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5월에 피며 소화경은 길이 2-3cm로서 한쪽에 털이 줄지어 돋고 1개의 백색 꽃이 위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꽃잎도 5개로서 도란형이고 길이 6mm이며 원두 또는 둔한 절두이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자방에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고 지면 가까이에 폐쇄화가 몇 개씩 달리며 대가 있다.
잎은 대생하며 윗부분의 잎이 특히 커지지 않고 도피침형이며 길이 10-40mm 폭 2-4mm로서 예두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삭과는 난상 원형이고 3개로 갈라져서 세립 종자를 산출한다.
원줄기는 1-2개씩 나오고 높이 8-12cm로서 줄로 돋은 털이 있으며 가늘고 길며 곧게 선다.
방추형의 괴근이 1-2개씩 달린다. 뿌리를 태자삼(太子蔘)이라 한다.
다년초.
▶참개별꽃(P. coreana Ohwi): 잎은 선형 좁은 피침형 길이 1.5-2.5㎝ 원줄기와 함께 털이 없으며 끝이 뾰족하다. ▶긴개별꽃(P. japonica Pax.): 위쪽 잎은 난형 긴 난형이고 아래쪽 잎은 선형 피침형 길이 1.5-3㎝ 양 면에 털이 있다. ▶큰개별꽃(P. palibiniana Ohwi): 방추형의 흰 괴근이 있고 흰 털이 있다. 밑동에 나는 잎은 주걱모양 줄기 위에 나는 잎은 특별히 큰 난형 길이 3-
국가식물표준목록
Nat. Pflanzenfam., ed. 2. 16c: 318 (Engl. & Prantl, 1934)
4~6월에 두 종류의 꽃이 피며 원줄기 끝에 1개의 백색 꽃이 위를 향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5-25m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5-7개로 갈라지고 털이 약간 있으며 꽃잎은 넓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6-8mm로서 둔두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밥은 황색이고 자방은 6개의 모가 진 난형이며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흔히 지면 가까운 곳에 폐쇄화가 달리지만 윗부분까지 올라가는 수도 있고 짧은 대가 있다.
잎은 대생하고 줄기 밑부분의 것은 주걱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밑부분에 털이 있다. 줄기 윗부분에 달려 있는 2쌍의 잎은 특별히 크며 마디사이가 짧고 십자형으로 배열되며 넓은 난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밑부분이 급히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길이 3-4cm 폭 1.5-2.5cm로서 털이 없다. 줄기의 마디 사이가 짧아서 마치 잎이 윤생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과실은 삭과로서 4갈래로 갈라져서 작은 종자가 나온다.
높이 10-20cm이고 줄기의 마디 사이가 짧으며 털이 2줄로 돋고 흰털이 있다.
방추형의 백색 괴근이 있다.
다년생 초본
꽃이 별모양으로 생겼으며 잎이 다른 개별꽃류에 비해 크기때문에 `큰개별꽃`이라고 한다.
▶눈개별꽃(P. ovata) ▶민왜별꽃(P. japonica var. glabra) ▶참개별꽃(P. coreana Ohwi): 잎은 선형 좁은 피침형 길이 1.5-2.5㎝ 원줄기와 함께 털이 없으며 끝이 뾰족하다. ▶개별꽃(P. heterophylla Pax.): 줄기는 1-2개씩 나오고 흰 털이 나 있다. 위쪽 잎은 크며 피침형 길이 10-40㎜ 아래쪽 잎은 좁아져서 잎자루 모양이다. ▶긴개별꽃(P. japonica Pax.):
꽃은 4-5월에 피고 지름 5mm정도로서 백색 바탕에 약간 붉은 빛이 돌며 화경은 근생엽보다 약간 길며 윗부분이 갈라져서 끝에 밑을 향한 백색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꽃잎같으며 길이 5-6mm로서 좁고 긴 타원형이고 꽃잎도 5개이며 길이 2.5-3mm로서 밑부분이 통같고 극히 짧은 거(距)가 밑에 있다. 수술은 9-14개이며 안쪽의 것은 꽃밥이 없는 헛수술이다. 암술은 3-4(때로는 5)개가 서로 떨어져 있으며 대가 없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3개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소엽은 길이 1-2.5cm로서 2-3개로 깊게 갈라지고 각 열편에 둔한 결각이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은 화경(花莖)과 더불어 잔털이 약간 있다.
골돌은 피침형이고 길이 5-6mm이며 털이 없다. 종자는 흑색으로서 둥글고 겉에 주름이 진다.
높이 15-30cm이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근경은 덩어리모양이다.
다년생 초본이다
▶기부에 짧은 거가 있다. ▶수술은 9-14개이나 안쪽의 것은 꽃밥이 없는 헛수술(가웅예)이다.
4-5월에 짧은 총상화서가 나와 접형화 비슷한 연한 홍색 꽃이 달리며 꽃받침잎은 5개로서 꽃잎처럼 생긴 양쪽 2개의 꽃받침잎이 날개모양으로 된다. 꽃잎은 밑부분이 합쳐져서 한쪽만 터지고 앞면에 해당하는 꽃잎 뒷면에 갈라진 열편이 있으며 수술은 8개로서 밑부분이 합쳐진다. 씨방은 2실이며 화주(花柱)는 2갈래로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2cm로서 줄기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엽병이 매우 짧다.
삭과는 편평한 원형이고 2개의 포가 있으며 넓은 날개가 있고 9월에 익는다.
초본성 반관목으로서 높이가 20cm에 달하고 뿌리에서 여러 대가 나와 곧추 또는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잔털이 난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지름 2.5cm로서 연한 홍색이고 1개씩 달리며 짧은 화병이 있고 꽃받침열편은 긴 난형이며 둔두로서 털이 없고 겉은 적갈색이며 길이 5mm이다. 꽃잎은 난형 또는 원형이고 길이 13-15mm로서 원두 또는 미요두이며 수술은 길이 8-12mm이고 수술대는 백색이며 털이 없다. 암술은 길이 10mm이고 암술머리가 둥글며 암술대와 더불어 적색이고 암술대 기부 및 자방에 융모가 있다.
잎은 호생하고 좁은 난상 피침형이며 긴 점첨두 넓은 예저이고 길이 6-14cm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어린 잎에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엽병에 간혹 밀선이 있다.
핵과는 둥글며 지름 3cm로서 잔털이 있고 7월에 황색으로 성숙한다.
소지는 회갈색이고 약간 윤채가 있으며 지름 2-4mm이고 피목은 가늘며 길고 둥글다.
낙엽 활엽 소교목
▶겹홍도(P. persica for. rubroplena) : 중부 지방 도홍색의 겹꽃으로 관상용으로 이용한다. ▶겹백도(P. p. for. alboplena) : 중부지방 백색의 겹꽃으로 관상용.
꽃은 4-5월에 피며 대에 털이 있고 가지끝에 2~3송이가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색털이 있으며 열편은 좁은 난형이고 길이 4-8mm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며 화관은 연한 홍자색이고 지름 5-6cm로서 깔때기모양이며 4개로 갈라지고 상부의 꽃잎 내측에는 진홍색의 반점이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수술대는 털이 없거나 기부에 복모가 있다. 수술밥은 자색 암술은 길게 쑥 나와 있다. 화경 및 꽃받침에 끈적끈적한 액이 있다.
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고 좁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3-8cm 폭 1-3cm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표면에 털이 드문드문 있고 뒷면 특히 맥 위에 갈색털이 밀생하며 엽병은 길이 1-5mm로서 갈색털이 많다. 어린 순의 인편에는 끈끈한 점액이 있다. 엽병과 잎가에는 양면에 모두 갈색의 잔털이 있다.
삭과는 난형이고 길이 8-10mm로 겉에는 긴 털이 있으며 9월에 성숙한다.
높이 1-2m이고 수피는 회황갈색이 나며 소지는 흰색의 털로 덮여 있다가 다음해에는 없어지고 화경과 더불어 점성이 있다.
천근성으로 세근이 많다.
낙엽활엽관목 수형: 다간형에 수관은 낙화산형이다.
맹아력이 강하다.
▶겹산철쭉(R. yedoense Maxim. et Regel 혹은 R. matsumurai Kom.): 꽃은 만첩인데 열매를 맺지 않는다. 경기도 이북에 자란다. ▶흰산철쭉(for. albiflora Chang): 순백색의 꽃이 핀다. 전남 불갑산에 자란다.
국가식물표준목록
A Revision of the Genus Rhododendron in Japan, Taiwan, Korea and Sakhalin 44 (T.Yamaz., 1996)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같이 피며 연홍색이고 2-4개가 산형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1.7-2.2cm 정도로서 털이 없거나 있고 꽃받침통은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꽃받침잎은 타원형으로 잔톱니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꽃잎은 연한 홍색으로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수술이 꽃잎보다 짧으며 암술대에 잔털이 있고 자방에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며 난형 난상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급한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7cm 폭 2-2.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깊은 복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3-5mm이다.
열매는 핵과로서 구형이고 털이 없으며 7-8월에 적색으로 익고 맛이 약간 떫다. 종자는 둥글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mm정도이다.
줄기는 회갈색이며 회색의 띠를 갖는다.
낙엽활엽소관목.
(P. nakaii Level.)
▶털이스라지(for.rufinervis Nak.): 엽맥에 털이 많다. ▶산이스라지(P. ishidoyana Nakai) : 소화경에 털이 없고 길이 1cm정도이며 꽃받침잎에 선상의 톱니가 있고 털이 없으며 꽃잎은 길이 1㎝이고 난형이며 백색 또는 담홍색인데 열매는 길이 1.7㎝ 직경 1.3㎝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이 둥글며 8월에 황홍색 또는 홍색으로 익는다. 자방에 갈색털이 밀생한다. ▶옥매(P. g. for. albiplena) : 경기도
화경(花莖)은 높이 6-12cm에서 20-25cm로 자란다. 꽃은 5-6월에 피고 1개의 화경이 나와서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리며 포는 선상피침형이고 길이 4-7.5cm 나비 4-6mm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길이 10-17mm로 되며 밑부분이 화경을 얼싸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이 필 때의 총포는 길이 23-26mm 나비 9-16mm이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난형이며 길이 7-8mm 나비 4-6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백색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퍼지며 총상 피침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으로 흐르고 길이 12-35cm 나비 5-30mm로서 밀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수과는 선형이며 길이 13mm 지름 1mm 정도로서 백색이고 관모는 길이 18mm정도이며 연한 갈색이다.
꽃은 7월경에 피며 백색이고 취산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3cm로서 꽃이 핀 다음 밑을 향하고 포는 잎 모양이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7mm정도로서 털이 있다. 꽃잎은 5개이고 넓은 도란형이며 꽃받침보다 길고 길이 8-10mm로서 끝이 5-12조각으로 갈라지며 10개의 수술과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6-12cm 폭 1-2.5cm로서 측맥이 약간 뚜렷하고 뒷면에 누은 견모(絹毛)가 많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없다.
삭과는 난형이고 꽃받침보다 길다. 8-9월에 익어 끝이 3조각으로 갈라진다.
높이 50-80cm이고 줄기는 밑부분이 비스듬히 자라지만 윗부분은 곧추선다. 전체에 누운 견모가 있으며 가지가 많다.
근경은 가늘며 포복하고 가닥이 난다.
다년생 초본.
▶쇠별꽃(S. aquatica Scop.): 줄기 위쪽에 약간의 선모가 있다. 잎은 넓은 난형, 길이 1-6㎝, 털이 없다.
▶실별꽃(S. filicaulis Makino): 줄기는 밀생, 네모지고, 털이 없다. 잎은 선형, 길이 2-3㎝이다.
▶별꽃(S. media Villars):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고, 줄기에 한 줄의 털이 있다. 잎은 난형, 길이 1-2㎝, 대부분 양 면에 털이 없다.
▶왕별꽃(S. radicans L.): 전체에 누운 털이 퍼져난다. 잎은 피침형, 길이 6-12㎝, 양 면에 가는 털이 나고, 잎자루는 없다.
꽃은 주로 4월에 피며 5-13개가 총상화서를 형성한다. 포는 길이 7-12㎜ 폭 3-9㎜인 타원형이며 선단에 잔 거치가 있다. 소화경의 길이는 개화시에 6-14㎜이고 열매성숙시에는 10-20㎜이다. 꽃은 흰색으로서 길이 20-24㎜이며 거의 길이는 9-13㎜이다. 꽃받침은 특히 크게 발달하는데 길이 3-5㎜ 폭 3-5㎜의 도란형으로서 선단이 갈퀴형으로 갈라져 화통을 감싼다. 자방은 방추형이며 배주가 2열로 배열한다. 주두(柱頭)는 다각형으로
엽병의 길이는 1-12㎝ 엽신은 길이 2-8㎝ 폭 2-10㎝의 2회3출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서 잎가는 밋밋하다.
열매는 길이 4-13㎜ 폭 2-4㎜인 납작한 방추형이며 종자가 거의 2열로 배열한다. 종자는 구형으로서 길이 2.2-2.4㎜ 폭 2.2-2.3㎜이며 표면에는 광택이 있다
줄기는 경상성(傾上性)이고 지름이 0.6-2㎜이며 횡단면은 원형이다. 경생엽(莖生葉)은 2장이다
지하경은 길이 2-13㎝이며 괴경은 지름이 1-1.8㎝로서 내부는 백색이다. 인편엽은 1개로서 길이 1-1.8㎝이며 기부에서 여러개의 줄기가 나와 높이 7-21㎝의 지상부을 형성한다
다년초
갈퀴현호색에 비해 흰꽃이 핀다.
▶갈퀴현호색(C. grandicalyx B.Oh et Y.Kim): 꽃은 청색 또는 보라색으로 핀다.
꽃은 주로 4월에 피며 5-13개가 총상화서를 형성한다. 포는 길이 7-12㎜ 폭 3-9㎜인 타원형이며 선단에 잔 거치가 있다. 소화경의 길이는 개화시에 6-14㎜이고 열매성숙시에는 10-20㎜이다. 꽃은 진한 청색으로서 길이 20-24㎜이며 거의 길이는 9-13㎜이다. 꽃받침은 특히 크게 발달하는데 길이 3-5㎜ 폭 3-5㎜의 도란형으로서 선단이 갈퀴형으로 갈라져 화통을 감싼다. 자방은 방추형이며 배주가 2열로 배열한다. 주두(柱頭)는 다각
엽병의 길이는 1-12㎝ 엽신은 길이 2-8㎝ 폭 2-10㎝의 2회3출엽이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잎가는 밋밋하다.
열매는 길이 4-13㎜ 폭 2-4㎜인 납작한 방추형이며 종자가 거의 2열로 배열한다. 종자는 구형으로서 길이 2.2-2.4㎜ 폭 2.2-2.3㎜이며 표면에는 광택이 있다.
줄기는 경상성(傾上性)이고 지름이 0.6-2㎜이며 횡단면은 원형이다. 경생엽(莖生葉)은 2장이다.
지하경은 길이 2-13㎝이며 괴경은 지름이 1-1.8㎝로서 내부는 백색이다. 인편엽은 1개로서 길이 1-1.8㎝이며 기부에서 여러개의 줄기가 나와 높이 7-21㎝의 지상부을 형성한다.
꽃은 4~5월에 잎 사이에서 나온 짧은 꽃줄기 끝에 흑자색으로 핀다. 드물게 황록색으로 피는 것도 있다. 꽃잎은 없다. 꽃받침의 통 부분은 끝이 3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끝이 약간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대개 구불거리는 편이나 뒤로 젖혀지지는 않는다. 갈래조각의 안쪽에 흔히 짙은 색깔의 무늬가 나타난다. 수술은 12개이며 2줄로 배열된다. 암술대는 6개이다.
잎은 양면에 모두 털이 있고 뒷면에 특히 많으며 길이 8~12cm 폭 8~10cm 정도의 심장형이다. 엽병은 길이 13~17cm 정도이고 안쪽에 약간의 털이 있다.
꽃받침통은 길쭉한 통 모양으로 녹색을 띤 자주색이다. 길이 1.0~1.2cm 직경 0.9~1.0cm이다. 꽃받침 갈래는 자주색 또는 녹색을 띤 자주색이고 위로 솟거나 평평하며 끝은 뾰족해져 위로 꺾인다. 길이는 5~8mm 폭 5~7mm이며 꽃받침 갈래 밑동은 검은 자주색 또는 진한 자주색이다. 암술은 6개이고 길이 0.3~0.8mm이며 화주돌기 길이는 0.8~1.2mm이다. 수술은 12개 2열로 배열하며 약의 길이 0.6~1.1mm이고
잎은 얇고 잎 윗면에 유백색 무늬가 있음. 잎 윗면과 양 면의 맥에 털이 많음. 잎의 길이 5.5~8.5cm 폭 5~7.8cm. 엽병 안쪽에 털이 조금 있으며 길이 7~10cm이다.
열매는 수분이 많고, 속에 씨가 있는 장과(漿果)이다.
뿌리는 마디와 수염뿌리가 많다
다년초이다.
족도리풀에 비하여 잎에 무늬가 있고 잎이 얇으며 꽃받침통은 길쭉한 통 모양 꽃받침 열편의 길이와 폭이 작고, 흰색 점무늬가 꽃받침통에 있는 점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