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엽은 20-50㎝ 실엽은 길이 40-60㎝이며 엽병은 길이 5-15㎝로서 윤채가 있고 인편이 약간 있으며 인편은 난형이고 뒷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 엽신은 넓은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지며 윗부분은 길게 뾰족해지고 넓은 부분은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중축은 연한 녹색으로 표면에 잔털이 있다. 우편은 밑부분의 것은 단축되지만 윗부분의 것은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대가 없고 표면과 가장자리에 복모가 있으며 뒷면에 긴
포자낭군은 가장자리 가까이에 달리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 또는 긴 타원상 심장형이고 대개 긴 털이 있다.
잎이 총생하며 엽병은 길이 15-30cm로서 밑부분에 인편이 밀생하고 윗부분에서는 중축과 더불어 드문드문 달린다. 인편은 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피침형이다. 엽신은 오각상 넓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3회우상복엽으로서 길이 15-30cm 폭 10-22cm이다. 우편은 긴 난형이며 대가 있고 길이 1-2cm 폭 4-12mm로서 우상으로 깊게 또는 얕게 갈라지며 첫째 소우편은 우상복엽이다. 열편은 긴 타원형이고 둔두로서 가장자리에 톱
꽃은 잎에 앞서 3-4월에 흰꽃이 피며 지름 8mm로서 2-5개가 산형으로 달리지만 전체적으로 수상화서 같으며 화서는 지난해 자라난 가지에 액생한다. 소화경은 길이 1-1.5c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은 털이 없고 열편은 삼각형이며 꽃잎은 도란형으로서 수술대보다 훨씬 길다. 수술은 25개이고 수술대 밑에 2개의 선이 있으며 암술은 5개로서 털이 없고 암술대는 자방 길이의 1/2정도이며 뒤로 젖혀진다. 꽃받침 꽃잎은 각각 5개씩이다. 꽃이 피었을 때 가지 전체가 꽃방망이처럼 보이며 모든 가지들은 겨울에 함박눈을 맞은 것같은 인상을 준다.
잎은 호생하며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2-4cm 폭3-6mm로서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밝은 녹색이고 뒷면 맥위에 털이 다소 있는 수도 있다.
열매는 골돌로서 털이 없으며 길이 3mm로서 뒤로 벌어진다.
높이가 1.5m에 달하며 줄기는 가늘고 가지가 넓게 퍼지며 어린 가지는 모가 나 있고 짧은 가지에는 털이 있다. 뿌리 부근에서 가지가 나와 비스듬히 자라면서 활처럼 구부러지다가 끝부분이 다시 상향하게 된다.
낙엽활엽관목
▶조팝나무(S.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Nakai): 잎은 어긋나고 길이 2.0-3.5㎝의 타원형인데 첨두 예저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화서는 새가지 끝에 달리고 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주축이 짧고 길이 8-15cm의 측지 10여개가 사방으로 퍼진 다음 끝에서 갈라지며 몇개의 산형화서가 달린다.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고 지름 5mm이며 황록색이고 포는 길이 1-2cm로서 빨리 떨어지며 소화경은 길이 7-10mm이고 꽃잎과 수술은 각각 4-5개이다. 자방은 하위이며 2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5-9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장상맥이 있고 길이와 폭이 각각 10-30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액에 밀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30cm(50cm)이다. 과지(果枝)의 잎이 깊이 갈라지고 뒷면에 백색털이 다소 있다.
열매는 거의 둥글며 길이 4mm 지름 6mm로서 10월에 흑색으로 익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반원형이며 편평하고 길이 4-5mm 폭 3mm이다.
가지에 가시가 많다.
낙엽활엽교목.
음나무와 비슷하나 열매가 달리는 가지의 잎이 깊이 갈라지고 뒷면에 흰색털이 난다.
▶음나무(K. pictus Nakai): 잎의 길이와 넓이는 10~30㎝로서 크며 손바닥모양으로 갈라진다. ▶털음나무(var. magnificus Nakai): 잎 뒷면에 밀모가 있는 것.
국가식물표준목록
Symb. Sin. 7 : 699 (Hand.-Mazz., 1933)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꽃은 9월에 피며 화수(花穗)는 길이 20~30cm이고 중축은 花序 分枝(화서 분지)길이의 1/2 이하이다. 가지는 길이 15-30cm이며 소수(小穗)는 대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1마디에 1쌍씩 달리고 길이 5-7mm이며 속모(束毛)는 길이가 7~12mm이다. 포영은 약간 딱딱하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와 끝이 막질이고 내영은 끝이 2개로 갈라지며 길이 8-15mm의 까락이 돋는다.
잎은 밑부분이 원줄기을 완전히 둘러싸고 폭 5mm정도로서 선형이며 가장자리의 잔톱니가 딱딱하고 표면은 녹색이며 중륵은 백색이고 털이 있는 것도 있다.
높이 1-2m이다.
근경은 굵으며 옆으로 뻗는다.
다년초.
▶참억새 (M.sinensis ANDERSS.) ▶얼룩억새 (for.variegatus Nak.): 잎이 얼룩진다. ▶억새 (var.purpurascens Rendle) : 소수가 자주색이고 첫째 포영에 4맥이 있다.
꽃은 8∼9월에 연한 황갈색으로 피고 화서 밑의 잎은 길이꽃은 8∼9월에 연한 황갈색으로 피고 화서 밑의 잎은 길이 1~3mm이며 양쪽에 1~2개의 두화가 달려 화서는 좁고 두화는 난형으로 지름 2~3mm이다. 총포는 겉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고 포편은 3열로 배열한다.
근엽은 화시에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5~9cm 나비 3~5mm이고 양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 엉킨 면모로 덮여 있으며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선형으로 된다.
연한 붉은색의 꽃은 7~8월에 피고 길이 4mm이며 줄기나 가지 끝에 밀착한 총상화서로 달린다. 포는 넓은 난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5-7mm로서 끝이 뾰족하고 꽃받침에 붙어 있으며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고 소화경보다는 훨씬 길다. 꽃받침잎은 길이 3mm정도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 7-8mm로 되며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넓은 선형 또는 피침형 양 끝이 좁고 길이 1.5~3cm 나비 2-6mm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희미한 낮은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0mm이다.
4~5월에 개화하는 꽃은 연홍색이지만 간혹 백색인 것도 있으며 총경(總梗)이 없는 소화경에 2~3개가 모여서 산형으로 달리고 화서에 털이 없다. 꽃은 지름 2.5~4.0cm 이며 꽃받침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꽃잎은 둥글고 끝이 오므라지며 향기가 없고 암술대 및 자방에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이고 길이 8∼12cm 폭 4∼7cm로서 점첨두 아심장저이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거나 선모가 있으며 뒷면은 분백색으로 털이 없고 톱니가 도삼각형이다. 엽병은 털이 없으며 적색이고 길이 1.5~3.0cm로 윗부분에 한쌍의 적색 밀선(密腺)이 있다.
과실은 구형으로 핵과이며 5~6월에 흑갈색으로 성숙한다.
통직하고 많은 가지를 내어 원추형의 수형으로 되며 수피는 암자갈색이고 옆으로 벗겨지며 피목이 옆으로 길게 나타난다.
낙엽활엽교목
잎이 피침형인 벚나무
▶벚나무 (var.spontanea (MAX.) WILS.) ▶사옥 (var. quelpaertensis UYEKI) : 엽병과 화경에 잔털이 있으며 화경의 길이가 2-3cm이다. ▶잔털벚나무 (var. pubescens NAK.): 화경 소화경 잎 뒷면 및 엽병에 털이 있다. ▶털벚나무 (var. tomentella NAK.) : 엽병과 잎 뒷면 중륵에 융모가 밀생하고 화경에도 털이 많다.
꽃은 5-6월에 피며 가지 끝에 4개 내외가 어긋나기로 조밀(稠密)하게 배열된다. 꽃자루는 5㎜ 이내로 짧다. 꽃받침은 꽃잎보다 짧으며 위쪽 열편(裂片)은 2개이고 아래쪽 열편은 3개의 위축된 톱니가 있다. 꽃잎은 백색 또는 엷은 청록색이다.
엽병(葉柄)의 길이는 2-6㎝이며 엽신(葉身)은 7-9개의 소엽(小葉)으로 이루어진 장상복엽(掌狀複葉)이다. 소엽은 선형(線形)이며 길이가 2-4㎝ 폭 1-3㎜로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누운털이 있다. 탁엽(托葉)은 송곳 모양으로 길이가 5-7㎜이며 털이 있고 굽었다.
열매는 길이가 2.5-5㎝ 폭이 5-8㎜로 씨 부위가 볼록해지며 4-6개의 씨가 들어 있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가 20-40㎝이며 잎과 함께 털이 약간 있다.
1년생 초본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아 지역 대만에 귀화되었다. 국내에는 1996년 6월 인천시 남항과 1998년 6월 수인 산업도로의 안산시 지역에서 다수 채집 확인하였다. ▶소엽의 모습을 표현하여 `가는잎미선콩`으로 국명을 신칭하였다. ▶원예종인 미선콩(L. luteus)에 비하여 식물체가 작고 소엽이 선형으로 길이가 2-4㎝ 폭 1-3㎜로 좁은 것과 꽃색이 백색에서 엷은 청색인 점이 다르다.
꽃은 9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25-40cm로서 산방상이고 화서축은 원추화서 길이의 1/2정도이며 마디 부근에 털이 있다. 가지는 길이 20-40cm이다. 소수는 2개씩 달리며 피침형 예첨두이고 길이 5-6mm로서 길고 짧은 대가 있으며 밑부분에서 길이 10-15mm의 백색 털이 속생한다. 포영은 길이가 같고 윗부분에 백색 털이 있으며 첫째 포영에 2맥이 있다. 내영은 짧은 까락이 있는 것도 있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은 길이 3mm이다.
잎은 길이 40-80㎝ 나비 5-10㎜로서 밑부분 표면에 털이 있으며 윗부분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뒷면은 다소 분백색이다.
꽃은 6-10월에 피고 화경(花莖)은 가늘다. 화서는 길이 10-25㎝로서 5-12개의 穗狀花序(수상화서)가 산방상으로 달리며 잎 뒷면과 더불어 분록색이거나 자줏빛이 약간 돈다. 소수는 각 마디에 2개씩 달리고 그 중 1개는 대가 있으며 1개는 대가 없고 화수축에 붙어서 굵은 가지처럼 보인다. 소수의 길이 10㎜정도로서 예두이며 까락이나 털이 없다. 대가 없는 포영은 2개의 능각과 4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1개의 능각과 3맥이 있다. 2개의 호영은 비슷
잎은 편평하며 길이 20-40㎝ 나비 5-8㎜로 매우 좁고 털이 없으며 엽설은 길이 1-2㎜이고 절두(截頭)이며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고 엽초는 둥글며 가장자리와 위끝에 털이 있다.
꽃은 자웅이주로 4-5월에 유이화서로 핀다. 웅화수(雄花穗)는 타원형이며 길이 1.5-4cm이고 포는 도란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상반부는 흑색으로 털이 있고 밀선은 1개 수술은 2개이며 서로 떨어지거나 밑부분이 붙는다. 자화수는 길이 2.5-3.5cm이고 포는 도란형으로서 짧은 털이 있으며 상반부는 흑색이고 밀선은 1개이다. 자방은 난형이며 밀모로 덮여 있고 대는 선(腺)보다 짧거나 없으며 암술머리는 2-4개이다.
잎은 선상 피침형이고 중앙 이하가 가장 넓으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10-16cm 폭 4-8mm로서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함. 표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뒷면은 융모가 밀생하며 은백색이다. 엽병은 길이 3-10mm로서 털이 있고 탁엽이 작다.
삭과는 길이 4-8㎜로 6월에 익는다.
높이 5-6m로서 소지에 융모가 밀생하며 동아에 털이 있다.
낙엽활엽소교목
▶육지꽃버들 : 기본종 ▶좀육지꽃버들 (var. abbreviata Doell) : 잎이 길이 3-9cm 폭 4-9mm이고 화서의 길이가 6-12mm이며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꽃은 4~5월에 피고 2~4개의 소수가 달린다. 소수는 곧추 서고 정소수는 길이 5~15mm로 선형이며 수꽃이 달린다. 측소수는 난형으로 길이 5~7mm이고 접근하여 나며 암꽃이 성글게 달린다. 포는 길이 1cm 정도의 엽초로 되고 황록색이다. 암꽃의 인편은 좁은 도란형으로 길이 4~6mm이다.
잎은 편평하거나 안쪽으로 말리고 나비 0.5~1mm이며 줄기보다 길고 꽃이 진 뒤에 더 길어지며 기부의 엽초는 짙은 적갈색으로 섬유같이 갈라진다.
과포는 세모진 넓은 도란형으로 짧은 털이 밀생한다. 수과는 세모진 넓은 도란형이고 암술머리는 3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