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가는털백미

    학명 : Cynanchum chinense R.Brown
    과명 :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속명 : 백미꽃속(Cynanchum)
    이명 : 좀박주가리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2. No Image

    전나무

    학명 : Abies holophylla Maxim.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전나무속(Abies)
    이명 : 저수리 젓나무
    잎 : 잎은 상록성의 선형이고 길이 4cm 폭 2mm로서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백색기공조선이 있고 횡단면에는 수지구(樹脂構)가 있다.
    꽃 : 개화기는 4월 하순으로 일가화이며 황록색 꽃이 핀다. 웅화서는 원통형이며 길이 15mm로서 황록색이고 화경은 길이 4.5mm이며 자화서는 2-3개가 서로 접근하여 달리고 길이 3.5cm로서 긴 타원형이며 길이 6mm정도의 화경이 있다.
    열매 : 구과는 난형 또는 원통형으로서 길이 10-12cm 지름 3.5cm이고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며 과경은 길이 7mm이다. 실편은 거의 둥글고 길이 25-30mm로서 흔히 밖에 수지가 묻으며 포는 밖으로 나타나지 않고 거의 원형이며 10월 상순에 성숙한다. 종자는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12mm 폭 6mm로서 연한 갈색이고 날개는 길이 13.5mm 폭 12mm이다.
    줄기 : 높이 40m 지름 1.5m에 달하며 가지는 윤생하고 수평으로 퍼진다. 수피는 잿빛이 도는 암갈색으로서 거칠고 소지는 회갈색이며 털이 없거나 간혹 있고 얕은 홈이 있다. 유시에는 측지가 원대보다 길다. 동아는 난형이며 털이 없으나 수지(樹脂)가 약간 있다.
    뿌리 : 천근성이다.
    분포 : 전국의 깊은 산에 자생하며 평안북도 이북에서는 해발 1200m이하의 계곡 남부지방에서는 해발 1500m이하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 교목 수형:원추형으로 자라다가 원정형으로 된다.
    유사종 : ▶분비나무(A. nephrolepis) : 작은 가지 황갈색이고 잎은 끝이 갈라진다.
    특징 : 우리나라에 원래부터 있었던 전나무는 추운지방을 좋아하는데 주로 이북의 고산지대와 고원지대에 자라고 있다. 남쪽지방에는 일본 전나무가 심어지는데 일본에서 건너온 이 나무는 따뜻한 곳을 좋아한다. 목재의 색이 모래알같이 희고 깨끗하다 하여 사송(沙松)이라고도 불리우는 이 전나무는 대표적인 음수로 그늘에서 더 잘 자라며 어려서는 자람이 매우 느리나 심은지 10-15년이 지나면 자람이 왕성해져서 대경재생산이 가능한 수종이다. 종자결실은 풍흉이 심하여 5-7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anges Biol. Bull. Phys.-Math.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6: 22 (186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세잎개발나물

    학명 : Sium ternifolirm B.Y.Lee & S.C.Ko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 개발나물속(Sium)











    학명출전 : Kor. J. Pl. Tax. 39 : 133 (B.Y.Lee & S.C.Ko, 2009)
    참고문헌 : 1) Kor. J. Pl. Tax. 39 : 133 (B.Y.Lee & S.C.Ko, 2009)
    Read More
  4. No Image

    가는쑥부쟁이

    학명 : Aster pekinensis (Hance) Chen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참취속(Aster)
    이명 : 가는쑥부장이가는잎쑥부장이가는잎쑥부쟁이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경생엽은 다닥다닥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길이 25-40mm 나비 4-6m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양면에 짧은 털이 많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청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뒤로 말리고 가지의 잎은 선형으로서 점차 작아진다.
    꽃 : 꽃은 8-9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지름 2cm이며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4mm 지름 7-8m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피침형으로서 뒷면에 선점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외편이 내편보다 약간 짧다. 설상화는 길이 11mm 나비 2.5mm이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2mm 나비 1.5mm로서 선점이 있고 관모는 불완전하며 길이 1/4-1/2mm이다. 열매는 10-11월에 결실한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Fan Mem. Inst. Biol. 5: 41 (1934)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Read More
  5. No Image

    백송

    학명 : Pinus bungeana Zucc. ex Endl.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소나무속(Pinus)
    이명 : 흰소나무
    잎 : 잎은 3개씩 속생하며 길이 5-10cm 폭 1.8mm로서 굳고 곧으며 녹색을 띤다. 아린이 빨리 떨어지고 횡단면 위의 수지구는 외위(外位)로서 5개이다.
    꽃 : 암수한그루로서 꽃은 5월에 개화한다.
    열매 : 구과는 난형이고 길이 6cm 폭 4.5cm로서 50-60개의 실편으로 구성되고 실편은 갈색이 돌며 옆으로 주름이 발달하고 중앙부의 돌기는 길이 3mm쯤 되는데 그 끝이 예리하지 않으며 약간 아래로 향한다. 성숙하면 실편은 갈색으로 되고 종자는 스스로 떨어져 나가지만 구과는 가지 위에 남는다. 종자는 난형이며 길이 9-12mm 폭 7.5-9mm로서 흑갈색이지만 표면에 담갈색의 반점을 가지는 것이 많고 뒷면은 대개 연한 갈색 바탕에 반점이 있고 탈락하기
    줄기 : 높이 15m 지름 1.7m에 달하며 수피는 밋밋하고 큰비늘처럼 벗겨져 회백색을 나타내므로 백송 또는 백골송이라고 한다. 어릴 때에는 줄기의 색깔이 연한 녹색을 띠나 수령이 많아짐에 따라 회백색으로 변하고 표면이 평활하고 플라타너스의 수피처럼 얼룩을 만들면서 얇게 수피가 떨어져 나간다. 큰 가지가 나오며 수관이 둥글게 발달한다.

    분포 : 표고 500-1 000m 지대에 분포하나 곳에 따라서는 많이 심어져 있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특징 : ▶600여년 전에 외교사절단에 의하여 우리나라에 들여왔다. ▶백송은 중국 북부지방에 나는 그곳 특산 수종으로 산서(山西) 호북(湖北) 하남(河南)서부 협서(狹西) 감숙(甘肅)남부 사천(四川)북부에 자라며 우리나라에서는 밀양 예산 보은 평양 등 각처에 있는 큰 나무는 대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껍질이 벗겨지면서 백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백송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잎은 3개씩 속생하여 다른 소나무와 쉽게 구별되며 또한 다른 소나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 Conif. 166 (184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애기금강제비꽃

    학명 : Viola yazawana Makino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잎 : 잎은 나올때에 금강제비꽃같이 양가장자리가 안으로 말리며 털이 약간 퍼져 나고 길이 3-5cm이며 긴 심장형이고 잎 가에 엉성하게 굵은 톱니가 있다. 엽병은 가늘고 1-1.5cm이며 탁엽은 피침형이고 길이 3-4mm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흰색이며 화경은 5-6cm이고 꽃받침은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6-7mm이다. 화판은 길이 12-13mm 폭 6mm이고 측판에 털이 없다.


    뿌리 : 지하경은 약간 굵고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일본 중부와 관동 북부에 난다. 강원도 설악산에 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7. No Image

    흰섬개회나무

    학명 : Syringa patula var. venosa f. lactea K.Kim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수수꽃다리속(Syringa)

    잎 : 잎은 대생하고 심장상 난형으로 끝은 약간 길며 뾰족하고 잎 앞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털이 없으나 주맥 기부에 털이 있고 엽맥이 튀어나와 있다. 엽병은 짧고 털이 없지만 가끔 털이 있는 것도 있다.
    꽃 : 개화기는 5월이고 흰색의 꽃이 원추화서에 탐스럽게 핀다. 꽃은 향기가 나며 길이는 7~8mm 정도 되고 열편은 뒤로 젖혀져 있고 수술은 통부에 달린다.
    열매 : 삭과로 길이가 9~12mm이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와 가지는 비스듬히 직립한다.
    뿌리 : 잔근성의 뿌리가 있다.
    분포 : 울릉도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관목 관화식물로 수형은 낙하산형이다.
    유사종 : ▶정향나무(S. velutina var. kamibayashii T.Lee): 꽃의 색의 홍자색. ▶섬개회나무(var.venosa T.Lee): 울릉도에서 자라고 회갈색 가지와 삭과에 피목이 산재.
    특징 : 흰색의 꽃이 나무 전체를 가리면서 피어 장관이다. 한국 특산종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8. No Image

    군자란

    학명 : Clivia miniata Regel
    과명 : 수선화과(Amaryllidaceae)
    속명 : 군자란속(Clivia)
    이명 : 큰군자란
    잎 : 잎은 길이 45㎝ 폭 5㎝이며 밑이 서로 감싸면서 인경처럼 되고 짙은 녹색이며 광택이 나고 16-20개가 양쪽에 나란히 붙어있으며 끝이 뾰족하며 다소 뒤로 젖혀져 있다.
    꽃 : 잎 사이에서 편평하고 굵은 화경(花莖)이 나와 끝에 12-20개의 꽃이 위를 향해 산형으로 달린다. 소화경은 화경(花梗)과 더불어 녹색이며 꽃은 넓은 깔때기 모양으로서 내면은 주홍색이고 목부분은 황색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외화피가 내화피보다 좁으며 뒷면 중륵은 짧은 통부와 더불어 녹색이고 수술은 6개이다. 온실에서는 3월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며 분주 또는 종자로서 번식하지만 종자의 경우에는 꽃이 피기까지 4년이 걸린다.
    열매 : 열매는 길이 2.5㎝정도로서 붉은색으로 익는다.


    분포 : 온실에서 널리 재배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artenflora. 131 (1864)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9. No Image

    흰흑오미자

    학명 : Schisandra nigra var. hypo-glauca Makino
    과명 : 오미자과(Schisandraceae)
    속명 : 오미자속(Schisandra)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이고 길이 2~6cm이다.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얕은 톱니가 있다.




    분포 : 한국 일본
    형태 : 낙엽 덩굴나무이다.

    특징 : 흑오미자와 닮았으나 잎 뒷면이 흰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0. No Image

    가는잎왕고들빼기

    학명 : Lactuca indica f. indivisa (Makino) Hara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왕고들빼기속(Lactuca)
    이명 : 가는잎꼬들배기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30cm로서 밑부분이 직접 원줄기에 달리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으로서 털이 없다. 잎이 갈라지지 않으며 작고 밋밋하거나 잔톱니가 있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20-40cm로서 많은 두화가 달리며 두화는 지름 2cm이고 연한 황색이며 총포는 밑부분이 굵어지고 길이 12-15mm이며 내포편은 8개 정도이다.
    열매 : 수과는 짧은 부리와 더불어 길이 5mm이고 관모는 길이 7-8mm로서 백색이다.
    줄기 : 높이가 1-2m에 달하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 내지 이년초.
    유사종 : ▶왕고들빼기 (var. laciniata (O. KUNTZE) HARA) ▶용설채 (var. dracoglossa KITAM.): 잎이 갈라지지 않고 크며 재배하고 있다.
    특징 : ▶잎이 갈라지지 않고 피침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Spermatophytarum Japon. 2 : 220 (H. Hara, 195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줄민둥뫼제비꽃

    학명 :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f. variegata F.Maek.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잎 : 잎은 삼각상 난형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이다. 뒷면은 대개 자줏빛이 돌고 흰 털이 나며 길이 3~6cm이다.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연한 분홍색으로 꽃줄기의 길이 5~8cm 자주색 반점이 있다. 부수체는 난형 때로는 톱니가 있으며 거는 원주형이고 길이 6~7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다.

    뿌리 : 원줄기는 없다.
    분포 : 우리나라 일본 중국


    특징 : 민둥뫼제비꽃과 닮았으나 짙은녹색의 잎표면에 잎맥을 따라 흰 줄무늬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2. No Image

    산개고사리

    학명 : Athyrium vidalii (Franch. & Sav.) Nakai
    과명 :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속명 : 개리고사리속(Athyrium)
    이명 : 산골개고사리 산골뱀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20-50㎝이며 중축은 우축과 더불어 홍자색이 돌고 인편은 선형이며 갈색으로 밋밋하고 엽병 기부에 밀생. 엽신은 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으로서 길이 20-50㎝ 폭 20-40㎝이며 끝이 어느정도 갑자기 좁아져서 뾰족해지고 좀 굳은 편이며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우편은 피침형이고 예첨두로서 약간 짧은 대가 있는 것도 있다. 소우편은 삼각상 타원형으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며 대가 없고 넓은 예저로서 잎쪽의 것이 우축과 평행하며 우상으로 중앙까지

    열매 : 포자낭군은 열편의 중륵 가까이에 달리고 포막은 선형이거나 갈고리처럼 꼬부라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치아상의 잔톱니가 있다.

    뿌리 : 짧은 근경에서 잎이 속생.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9 : 110 (192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정향풀

    학명 :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과명 : 협죽도과(Apocynaceae)
    속명 : 정향풀속(Amsonia)
    이명 : 수감초
    잎 :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에서는 대생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6~10cm 나비 1-2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짙은 녹색이며 엽병이 거의 없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하늘색이며 지름 13mm로서 줄기 끝에 정생하는 취산화서로 달리고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1-2mm로서 끝이 뾰족하고 화관통부는 길이 8mm이며 열편은 통부와 길이가 비슷하고 수술은 5개로서 후부(喉部) 밑에 달린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길이 5~6cm이며 둥글고 털이 없으며 종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7-10mm로서 몇 개씩 서로 인접하여 들어 있으며 주름살이 있고 흑갈색이다.
    줄기 : 높이 40-80cm이고 줄기는 단립하고 곧게 서며 원주형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자람
    분포 : 전라 남도 완도 대청도 황해도 구월산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정향(丁香)풀이란 꽃핀 모양이 정자(丁字) 비슷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정자초(丁字草)에서 유래되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g. 4 : 432 (181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4. No Image

    주걱노루발

    학명 : Pyrola minor L.
    과명 : 노루발과(Pyrolaceae)
    속명 : 노루발속(Pyrola)
    이명 : 주걱노루발풀
    잎 : 잎은 밑동에서 여러장이 나오며 타원형이고 가죽질이며 엽병은 길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흰색이며 총상화서를 이룬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납작하고 둥근모양이다.
    줄기 : 높이는 20cm 내외이다.
    뿌리 : 근경을 가지고 있고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노루발풀: 높이 26cm 내외 잎은 밑동에서 밀생 꽃은 황백색으로 총상화서이고 꽃자루가 짧다.
    특징 : 세계에 약 25종 우리 나라에는 7종이 분포한다. 초본 식물로 가는 땅속줄기가 있고 근생엽은 땅에 로제트형으로 퍼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5. No Image

    털독말풀

    학명 : Datura meteloides Dunal
    과명 : 가지과(Solanaceae)
    속명 : 독말풀속(Datura)
    이명 : 가시독말풀흰꽃독말풀흰독말풀 힌독말풀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 잎차례이고 광란형(廣卵形)이며 길이 8-18㎝ 폭 5-10㎝ 끝이 예두(銳頭)이고 기부는 의저이며 뒷면에 털이 많고 톱니가 없다. 잎자루는 길이 2-8㎝이다.
    꽃 : 8-10월에 꽃이 피며 꽃은 잎겨드랑(葉腋)에 1개씩 핀다. 꽃받침은 긴 통형(筒形)이며 길이 8-10㎝ 끝이 5열(裂)되며 10맥이 있다. 화관(花冠)은 백색 지름 10㎝ 길이 20㎝ 깔때기꼴이며 가장자리에 5개의 미상돌기(尾狀突起)가 있고 밤에 핀다. 수술은 5개로 길이 15㎝이다.
    열매 : 열매는 공모양으로 지름 3-4㎝ 아래쪽으로 늘어지며 같은 크기의 가시가 밀생한다. 씨는 편평하며 지름 5㎜ 갈색(褐色)이다.
    줄기 : 줄기는 높이 1m 로 많은 가지를 치며 엷은 녹색(綠色)으로 약간 자색(紫色)을 띠기도 하고 미세한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서울의 난지도에서 채집되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일본에 귀화되었고 국내에서는 1994년 10월 29일 서울의 난지도 조사에서 채집되었다.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흰독말풀과 독말풀에 비하여 다년생 초본이며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줄기와 함께 잎 뒷면에 미세한 털이 많고 꽃받침은 길이 10㎝ 화관이 길이 20㎝로 꽃이 피며 열매가 구형으로 밑을 향해 매달리며 같은 크기의 가시가 밀포되는 특징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 13: 544 (DC., 1852)
    참고문헌 : 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Read More
  16. No Image

    향선나무

    학명 : Fontanesia phillyreoides Labill.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향선나무속(Fontanesia)
    이명 : 봄맞이꽃나무향쥐똥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난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긴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2-7cm 폭 0.8-2.2cm이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주맥이 들어가며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주맥이 튀어나오고 잔점이 산재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엽병은 길이 2-3mm이다.
    꽃 : 새가지의 엽액에 짧은 총상화서가 연속적으로 달리고 또는 끝에도 달려서 새가지 전체가 원추화서로 된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4장이고 수술이 꽃잎보다 길며 자방은 상위로서 2실이고 암술머리가 2개로 갈라진다. 5월에 개화한다.
    열매 : 열매는 시과로 편평한 아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6-8mm 폭 6mm로서 끝이 요두상이고 암술대가 남으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며 가지는 많고 옆으로 비스듬히 펴지며 소지는 네모졌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미선나무
    특징 : 열매가 난형의 부채꼴로 되어 미선나무 열매와 약간 닮았다. 향쥐똥나무라고도 하지만 식물의 특성을 무시한 점이 있어 향선나무라고 하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con. Pl. Syr. 1, 1 : 9 (179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7. No Image

    흰제비고깔

    학명 : Delphinium maackianum f. album (Nakai) W.T.Lee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제비고깔속(Delphinium)
    이명 : 산제비고깔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단풍잎 같이 3-7개로 갈라지며 열편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며 크지만 중앙부의 것은 엽병의 길이가 5cm정도이고 엽신은 길이 9cm 폭 12cm이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백색이고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포는 잎같고 소포는 소화경의 중앙부에 달리며 막질이고 소화경은 화서축의 윗부분과 더불어 갈색 융모가 있다. 꽃받침열편은 5개가 꽃잎처럼 되며 위쪽의 것은 거가 있고 꽃잎이 그 속에 들어 있다.
    열매 : 골돌은 3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cm정도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 진다.
    줄기 : 높이가 1m 정도이고 줄기가 곧게 서며 밑부분과 화서에 털이 있으나 대부분 털이 없고 상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굵은 근경은 땅속 깊이 들어간다.
    분포 : 북부 지방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제비고깔(D. frandiflorum var. chinense FISCH.)은 북한지방에 자생하는 식물로 한택식물원에서 재배시험중이다. ▶털제비고깔 (var.lasiocarpum REGEL) : 열매에 털이 있고 전체에 털이 많다. ▶부전제비고깔 (var.lasiophyllum NAK.) : 열매에는 털이 없으나 밑부분과 잎에 털이 많다.
    특징 : ▶큰제비고깔과 비슷하나 흰꽃이 핀다. ▶고산성의 희귀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 Fl. Koreae : 329 (199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금잔디

    학명 : Zoysia tenuifolia Willd. ex Trin.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잔디속(Zoysia)

    잎 : 잎은 길이 2-5㎝로서 안으로 말리고 지름 1/3-2/3mm이며 엽초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7-20㎝이고 화수는 길이 1-3㎝ 지름 2-4mm로서 연한 황색이며 화경 끝에 달리고 소수는 곧추서거나 또는 들어붙는다. 포영은 1개이며 길이 2.5-3.5mm 나비 2/3mm로서 굳고 호영은 피침형 둔두이며 길이 2-2.5mm로서 1맥이 있다. 꽃밥은 길이 1mm정도.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중부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이와 비슷하지만 잎이 안으로 엉성하게 말리고 나비 1.5-3mm인것을 Z.matrella Merr.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Imp. Sci. St-Petersbourg, Ser. 6, Sci. Math. 4:96. (183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No Image

    섬꽃마리

    학명 : Cynoglossum zeylanicum (Vahl ex Hornem.) Thunb. ex Lehm.
    과명 : 지치과(Boraginaceae)
    속명 : 섬꽃마리속(Cynoglossum)
    이명 : 남왕꽃말이민꽃말이잔섬꽃마리 제주꽃말이큰꽃마리 큰꽃말이
    잎 : 잎은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며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져서 없어지고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10-20cm 폭 2-3cm로서 양끝이 좁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지의 잎은 길이 3-10cm 폭 7-20mm이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지름 3mm정도로서 하늘색이며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서는 길이 15-20cm이며 섬꽃마리와 달리 꽃이 다소 밀착하여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꽃이 진 다음의 길이가 4-5mm로서 과시(果時)에는 젖혀진다. 꽃받침 열편은 결실시에 펼쳐진다.
    열매 : 과병은 길이 5-6mm이며 열매는 타원형으로서 갈고리같은 가시가 있고 긴 가시를 제외한 길이는 3.5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굳센 털이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비스듬히 위로 퍼지며 털은 섬꽃마리와 달리 1mm미만으로서 눕거나 비스듬히 선다.

    분포 : 내장산 이남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eue Schriften Naturf. Ges. Halle 3(2): 20 (1817)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20. No Image

    큰개기장

    학명 : Panicum virgatum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기장속(Panicum)











    학명출전 : Sp. Pl. 1 : 59 (1753)
    참고문헌 : 1) Kor. J. Pl. Tax. 33 : 83 (200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