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름제비꽃

    학명 : Viola crassa Makino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구름노랑제비꽃 구름털제비꽃 큰장백오랑캐
    잎 : 잎은 원줄기에 3-4개씩 달리고 신심형 또는 편심형이며 두껍고 맥이 뚜렷하며 털이 없고 길이 1-2cm 폭 2-4.5c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이 잎보다 3-4배 길고 탁엽은 난형이며 길이 3-4mm로서 끝이 둔하다.
    꽃 : 화경은 길이 3-4cm로서 원줄기 끝에 달리고 위쪽에 소포가 있으며 꽃은 7월에 피고 밝은 황색이며 좌우상칭이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4-5mm이며 부속체는 반원형으로서 밋밋하고 꽃잎은 길이 10-12mm이며 측판에 털이 없고 갈색줄이 있으며 거(距)는 반원형이고 길이 1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넓은 타원형이고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5-12cm이고 3-4개의 잎이 원줄기에 달리며 붉은 빛이 돈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짧으며 마디가 짧다.
    분포 : 낭림산 이북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장백제비꽃과 비슷하지만 줄기에 붉은 빛이 돌며 잎이 두껍고 맥이 뚜렷하며 털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19 : 87 (1905)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물매화

    학명 : Parnassia palustris L.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물매화속(Parnassia)
    이명 : 물매화풀 풀매화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원심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10-3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경생엽은 기부에 엽병이 없으며 원줄기를 감싼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7-45cm로서 털이 없고 능선이 다소 있으며 중앙부에는 1개의 잎 끝에는 1개의 꽃이 달린다.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2-2.5cm로서 백색이며 꽃은 하늘을 향하여 핀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녹색이고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7-10mm로서 수평으로 퍼진다. 수술은 5개이며 밖을 향한 꽃밥이 달리고 수술대는 처음에는 자방에 기대었다가 교대로 밖으로 굽으며 헛수술은 5개로서 끝이 12-22개로 갈라
    열매 : 삭과는 길이 10-12mm로서 넓은 난형이고 8월부터 익어 4조각으로 갈라져 많은 종자를 쏟아낸다.
    줄기 : 경생엽은 기부에 엽병이 없고 꽃대 줄기를 싸고 붙어있다.
    뿌리 :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유럽 몽고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산지의 산록에서 자라고 고산지대에서도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
    유사종 : 애기물매화(P. alpicola Makino)는 한라산 중턱 이상의 습지에서 자생한다.
    특징 : 산챠도 애호가들에 의해 재배 관상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3. No Image

    흰타래난초

    학명 : Spiranthes sinensis f. albiflora Y.N.Lee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타래난초속(Spiranthes)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4. No Image

    가는줄돌쩌귀

    학명 : Aconitum volubile Pall.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초오속(Aconitum)
    이명 : 가는줄덜쩌귀풀 털가는덩굴바꽃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3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양쪽 측열편이 다시 거의 완전히 2개로 갈라져서 전체가 5개로 갈라진 것 같이 보이며 각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고 최종열편은 폭 2-3m로서 뒷면 특히 맥위에 긴 털이 많으며 표면에 짧고 굽은 털이 산생한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청자색이고 총상화서이며 소화경에 긴 털이 수평으로 퍼져 있고 중앙부에 실모양의 소포가 있다. 꽃받침은 5개이며 꽃잎같고 겉에 전체적으로 털이 많이 있으며 자방은 5개이고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5개이고 털이 없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한다.
    뿌리 : 뿌리가 옆으로 자라며 잔뿌리가 많다.
    분포 : 경북에서 태백산맥을 따라 강원도 및 함경도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ort. Demid. 21 (178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5. No Image

    국화바람꽃

    학명 : Anemone pseudoaltaica H. Hara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바람꽃속(Anemone)
    이명 : 구와바람꽃 구절창포 구화바람꽃
    잎 : 근생엽은 2회3출 우상복엽이고 엽병이 길며 총포엽은 3개이고 다시 3개로 갈라지며 길이 3-10cm 폭 3-9cm로서 엽병이 있다. 소엽은 2-3개로 깊게 또는 완전히 갈라지고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결각이 있으며 길이 2-6cm 폭 1-4cm로서 대개 소엽병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남자색이거나 백색이고 화경(花莖)은 1개가 나오며 높이 10-30c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잎은 꽃같고 10~13개이며 길이 2cm 정도로서 선상 타원형이고 꽃밥은 타원형이다. 맑게 개인 낮에만 피고 흐린 날은 오무린다. 꽃잎은 없다.
    열매 : 수과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4mm정도로서 두상으로 모이고 흰색의 퍼진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자라고 길이 2-10cm이며 굵다.
    분포 : 강원도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5 : 767 (193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노랑매발톱

    학명 :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f. pallidiflora (Nakai) M.K.Park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매발톱속(Aquilegia)
    이명 : 노랑매발톱꽃노랑매발톱풀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2회3출엽이고 소엽은 넓은 쐐기형이며 2-3개씩 얕게 갈라지고 다시 2-3개씩 갈라지며 열편은 끝이 둥글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이 분백색이다. 경생엽은 3개로서 윗부분의 것일수록 엽병이 짧고 작으며 엽병은 밑부분이 넓고 막질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지름 3cm정도로서 연한 황색이고 가지끝에서 밑을 향해 달리며 꽃받침잎은 5개로서 길이 2cm정도이다. 꽃잎은 길이 12-15mm이다. 거(距)는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며 안쪽으로 말린다.
    열매 : 골돌은 5개이며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윗부분은 다소 갈라진다.

    분포 : 한라산의 표고 1 800m-1 900m 부근 및 전국의 높은 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매발톱꽃(A. buergeriana var. oxysepala (Trant. et Meyer) Kitamura): 깊은 산 냇가에 자생하며 널리 재배되고 있다. ▶하늘매발톱꽃(A. flabellata var. pumila Kudo): 백두산에 자생하며 꽃이 예쁘고 식물이 강건하여 시중에 널리 재배되고 있다.
    특징 : "형태적으로 매발톱꽃과 비슷하다. 속명 Aquilegia는 라틴어 aquila(독수리)에서 유래. 꼬부라진 거(距)가 독수리의 발톱같다. 또한 aqua(물)와 legere(모으다)의 합성어로도 보며 거(距)안에 물이 고인다. 매발톱꽃 종류들은 쉽게 교잡이 일어나 2대에서 다양한 잡종이 나타나고 꽃말은 ""춘희""로 불리워지기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7. No Image

    산미나리

    학명 : Aegopodium podagraria L.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 왜방풍속(Aegopodium)
    이명 : 왜방풍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8. No Image

    설설고사리

    학명 : Thelypteris decursivepinnata (H.C.Hall) Ching
    과명 : 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
    속명 : 처녀고사리속(Thelypteris)
    이명 : 설설이고사리
    잎 : 잎이 총생하고 엽병은 길이5-15(25)cm로서 중축과 더불어 퍼진 털과 인편이 있다.인편은 길이 2-4mm로서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으며 엽신은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고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 15-50cm 폭2.5-15cm이다.우편은 호생하고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대가 없고 중축으로 흐른다.열편은 첫째것이 가장 크며 아래위 우편의 것이 합쳐져서 중축을 따라 꾸불꾸불한 날개로 되고 양면에 털이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둥글고 열편 가장자리 근처에 달리며 포막은 작고 긴 털이 있으며 잘 떨어진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비스듬히 자란다.
    분포 : 전남 및 경남 남쪽지방
    형태 : 다년초

    특징 : 본종은 가래고사리에 비해 엽신이 피침형이고 하부 우편이 점점 짧아지고 근경이 짧다. 엽신이 2회 우상심열이고 포자에 돌기가 발달하는 것을 큰설설고사리(Phegopteris koreana B.Y.Sun & C.H.Kim)라 하여 최근에 알려졌으나 설설고사리의 한 생태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한국양치식물도감) 양쪽으로 갈라진 우편의 모양이 설설이 같기때문에 '설설고사리'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Fan Mem. Inst. Biol. 6:275 (1936)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Read More
  9. No Image

    난장이붓꽃

    학명 : Iris uniflora var. caricina Kitag.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이명 : 난쟁이붓꽃
    잎 : 줄기의 밑부분에 묵은 잎이 엉켜 있다. 잎은 길이 10-25cm 나비 3-5mm로 선형이다.
    꽃 : 5월에 연한 보라색꽃이 5cm정도의 화경 끝에 1개 달린다. 2개의 타원형 포는 길이 1.5-2.5cm로 약간 두껍고 딱딱하며 황록색이나 윗부분의 가장자리는 자홍색이며 밋밋하고 불명확한 줄맥이 있다. 화피통부는 길이 1cm이내이며 외화피는 도란상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길이 3.5-5cm이다. 내화피는 도피침형으로 외화피보다 짧으며 끝이 뾰족하고 곧추선다. 수술은 3개로 갈라진 화주 뒷면에 있다. 화주는 3개의 피침형 조각으로 갈라지고 끝이 다시 2개
    열매 : 삭과는 둥글며 능선이 있고 부리가 없으며 지름 7mm 가량이다. 엽초와 같은 포 안에 들어있다.
    줄기 : 줄기 밑부분에 묵은 엽초의 갈색 섬유가 있다.
    뿌리 : 가는 근경이 가로 뻗으며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분포 : 강원도 이북 설악산 주변 향로봉 점봉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유사종 : ▶제비붓꽃(I. laevigata Fisch.) ▶꽃창포(I. ensata var. spontanes Nak.) ▶타래붓꽃(I. pallassii var. chinensis Fisch.) ▶솔붓꽃(I. ruthenica Ker-Gawl.) ▶금붓꽃(I. ssavatieri Nakai) ▶노랑붓꽃(I. koreana Nakai) ▶각시붓꽃(I. rossii Bak.) ▶붓꽃(I. sanguinea Hornemann) ▶부채붓꽃(I. set
    특징 : 붓꽃에 비해 키가 상대적으로 더 작으나 꽃은 크고 아름답다. 환경부에서 희귀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지정번호 식-28)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49 : 232, f. 4 (193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좀사위질빵

    학명 : Clematis brevicaudata DC.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으아리속(Clematis)
    이명 : 작은질빵풀
    잎 : 잎은 대생하고 2회3출의 우상복엽이며 엽병이 길고 소엽은 대개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2-4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둔하며 상반부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지름 1.5cm정도로서 백색이며 원추상 취산화서는 엽액에서 자라고 많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열편은 4개이며 십자형으로 퍼지고 길이 7-10mm로서 도피침형이며 꽃잎이 없다. 수술과 암술은 다수이고 꽃받침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털이 없고 암술대가 붙어서 우상으로 퍼지며 암술대는 길이 24mm정도이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만경목

    특징 : 사위질빵과 비슷하지만 잎이 2회3출인 것이 다르고 잎이 작기 때문에 좀사위질빵이라고 하며 사위질빵의 변종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gni vegetabilis systema naturale 1:138 (1818)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11. No Image

    흰철쭉

    학명 :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f. albiflorum Y.N.Lee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진달래속(Rhododendron)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2. No Image

    긴잎끈끈이주걱

    학명 : Drosera anglica Huds.
    과명 : 끈끈이귀개과(Droseraceae)
    속명 : 끈끈이주걱속(Drosera)

    잎 : 잎이 곧추서고 엽병과 더불어 길이 5-15cm 나비 4mm이다. 잎은 총생하며 선상 도피침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둥글며 표면과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되며 엽병 밑부분에 갈색의 긴 털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0-25cm이고 꽃은 7월에 피며 백색으로서 윗부분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4-5mm로서 깊게 4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둔하거나 원상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고 꽃잎은 주걱모양이며 5개로서 백색이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고 3개의 암술머리는 각 2개로 다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고 길이 6mm이며 3개로 벌어지고 종자는 피침형이며 길이 1.6mm정도로서 흑색이다.


    분포 : 경기도 및 중부 이북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1. angl. ed. 2 : 135 (1778)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13. No Image

    시베리아붓꽃

    학명 : Iris sibirica L.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단풍제비꽃

    학명 : Viola albida f. takahashii (Makino) W.T.Lee
    과명 : 제비꽃과(Violaceae)
    속명 : 제비꽃속(Viola)
    이명 : 단풍씨름꽃 단풍오랑캐
    잎 : 잎은 밑동에 밀생하고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깊게 장상으로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길이 16.5cm 폭 4.5cm로서 크게 3개로 갈라지고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밑으로 흘러서 긴 대로 되고 2개로 갈라진 측열편 밖에서부터 길이 7cm 폭 3cm인 것 길이 11.5cm 폭 3.5cm인것 등이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며 흰색이고 향기가 나며 잎 사이에서 길게 난 화경 끝에 달리며 중앙 밑부분에 실같은 포가 2개 있으며 포는 길이 1cm정도이다. 꽃받침잎은 길이 7mm정도로서 피침형이고 털이 없으며 부속체는 길이 2mm정도로서 끝이 깊게 갈라지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길이 1cm정도로서 백색이고 5장이며 측판에 털이 있고 거는 길이 6mm정도로서 기둥 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고 길이 10-16mm이다.
    줄기 : 줄기는 없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남산제비꽃과 태백제비꽃의 잡종성을 지니고 있으며 잎은 태백제비꽃의 가장자리에 깊은 톱니가 있는 것에서부터 밑부분이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 것 및 남산제비꽃의 열편이 훨씬 넓어진 것 등 변이가 심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menta Florae Koreae 719 (W.T.Lee, 19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감태나무

    학명 : Lindera glauca (Siebold & Zucc.) Blume
    과명 : 녹나무과(Lauraceae)
    속명 : 생강나무속(Lindera)
    이명 : 간자목 뇌성목 백동백 백동백나무 흰동백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두껍고 길이 5-14㎝ 넓이 1.5-2.5㎝로서 타원형 예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로서 표면은 털이 없고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중륵 윗부분에 짧고 가는 털이 밀생한다. 두껍고 윤채가 나며 뒷면은 회록색으로 호생한다. 엽병의 길이는 6-10㎜이다. 새순은 주홍색이며 단풍은 주홍색 또는 황색이고 겨울에도 마른잎이 떨어지지 않는다. 난대림지역에서는 겨울에도 엽병의 기부가 살아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4월에 잎이 필 때 엽액에 나오는 산형화서에 달리며 황색이다. 화피는 6개로 갈라지며 9개의 수술은 바깥 줄에 6개 안쪽 줄에 3개있고 안쪽것은 선체(腺體)가 2개씩 있다. 화경은 길이5㎜정도로서 털이 있다.
    열매 : 장과는 둥글고 지름 8mm정도이고 9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소과경은 길이 12mm정도이다.
    줄기 : 수피는 회백색으로 평활하며 소지는 회백색이고 가지에 털이 없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중부 이남의 표고 50-1 100m에 자라며 특히 지리산 줄기를 따라 남부 지방에 많이 자생하며 고성의 바닷가 숲속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뇌성목 (var.salicifolium T.LEE) : 잎이 도피침형이고 어린 가지가 적색이며 바다 근처에서 자란다.
    특징 : 일본에서는 흉년이 들면 잎을 가루로 만들어 곡식과 혼식했었다고도 한다. 맹아력이 좋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us. Bot. 1 : 325 (Blume, 185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16. No Image

    긴흑삼릉

    학명 : Sparganium japonicum Rothert Fedschenko
    과명 : 흑삼릉과(Sparganiaceae)
    속명 : 흑삼릉속(Sparganium)
    이명 : 긴흑삼능 호흑삼능
    잎 : 잎은 편평하고 길며 뒷면에 능선이 있고 나비 4-11㎜이다. 엽초는 용골 모양이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7-8월에 피고 암꽃은 두상화수가 2-5개오서 처음 1-2개는 대개 화경이 있으며 수꽃은 두상화수가 5-8개이고 보다 밀접하게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2mm정도이며 암술대는 1개로서 암술머리와 더불어 길이 2mm정도이다. 포는 화서보다 길고 화서는 갈라지지 않는다.
    열매 : 방추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5㎜ 각이 지지 않았다.
    줄기 : 높이 40-70cm이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S.hyperboreum LAESTADIUS : 암술대의 길이가 0.5mm정도이고 잎의 나비가 2-3mm이며 북부지방 고산지대의 물속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1. Aziat, Ross. 1 : 26 (191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7. No Image

    흰비늘고사리

    학명 : Dryopsis maximowicziana (Miq.) Holttum & Edwards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흰비늘고사리속(Dryopsis)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ew Bull. 41 : 197 (1986)

    Read More
  18. No Image

    가는털백미

    학명 : Cynanchum chinense R.Brown
    과명 :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속명 : 백미꽃속(Cynanchum)
    이명 : 좀박주가리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9. No Image

    섬광대수염

    학명 : Lamium takesimense Nakai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광대나물속(Lamium)
    이명 : 섬광대나물울릉광대수염큰광대수염
    잎 : 엽병은 길이 0.5-2.5cm로서 표면에 홈이 지고 밑부분의 가장자리와 마디에 털이 다소 있으며 대생한다. 엽신은 난형이고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다소 심장저이고 길이 7-13cm 나비 3.5-7cm로서 가장자리에는 굵은 톱니가 있고 잔털이 다소 산생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윗부분의 엽액에 모여 달리고 포는 침형으로서 잔털이 있으며 꽃받침은 겉에 털이 없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에 잔털이 다소 있다. 화관은 순백색이고 길이 2cm로서 겉에 털이 있으며 측열편에 짧은 부속편이 있다.
    열매 : 소견과의 열매가 달린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털이 없으며 밑부분의 지름이 1cm정도이다.

    분포 : 한국(경상북도 울릉도의 산지)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광대수염(L. album L. var.barbatum (sieb. et zucc.) Franch. et Savat.)
    특징 : 광대수염과 비슷하나 보다 크고 광택이 나며 잎의 밑이 다소 심장저이고 꽃이 순백색이고 열편에 짧은 부속편이 있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4)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5)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Read More
  20. No Image

    전나무

    학명 : Abies holophylla Maxim.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전나무속(Abies)
    이명 : 저수리 젓나무
    잎 : 잎은 상록성의 선형이고 길이 4cm 폭 2mm로서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백색기공조선이 있고 횡단면에는 수지구(樹脂構)가 있다.
    꽃 : 개화기는 4월 하순으로 일가화이며 황록색 꽃이 핀다. 웅화서는 원통형이며 길이 15mm로서 황록색이고 화경은 길이 4.5mm이며 자화서는 2-3개가 서로 접근하여 달리고 길이 3.5cm로서 긴 타원형이며 길이 6mm정도의 화경이 있다.
    열매 : 구과는 난형 또는 원통형으로서 길이 10-12cm 지름 3.5cm이고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며 과경은 길이 7mm이다. 실편은 거의 둥글고 길이 25-30mm로서 흔히 밖에 수지가 묻으며 포는 밖으로 나타나지 않고 거의 원형이며 10월 상순에 성숙한다. 종자는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12mm 폭 6mm로서 연한 갈색이고 날개는 길이 13.5mm 폭 12mm이다.
    줄기 : 높이 40m 지름 1.5m에 달하며 가지는 윤생하고 수평으로 퍼진다. 수피는 잿빛이 도는 암갈색으로서 거칠고 소지는 회갈색이며 털이 없거나 간혹 있고 얕은 홈이 있다. 유시에는 측지가 원대보다 길다. 동아는 난형이며 털이 없으나 수지(樹脂)가 약간 있다.
    뿌리 : 천근성이다.
    분포 : 전국의 깊은 산에 자생하며 평안북도 이북에서는 해발 1200m이하의 계곡 남부지방에서는 해발 1500m이하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 교목 수형:원추형으로 자라다가 원정형으로 된다.
    유사종 : ▶분비나무(A. nephrolepis) : 작은 가지 황갈색이고 잎은 끝이 갈라진다.
    특징 : 우리나라에 원래부터 있었던 전나무는 추운지방을 좋아하는데 주로 이북의 고산지대와 고원지대에 자라고 있다. 남쪽지방에는 일본 전나무가 심어지는데 일본에서 건너온 이 나무는 따뜻한 곳을 좋아한다. 목재의 색이 모래알같이 희고 깨끗하다 하여 사송(沙松)이라고도 불리우는 이 전나무는 대표적인 음수로 그늘에서 더 잘 자라며 어려서는 자람이 매우 느리나 심은지 10-15년이 지나면 자람이 왕성해져서 대경재생산이 가능한 수종이다. 종자결실은 풍흉이 심하여 5-7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anges Biol. Bull. Phys.-Math.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6: 22 (186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