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산형화서는 1쌍의 잎이 달린 짧은 가지 끝에 달리며 지름 6-8cm로서 성모가 밀생하고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6-7mm로서 백색이다. 꽃받침은 성모가 있고 열편은 난상 원형이며 수술이 화관보다 약간 길고 자방에 털이 없다.
잎은 대생하고 난형 타원상 긴 난형 또는 도란형이며 점첨두이고 원저 넓은 예저 또는 심장저이며 덜꿩나무의 잎(길이 4-10cm 나비 2-5cm)에 비해 작고 흔히 갈라진다. 뾰족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표면에 성모가 드문드문 있으며 뒷면에 성모가 밀생하고 맥액에 백색 또는 갈색의 긴 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2-6mm로서 털이 있고 탁엽이 있다.
열매는 난상 원형이며 지름 6mm로서 9월에 적색으로 익고 종자는 양쪽에 홈이 있다.
높이가 2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성모가 밀생하며 지점(脂點)이 없다.
낙엽 활엽 관목
▶덜꿩나무(V. erosum Thunb.): 잎은 타원상 장란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 4-10㎝ 나비 2-5㎝로서 잎의 양면에 성상모가 있다. ▶개덜꿩나무 (var. vegetum NAK.) : 잎이 원형에 가깝고 갈라지며 전체가 대형이다.
꽃은 5-6월에 황갈색으로 핀다. 수꽃은 원통형이며 길이 1.5cm로 황갈색이고 암꽃은 타원형으로서 길이 1.5cm이며 연한 자주색이다. 자웅동주이다.
잎은 길이 1∼2㎝로서 편평하고 선형 예두이며 곧거나 구부러지고 표면 가까운 양쪽에 수지구가 있다. 잎의 뒷면에 백색 기공조선이 발달한다. 잎횡단면 양측 가장자리에 송진 구멍이 있다.
구과는 9-10월에 익으며 황록색이고 원통형 또는 원통상 타원형으로서 길이 40-75mm이며 주로 가지끝에 매달리며 처음에는 상향하고 있다가 나중에는 하향하게 된다. 실편은 도란형 또는 마름모 비슷한 긴 타원형으로 윗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포는 작고 침형으로서 뾰족하며 종자는 난형 원두이고 길이 24-30mm로서 흑갈색이 돌며 날개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7mm정도이다. 종자에 날개가 있다.
높이 40m이상이고 지름이 1m에 달하며 수관이 원추형이고 수피는 회갈색으로 비늘처럼 벗겨진다. 소지는 털이 없고 누른빛이 돌며 잎이 떨어진 자리가 돌출하여 있다. 동아는 원추형으로서 수지로 덮여 있다.
상록 침엽 교목
심·변재의 구분이 불분명하며 변재에서 심재쪽으로 짙어지는 담황갈색이다. 목리는 통직하고 가볍고 연하며 향기는 없으며 건조 가공 할열 표면마무리 등이 양호하고 도장성은 보통이나 내후 보존성은 낮고 특히 소리의 전달성이 양호하다.
▶붉은가문비(for.rubrilepis Uyeki) : 열매가 자주갈색(마르면 암갈색)이며 북부지방에서 볼 수 있다.
꽃은 8-10월에 피며 양성이고 황색이며 지름 25-35mm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화경(花梗)은 길이 4~15cm이다. 총포편은 5~10개이고 길이 1.5-4.5cm로서 도피침형 둔두이며 외포편(外苞片)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길이 9-11mm이며 내포편(內苞片)은 선형이다. 설상화는 없고 통상화는 길이 4-4.5mm로서 끝이 4개로 갈라지며 통부는 길이 2mm정도이다.
잎은 대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피침형이지만 중앙부의 것은 길이 4-13cm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3-5개로 갈라지며 엽병은 길이 0.8-2.5cm로서 날개가 약간 있다. 정열편은 크고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측열편은 1-2쌍으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옆으로 퍼지고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져서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되거나 3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길이 7-11mm 나비 2-2.5mm로서 가장자리와 능선 위에 역자(逆刺)가 있고 관모는 완전한 것 2개와 불완전한 것 1-2개가 있으며 길이 3-4mm로서 역자(逆刺)가 있다. 다른 물체에 붙어서 종자를 산포한다.
꽃은 자웅일가화로서 4월에 피며 화축에 털이 있고 웅화수는 길이 10-20cm이며 수술은 12-14개이고 길게 늘어져 핀다. 자화수에 4-10개의 꽃이 달린다. 주두는 빨갛다.
잎은 기수우상복엽이고 소엽은 7-17개이며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7-28cm 너비 10cm 정도로 예두이며 이그러진 아심장저이고 잔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뒷면은 털이 있거나 없으며 맥위에 선모가 있다. 엽병에 선모(腺毛)가 밀생한다.
열매는 핵과로 난상 원형이고 길이 4-8cm이며 예첨두이고 내과피는 흑갈색이며 8개의 능각 사이는 요철이 매우 심하다. 종자는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몹시 단단하며 9월에 익는다. 핵의 내부는 2실(二室)이다.
높이가 20m에 달하며 곧게 자라고 수피는 회색이며 세로로 갈라진다. 가지는 굵고 성글게 나오며 소지에 선모(腺毛)가 있다.
낙엽 활엽 교목
맹아력이 강하다.
▶긴가래나무(for. stenocarpa):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능각이 다소 뚜렷하지 않다. ▶왕가래나무(var. sieboldiana): 열매에 능각이 없다.
엽병은 길이 10~30cm이고 하부에 넓은 피침형으로 엷은 다갈색 인편이 있다. 엽신은 삼각형으로 밝은 녹색이며 길이와 밑부분의 나비가 10~18cm이고 끝이 뾰족하며 양면에 백색털이 있고 중축 뒷면에 인편이 드문드문 난다. 우편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대가 없으며 상부 우편은 기부는 날개로 되나 중축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열편은 장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파상 톱니가 있다.
포자낭군은 가장자리 근처에 달리고 포막은 없다.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난다.
다년초이다.
국가식물표준목록
Fl. Rocky Mts.1043 (Rydb., 1917)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꽃은 7-8월에 피고 수상화서에 달리며 황록색으로 핀다. 엽액에서 길이 7cm정도의 화경이 나와 많은 꽃이 물 위에 조밀하게 많이 핀다. 화수(花穗)는 길이 2~5cm이고 화서의 대는 윗부분이 가늘어진다. 꽃잎은 4개로서 약격(葯隔)이 있고 끝에 짧은 암술대가 달린다. 수술은 4개로 세로로 터지는 2개의 포로 덮인 꽃밥이 있고 자방은 4개이다.
물 위에 나온 잎은 길이 5~10cm 폭 1.5~4cm로서 피침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엽병은 길이 6~10cm 이지만 물의 깊이에 따라 길거나 짧다. 수중엽은 피침형이며 엽병이 길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의 세포가 톱니처럼 도드라진다. 탁엽은 길이 3-4.5cm로서 얇은 막질이고 썩기 쉽다.
핵과는 길이 3~3.5mm로 뒷면에 능선이 있고 끝에 짧은 암술대가 있다.
길이가 약 50cm 정도 자란다.
근경은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마다 뿌리가 내린다.
수생 다년초로 관엽식물이다.
▶가는가래(P. cristatus Regel et Maack): 물 속에 있는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물 속에 잠기는 잎은 길이 4-6㎝ 폭 0.7㎜ 끝이 뾰족하고 물 위에 뜨는 잎은 긴 타원형이다. ▶선가래(P. fryeri A. Benn.): 가래보다 대형이고 턱잎은 가늘고 길다. 큰가래와 비슷하나 물에 잠기는 잎에 잎몸이 있고 밑에 피침형의 잎이 호생한다. ▶애기가래(P. octandrus Poiret): 가는가래와 비슷하나
꽃은 5-7월에 피며 지름 8-10mm로서 황색이고 줄기나 가지 끝의 취산화서에 많이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20mm로서 위를 향한 백색털이 있다. 부악편은 선형이고 꽃받침잎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예두로서 모두 겉에 털이 약간 있고 꽃잎은 도심장형이며 넓은 예저로서 각각 5개씩이며 수술과 암술은 많다.
근생엽은 긴 엽병끝에 5출장상복엽이 달리고 줄기에 잎이 3개씩 달리며 엽병이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소엽은 도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1-5cm 폭 8-20mm로서 표면은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으며 뒷면 맥위에는 복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화탁은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으며 수과는 난형이고 황갈색이며 길이 0.5mm가량이고 털이 없으며 세로로 약간 주름이 지며 6-7월에 익는다.
높이 20-60cm이고 하반부가 비스듬히 자라며 엽액에서 가지가 옆으로 뻗고 끝이 위를 향하며 위로 향한 털이 있다.
꽃은 7-10월에 피고 소수는 1-2개이고 화서는 2-3회 갈라지며 산형(傘形)이다. 첫째 포는 선형으로서 화서보다 길거나 짧으며 소수는 긴 난형이고 길이 5-8㎜ 지름 2.5-3㎜로서 흑갈색이다. 인편은 넓은 난형이고 중륵(中肋)은 녹색이고 능선과 털이 없으며 끝이 둔하고 짧고 뾰족한 돌기가 있다. 암술대는 길이 2-2.5㎜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잎과 화경 일부분에 털이 있다. 잎이 침형이며 폭 1.5-4㎜로서 작지만 밑부분에 털이 있고 엽초는 녹색이 도는 갈색이며 대개 털이 있다.
수과는 넓은 도란형이며 길이 1㎜정도로서 다소 구형인 세포(細胞)가 5-6줄로 바둑판같이 배열되고 크림색으로 익는다.
원추화서는 밝은 녹색 또는 연한 녹색이고 길이 8-15㎝ 지름 3-5cm로서 가지가 옆으로 퍼지며 반윤생하고 작은이삭은 길이 4-6㎜ 나비 2㎜로서 편평하며 4-5개의 꽃으로 된다. 첫째 포영은 1-3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3.2mm정도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3.5mm정도로서 중륵이 뚜렷하고 측면에 털이 없으나 능각과 측맥 밑부분에 복모가 있으며 면모도 있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은 길이 1.5-2mm이다.
잎은 밝은 녹색이고 길이 10-15cm 나비 1.2-3㎜로서 때로는 표면에 털이 있으며 엽초는 다소 편평하고 밑부분의 것은 때로 털이 있으며 엽설은 길이 1-2mm로서 절두이다.
곧게 서거나 밑이 약간 구부러지며 납작하다.
근경은 옆으로 10cm정도 뻗는다.
다년초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꽃은 7-10월에 피며 수상화서가 모여서 전체 모습은 원추화서를 이룬다. 화수(花穗)는 초록색 원주상으로 폭 5-7㎜ 줄기 끝에 있는 것은 길게 자라며 끝이 휘거나 늘어지기도 하고 옆의 것은 곧게 또는 비스듬히 다수의 짧은 화수를 만든다. 자웅이화(雌雄異花)이며 포엽(苞葉)은 중앙맥이 진한 초록색으로 길이 2-4㎜ 화피편(花被片)은 5개 길이 1.5-2㎜ 끝이 뾰족하다.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고 잎자루는 길이 3-7㎝ 잎새는 능상 난형(菱狀 卵形)으로 길이 5-12㎝ 폭 3-6㎝ 끝이 예두(銳頭) 기부는 예저(銳底)이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의 맥 위에 성긴 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으며 주름이 진다. 잎새의 중앙맥(中央脈)이 잎끝에서 1.5㎜ 정도 가시 모양으로 돌출된다.
열매는 포과(胞果)로 화피편보다 조금 길며 익으면 가로로 잘라진다. 씨는 흑색 지름 1㎜ 광택이 있다.
줄기는 높이 60-200㎝로 곧게 자라고 위쪽에서 분지(分枝)하며 세로로 골이 파이면서 모서리가 생기며 어릴 때는 연한 털이 있다.
1년생 초본
세계의 온대에서 열대까지 넓게 귀화되었다.
▶눈비름(A. deflexus L.): 줄기는 밑동에서 갈라지고 잎은 난형 좁은 난상 삼각형 길이 1-4㎝ 털이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비름(A. mangostanus L.): 잎은 넓은 난형 길이 4-12㎝ 잎자루가 길다. ▶털비름(A. retroflexus L): 전체에 짧은 털이 퍼져 나고 줄기는 거칠고 굵으며 가을철에 붉어지기도 한다. 잎은 길이 5-10㎝ 뒷면 맥에 연한 털이 있다. ▶청비름(A. virid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와 가지 끝의 원추형의 취산화서에 많은 꽃이 달린다. 소화경은 가늘고 길며 화관의 지름은 1.2cm내외이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종형이고 5갈래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잎도 5개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있고 길이 1.5~3cm 폭 1~1.5cm로서 난형이며 양끝이 좁고 특히 윗부분이 뾰족하며 기부는 줄기를 감싼다.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3-4mm이며 난상 구형이고 끝이 6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종자는 소형으로 황갈색이며 표면에 작은 돌기가 있다.
높이가 50cm에 달하고 줄기는 약하며 밑부분이 옆으로 기고 윗부분은 비스듬히 올라가거나 곧게 서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체에 굽은 털이 있다.
▶애기장구채(M. apricum Rohrb.): 전체에 회색의 잔털이 밀생 잎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 길이 2-8㎝ 끝이 뾰족하다. ▶장구채(M. firmum Rohrb.): 녹색 또는 자줏빛을 띠는 녹색 마디 부분은 검은 자줏빛이다. 잎은 긴 타원형 난상 넓은 피침형 길이 3-10㎝이다. ▶털장구채(M. firmum Rohrb. for. pubescens Ohwi): 장구채와 닮았으나 식물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꽃은 9-10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이삭화서로 달리며 화수(花穗)는 길이 2.5-5cm 지름 1cm로서 한쪽으로 치우쳐서 빽빽하게 꽃이 달린다. 포는 둥근 부채모양으로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자주빛이 돌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길이 7mm정도이며 꽃받침은 길이 2mm정도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바늘처럼 뾰족하며 안쪽에 긴 백색 털이 밀생한다. 화관은 길이 5mm정도로서 4개로 갈라지고 털이 있으며 수술 4개 중 2개는 길다
잎은 대생하며 선형이고 길이 2-7cm 폭 1.5-5mm로서 표면 맥과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다.
열매는 소견과이다.
높이가 50cm에 달하고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굽은 털이 줄로 돋아 있고 어릴 때는 선점이 있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종모양으로 밑쪽을 향한다. 꽃줄기는 길이 10∼30cm이고 그 윗부분의 총포는 대가 없으며 3∼4갈래로 갈라진 잎조각은 다시 줄 모양으로 갈라지고 겉에 털이 빽빽이 난다. 꽃받침잎은 6개로 장타원형이고 흰 털이 빽빽이 난다. 안쪽에는 털이 없으며 검은 적자색이다.
잎은 기주우상복엽이다. 소엽은 5개이고 밑부분의 소엽은 2∼5개로 갈라진다. 꼭대기에 갈라진 잎 조각의 끝은 뾰족하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는 명주실 같은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가지 끝에 총상화서(總狀花序)을 이룬다. 꽃은 엷은 황색으로 지름 8㎜정도의 십자화(十字花)이다. 꽃받침은 4개로 바깥쪽의 2개는 끝에 뿔 모양의 짧은 돌기가 있다. 꽃잎은 길이 6-9㎜이다. 수술은 4개는 길고 2개는 짧다.
근생엽(根生葉)은 길이 10-14㎝이고 우상(羽狀)으로 심열(深裂)되며 열편의 폭이 넓고 가장자리에 성긴 털이 있으며 로제트를 이룬다. 경생엽(莖生葉)은 근생엽보다 열편이 좁아지고 위쪽의 것은 거의 사상(絲狀)을 이룬다.
열매는 봉상(棒狀)으로 길이 5-10㎝ 폭 1.2㎜로 털이 없고 열매자루는 길이 6-8㎜이다.
줄기는 높이 20-70㎝로 성긴 털이 드문드문 있거나 또는 털이 없다.
1년생 초본
▶국내에서는 1996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에서 출판된 `원색 외래잡초 종자도감`에 본 종을 `가는잎털냉이`로 발표를 하였으나 종자 사진과 종자의 형태 기록만 있으며 채집지와 식물 전체의 기재가 없었다. 1998년 5월 아산호방조제와 수인산업도로의 안산시 부곡동에서 채집하여 확인되었다.
▶긴개갓냉이(S. orientale): 근생엽은 우상으로 심열되지만 열편이 3-4쌍으로 폭이 넓고 경생엽의 위쪽의 잎도 피침형으로 폭이 넓다. 꽃받침에 뿔 모양의 돌기가 없고 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