서고 2-3회 갈라진다.

    분포 : 한라산 대둔산 및 금강산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다년초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2. No Image

    올챙이고랭이

    학명 : Scirpus juncoides var. hotarui (Ohwi) Ohwi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고랭이속(Scirpus)
    이명 : 올챙이골
    잎 : 잎은 엽신이 퇴화하고 가장자리가 비스듬히 잘린 것 같은 막질 엽초만이 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7~10월에 피고 화서는 옆에 달리며 1~7개의 소수가 두상으로 모이고 포는 1개로 줄기에 이어져 곧추 서며 길이 3~7cm이고 표면에 얕은 홈이 있다. 소수는 난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길이 8~15mm 나비 5~6mm이다. 인편은 난원형으로 길이 3~4mm이고 끝이 둥글다.
    열매 : 수과는 넓은 도란형으로 흑갈색이고 윤채가 나며 길이 2~2.5mm이고 양쪽이 볼록하며 익으면 옆으로 주름이 있다. 암술머리는 2~3개이고 자침은 5~6개이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며 가는 원주형으로 짙은 녹색이다.
    뿌리 : 근경은 거의 없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인도 인도네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Coll. Sci. Kyoto Imp. Univ., Ser. B, Biol. 18 : 114 (194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엽란

    학명 : Aspidistra elatior Blume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엽란소(Aspidistra)
    이명 : 옆란 옆란풀 잎난초
    잎 : 화경(花莖)에 4-5개의 잎이 달리고 잎은 엽병이 길며 밋밋하고 길이 30-50cm로서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어린 잎은 밑부분이 비늘같은 잎으로 싸여있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2-7cm로서 지하경의 인편 사이에서 나고 막질의 잎이 4-5개 달린다. 꽃은 4-5월에 피며 길이 2-2.5cm로서 갈자색이 돌고 짧은 종형으로서 화피열편은 8-9개이며 좁은 삼각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1cm정도로서 내면은 갈자색이고 외면에 같은 색의 반점이 있다. 8개의 수술은 화피열편과 대생하고 수술대는 짧으며 자방은 상위이고 4실이며 암술머리는 넓은 방패형이다.
    열매 : 과실은 장과로서 구형이며 녹색이고 성숙하면서 황색으로 변하며 고르지 않게 벌어져 여러 알의 종자가 나온다.

    뿌리 : 지하경이 가로로 뻗으면서 큰 잎이 군데군데에서 나온다.
    분포 : 제주 전남(거문도)에 야생하며 흔히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형태 : 상록 다년초 관엽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ijdschr. Natuul. Gesch. Physiol. 1:76 (183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흰꽃나비나물

    학명 : Vicia unijuga f. albiflora Naka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이명 : 흰가지나비나물 흰나비나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7 : 17 (1923)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No Image

    가는네잎갈퀴

    학명 : Galium trifidum L.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갈퀴덩굴속(Galium)
    이명 : 가는네잎갈키 가는넷잎갈키덩굴 가는잎갈퀴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각시족도리풀

    학명 : Asarum glabrata (C.S.Yook & J.G.Kim) B.U.Oh
    과명 :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속명 : 족도리풀속(Asarum)
    이명 : 반들족도리풀
    잎 : 잎은 호생하고 2~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엽병은 위로 갈수록 짧아지고 밑부분이 넓어져 줄기를 감싸며 상부의 잎은 소형이고 엽병이 긴 초상으로 된다. 열편은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 변이가 많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6∼8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복산형화서로 달리며 소산경은 8~17개이고 총포는 없거나 1~2개로 선상 피침형이며 소총포는 많고 선형이다. 꽃잎은 5개로 도란형이고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며 안으로 말리고 수술은 5개로 꽃잎보다 짧다.
    열매 : 과실은 분과로 편평한 타원형이고 날개가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섬약하다.
    뿌리 : 뿌리는 마디와 수염뿌리가 많다
    분포 : 평북 함남북 강원(금강산)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7. No Image

    나도양귀비

    학명 : Papaver setigerum DC.
    과명 : 양귀비과(Papaveraceae)
    속명 : 양귀비속(Papaver)











    학명출전 : Fl. Franc. (DC. & Lamarck), ed. 3. 6 : 585 (DC. & Lam., 1815)
    참고문헌 : 1) Kor. J. Pl. Tax. 36 : 146 (2006)
    Read More
  8. No Image

    큰꽃으아리

    학명 : Clematis patens C.Morren & Decne.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으아리속(Clematis)
    이명 : 개비머리어사리
    잎 : 잎은 3출 또는 우상복엽이며 대생하고 3-5개의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첨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4~10cm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잔털이 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5-10cm로서 백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고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열편은 6-8개이고 넓은 난형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잎같이 보이나 꽃잎은 없다. 암술과 수술은 여러 개인데 수술대는 편평하고 암술대는 끝 부근에 복모가 있다. 꽃대에는 포가 없다.
    열매 : 수과는 난형으로 9-10월에 익고 갈색털이 있는 긴 암술대가 그대로 달려있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길며 잔털이 있고 길이 2~4m 정도 자라며 갈색이고 덩굴성이다.
    뿌리 : 국수발 굵기의 연갈색 뿌리가 사방으로 내린다.
    분포 : ▶중국과 만주 등지에도 자란다. ▶전국 각처 표고 100~850m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성 활엽 만경목 수형:만경형

    특징 :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Clematis 속 가운데 꽃의 관상가치가 가장 크다.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양에 심어 반그늘을 만들어 주면 오랫동안 아름다운 꽃을 감상할 수 있다. ▶열매가 마치 종자같이 보인다. 깃털모양으로 변한 암술대는 전체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상을 이룬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Roy. Sci. Buxelles 3: 171 (183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9. No Image

    울산도깨비바늘

    학명 : Bidens pilosa L. var. pilosa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도깨비바늘속(Bidens)

    잎 : 잎은 대생이나 상단으로 가면서 호생한다. 3-5소엽의 1회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난상피침형 예두 엽면은 세모(細毛)로 덮힌다.
    꽃 : 두화는 총포편이 1열로 주걱형이며 설상화(舌狀花)가 없으며 황색의 통상화(筒狀花)로만 구성된다.
    열매 : 수과는 3-4개의 관모가 자란 가시가 있다.
    줄기 : 줄기는 가는털로 덮힌다.

    분포 : 경남 울산시 장생포 방어진과 경북 포항에서 발견되었다.

    유사종 : ▶흰도깨비바늘(B.pilosa L.): 5-7㎜의 백색 설상화가 있다. ▶도깨비바늘(B.biternata Merr. & Sherff) : 5㎜정도의 황색 설상화가 3-4개 있고 하단의 잎이 2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의 끝이 예첨두이다. ▶미국가막사리(B. frondosa L.) : 수과의 머리쪽이 넓고 2개의 가시가 있고 두화의 총포편이 10개 내외가 옆으로 반전되며 통상화와 같은 크기의 설상화가 있고 잎이 장란상피침형이다.
    특징 : ▶출전 : Kor.J.Plant Tax.vol.22(1)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Read More
  10. No Image

    둥근미선나무

    학명 : Abeliophyllum distichum var. rotundicarpum T.B.Lee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미선나무속(Abeliophyllum)

    잎 : 잎은 대생하여 2줄로 달리고 길이 3~8cm 폭 0.5~3.0cm의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절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5mm쯤 되며 위쪽에 홈이 패여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두색이고 잎 뒷면에 가는 털이 난다.
    꽃 : 개화기는 3~4월로 전년에 형성되었던 꽃이 잎보다 먼저 피는데 백색 또는 도홍색 꽃이 총상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자줏빛이 돌고 길이 3-15cm이다. 꽃받침은 종상사각형이며 떨어지지 않고 길이 3-3.5mm이며 열편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며 4개의 열편은 처음에 회선상回旋狀으로 겹쳐지고 타원형 미요두이다. 수술은 2개이고 화통 기부에 달린다.
    열매 : 시과는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25mm로서 끝이 오그라들며 넓은 예저이고 9월에 익는다. 종자는 중간쪽에 2개가 들어 있으며 반달모양이다.
    줄기 : 높이 1.5m에 달하고 수형으로 우산모양을 이룬다.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골속이 계단모양이며 소지가 사각형이다.

    분포 : 충청북도 진천과 괴산군 영동군의 전석지나 야산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전라북도 내변산 직소천 유역을 따라 많이 자라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기본종은 꽃이 백색이다. ▶상아미선(for. eburneum T. Lee): 꽃이 상아색 으로 핀다. ▶분홍미선(for. lilacinum Nakai): 꽃이 분홍색 으로 핀다. ▶푸른미선(for. viridicalycinum T. Lee)
    특징 : 진천에서 최초로 채집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 특산식물이다. 진천의 미선나무는 천연기념물 14호로 괴산에서 자생하는 것은 천연기념물 147호로 지정되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ean J. Pl. Taxon. 7: 22 (197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Read More
  11. 등심붓꽃

    학명 : Sisyrinchium angustifolium Mill.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등심붓꽃속(Sisyrinchium)
    이명 : 골붓꽃
    잎 : 잎은 밑부분에 많이 달리며 선형이고 길이 4~10cm 폭 2~3mm이며 경생엽 밑부분은 엽초로서 원줄기를 감싸고 양쪽 가장자리가 원줄기로 흐르며 윗부분은 뾰족하고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1.5cm정도이며 원줄기 끝에 달린 2-3cm길이의 포 사이에서 2-5개의 꽃이 나와 산형화서를 이룬다. 소화경은 길이 3~4cm정도로서 밑에는 소포가 있다. 화피는 밑부분이 짧은 통같으며 겉에 백색 선모가 있고 열편은 5개로서 수평으로 퍼지며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자주색 또는 백자색 바탕에 줄이 있고 밑부분이 황색이다. 수술은 3개 암술은 1개이며 자방은 하위이고 선모가 있다. 꽃은 하루만에 시드는 1일화이다
    열매 : 삭과는 둥글고 편평하며 길이 3~4mm로서 털이 없고 자갈색으로 익으며 광택이 있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원줄기는 편평하며 녹색이고 좁은 날개가 있다.

    분포 : ▶지리적으로 일본과 대만에 분포 ▶제주도에서 귀화하여 야생 상태를 이룬다. 관상 식물로 뜰에 심어 기르기도 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ard. Dict. ed. (176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Read More
  12. No Image

    국화마

    학명 : Dioscorea septemloba Thunb.
    과명 : 마과(Dioscoreaceae)
    속명 : 마속(Dioscorea)
    이명 : 단풍마 산약
    잎 : 호생 엽병이 길고 마르면 흑갈색으로 되며 잎몸은 깊게 5-7갈래이고 길이와 폭은 각각 5-12㎝로서 밑부분이 보통 심장저이다. 국화잎과 비슷하다. 밑은 대개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중앙열편은 삼각상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게 뾰족해지거나 낮은 원두이며 가장자리가 침상이다.
    꽃 : 암수딴그루로 꽃은 연한 황록색이고 잎겨드랑에 이삭화서로 달린다. 수꽃 화서는 수상화서이며 엽액에서 나오고 수화피는 가지가 갈라지고 웅화피는 갈라지지 않는다. 암꽃화서는 갈라지지 않는다. 화피는 6장 수술은 6개이다.
    열매 : 삭과로 3개의 날개가 있고 2cm정도로서 밑으로 처진 화서에 달려 위를 향하며 종자는 둘레에 날개가 있다.

    뿌리 : 털이 없고 굵은 뿌리가 옆을 뻗는다.
    분포 : 우리 나라 전국각처의 산지에 분포.
    형태 : 덩굴성 다년초.
    유사종 : ▶단풍마(Discorea quinqueloba Thunb.) : 단풍마는 잎이 단풍처럼 갈라져 있다. 뿌리를 마와 같이 식용으로 한다. 또 봄철에 돋는 어린 싹은 나물로 하면 맛이 좋다. ▶참마(D. japonica): 잎은 긴 타원상 좁은 삼각형 심장형 털이 없다. ▶국화마(D. septemloba):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은 흑갈색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며 국화 잎과 비슷하다. ▶각시마(D. tenuipes): 잎은 도꼬로마와 닮았으나
    특징 : 전체에 털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구실바위취

    학명 : Saxifraga octopetala Nakai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범의귀속(Saxifraga)
    이명 : 구슬바위취구슬범의귀 팔편바위취
    잎 :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으며 엽병은 길이 11-21cm로서 털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엽신은 신장형이고 폭 5-8.5cm로서 난형 또는 도란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톱니끝이 선형(腺形)이며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고 뒷면 밑부분에 털이 약간 있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25cm정도로서 선모(腺毛)가 있으며 꽃은 7월에 피고 녹백색으로서 원추화서에 달리며 포는 선상 피침형 선상 도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다소 있으며 녹색이고 잎같이 생겼으며 매우 작다. 소화경은 가늘고 선모가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침형이며 길이 1.3-2mm로서 젖혀지고 꽃잎은 5개로서 백색이며 도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8개이고 길이 3-3.2mm 폭 1.2-1.5mm로서 1맥이 있다. 수술은 16개이며 수술대는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고 끝이 2갈래이다.

    뿌리 : 근경이 짧게 옆으로 자라고 선단에서 지하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금강산 이북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4. 둥근털제비꽃

    학명 : Viola collina Besser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둥근털오랑캐 둥글제비꽃
    잎 : 잎은 총생하며 난상 심장형 또는 심장형이고 깊은 심장저이며 끝은 뭉뚝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길이 2-3.5cm 폭 2-3cm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가 6cm에 달한다. 엽병은 길이 3-10cm이지만 열매를 맺을 때쯤되면 길이가 20cm에 달하며 윗부분에 날개가 약간 있다.
    꽃 : 화경(花梗)은 길이 4-6cm로서 퍼진 털이 있고 꽃은 연한 자주색이며 4-5월에 피고 여러 줄기의 화경이 나와 그 끝에 1개의 작은 꽃이 달려서 한쪽을 향하여 핀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5-6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부속체는 반원형으로서 짧고 꽃잎은 길이 10-12mm이며 5개이고 측열편에 다소 털이 있고 거는 길이 3-4mm이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삭과는 다소 구형이며 3갈래로 벌어지고 길이 6-8mm로서 짧은 털이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굵으며 옆으로 자라고 마디가 많으며 포복지가 없다. 길이 2-7cm이며 희거나 황갈색이고 뿌리는 희다.
    분포 : ▶일본 사할린 만주 시베리아 유럽 코카서스에 분포한다.
    ▶전북 충남 충북 경북(울릉도 가야산) 강원(치악산 설악산 삼악산) 경기(광릉 천마산) 황해 평남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제비꽃(Viola mandshurica Becker) 고깔제비꽃(V. rossii) 삼색제비꽃(V. tricolor)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at. Hort. Grem. 151 (181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흰알며느리밥풀

    학명 :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f. albiflorum (Nakai) T.B.Lee ex T.B.Lee & T.Yamaz.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
    이명 : 흰밥풀





    분포 : 중부 이남과 동쪽 해안을 따라 함경도까지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Kwanak Arbor. 4 : 43 (1983)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나도수정초

    학명 : Monotropastrum humile (D.Don) Hara
    과명 : 노루발과(Pyrolaceae)
    속명 : 나도수정초속(Monotropastrum)
    이명 : 수정난풀 수정란풀
    잎 : 잎은 호생하고 빽빽이 나며 퇴화하여 비늘조각모양이고 좁은 장 타원형 또는 좁은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1~2cm 나비 5~8mm이며 끝은 둔하거나 둥글고 약간 육질이다.
    꽃 : 꽃은 7~8월에 은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1개가 달리며 통상 종형으로 밑을 향하나 과시에는 곧추서고 길이 약 2cm이다. 꽃받침조각은 일찍 떨어지고 꽃잎은 5개이며 자방은 1실이고 측막태좌이다.
    열매 : 과실은 액과로 타원상 구형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며 굵고 원주형이며 꽃밑에 약간의 털이 있을 뿐 거의 털이 없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드물게 나며 동아 인도 북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부생식물

    특징 : 보통 백색이나 건조하면 흑색으로 변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36: 78 (1961)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7. No Image

    몬스테라

    학명 : Monstera deliciosa Liebm.
    과명 : 천남성과(Araceae)
    속명 : 몬스테라속(Monster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8. No Image

    흰그늘용담

    학명 : Gentiana chosenica Okuyama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이명 : 산구슬붕이 심산구슬봉이좀구실봉이 흰구슬봉이 흰구실봉이
    잎 : 잎은 뿌리 끝에서 총생하여 꽃무늬처럼 비스듬히 퍼지며 난형이고 큰 것은 길이 1.5cm 나비 1.3cm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막질로 되고 잔돌기가 있으며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경생으로 된다. 경생엽은 대생하고 밑부분이 합생하여 엽초로 되며 끝이 까락처럼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며 뒷면 주맥과 더불어 규칙적인 잔돌기가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백색이며 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소화경은 짧으며 윗부분에 점같은 잔돌기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8mm로서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며 화관은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고 끝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으며 열편 사이의 부편은 열편보다 다소 짧고 톱니가 다소 있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가 화관통속에 들어 있다.


    줄기 : 높이 5-7cm이고 밑에서 갈라져 총생하며 털이 없다.
    뿌리 : 뿌리는 직근이 있어 길이 6cm 곧추 들어간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
    형태 : 이년초
    유사종 : 구슬붕이
    특징 : 구슬붕이와 닮았으나 꽃이 희고 습한 고지에 주로 나는 것이 다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9: 131 (194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9. No Image

    꽃쥐손이

    학명 : Geranium eriostemon Fisher ex DC.
    과명 : 쥐손이풀과(Geraniaceae)
    속명 : 쥐손이풀속(Geranium)
    이명 : 낭림쥐소니털손잎풀털쥐손이 흰털쥐손이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5-7각상 원형이고 폭 8-12cm로서 5-7개로 반 또는 그 이상 갈라지며 표면에 복모 뒷면에 퍼진 털이 있다. 열편은 사각상 도란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불규칙한 결각과 더불어 톱니가 있으며 탁엽은 넓은 피침형이고 서로 떨어진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3.5-4cm로서 원줄기 끝에 10송이씩 산형화서로 달리고 소화경은 곧으며 퍼진 선모가 있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이고 퍼진 털이 있으며 꽃잎은 홍자색이고 넓은 타원형으로서 맥 위에 선모 또는 복모가 있으며 수술대 밑부분에 긴 털이 있고 암술머리는 3-4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털이 밀색하며 5갈래로 갈라진다.
    줄기 : 전체에 퍼진 역모(逆毛)가 밀생하며 원줄기는 세로로 홈이 있고 윗부분에 선모가 있다.

    분포 : 고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털쥐손이( var.hypoleucum NAK.) : 잎 뒷면에 백색 선모가 밀생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DC.) 1 : 641 (182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20. No Image

    나도범의귀

    학명 : Mitella nuda L.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나도범의귀속(Mitella)
    이명 : 덩굴풀매화
    잎 : 근생엽은 적고 난상 원형 또는 심장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15-35mm로서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다소 있다. 엽병은 길이 5-10cm로서 윗부분에 길고 짧은 선모가 있으며 탁엽은 막질이고 짧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15-25cm로서 짧은 선모가 있으며 흔히 1개의 소엽이 달린다. 꽃은 5월에 피며 총상화서에 몇 개의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꽃받침은 통같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상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퍼지며 다소 젖혀지고 꽃잎은 5개로서 꽃받침통 위 가장자리에 달리며 우상으로 갈라진다. 자방은 꽃받침과 합쳐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종형이고 종자는 흑색이고 겉이 밋밋하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길게 자라며 실같은 포복지가 뻗는다.
    분포 : 부전고원 및 두만강유역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