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색으로 7~8월에 잎 사이에서 가시가 돋은 긴 화경(花梗)이 자라서 끝에 지름 4cm의 꽃이 1개 달리고 낮에 벌어졌다가 밤에 닫힌다. 꽃받침열편은 4개로서 녹색이며 끝이 날카롭고 밑부분이 합쳐져서 통같이 되며 꽃잎은 다수이고 꽃받침열편보다 작으며 밝은 자주색이다. 수술은 많아서 8겹으로 돌려나며 꽃잎 안쪽에 달리고 수술대는 짧으며 꽃밥은 긴 타원형이고 약격(葯隔)은 절두이다. 심피는 8개이며 8실의 자방은 하위이고 암술머리는 반상(盤狀)이며 오그라
종자가 발아하여 나오는 잎은 작으며 화살같지만 타원형을 거쳐 점차 큰 잎이 나오기 시작하여 자라면 둥글게 되고 약간 파진다. 타원형 또는 둥근 방패모양이며 지름은 20cm에서 큰 것은 2m에 이르기도 하며 표면에 주름이 지고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흑자색으로서 맥이 튀어나오고 짧은 줄이 있으며 양면 맥위에 가시가 돋는다. 잎은 수면에 뜨고 엽병이 길다. 앞면은 광택이 나는 녹색이나 뒷면은 흑자색이다.
열매는 장과로서 타원형 또는 구형이고 지름 5~7cm이며 겉에 가시가 있고 끝에 숙존악이 뾰족하게 남아 있다. 종자는 구형이고 가종피는 육질종의로 싸였으며 과피는 흑색이며 딱딱하고 배유(胚乳)는 백색이고 점질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화서는 윗부분의 엽액과 가지 끝에 달리며 가지가 갈라져서 끝에 꽃이 달린다. 소화경은 중앙에 관절이 있고 화피는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 또는 원형이고 짙은 홍색으로서 가장자리가 백색이며 털이 없다. 수술은 8개 암술대는 3개가 있다.
잎은 호생하며 크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얕은 심장저이며 길이 3-13cm 폭 1-7cm로서 양쪽 기부의 열편이 뾰족하고 밖으로 튀어나오며 뒷면 맥 위에 짧고 가시같은 털이 있다. 초상의 탁엽은 막질이며 길이 1cm정도로서 맥이 뚜렷하고 맥 위에 가시같은 털이 있으며 줄기를 둘러싼다.
열매는 세모진 길이 2.5mm정도의 수과이며 흰색이다.
높이가 1m에 달하며 줄기는 곧게 서고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윗부분은 화경과 더불어 적색 선모가 밀생한다.
1년생 초본.
줄기에 적색 선모가 밀생한다.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개여뀌(P. longiseta):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원통형 적자색이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3-5cm로서 가지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둥글며 길이 18-20mm 지름 25-35mm이고 포편은 7-8줄로 배열되며 겉에서 안으로 약간씩 길어지고 끝이 뾰족한 선형이다. 화관은 자주색 또는 적색이며 길이 19-24mm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경생엽보다 크며 타원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고 길이 6-10cm로서 밑부분이 좁으며 6-7쌍의 우상으로 갈라지고 양면에 털이 있음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고 경생엽은 피침상 타원형이며 원줄기를 감싸고 우상으로 갈라진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진다. 동속 근연종에 비해 잎이 다닥다닥 달리고 보다 가시가 많다.
수과는 길이 3.5-4mm이며 관모는 길이 16-19mm이다.
높이 50-100cm로서 전체에 백색 털과 더불어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다년초
▶잎이 다닥다닥 달리고 보다 가시가 많으며 길이 6-10mm이다.
▶엉겅퀴 var. ussuriense KITAMURA ▶좁은잎엉겅퀴 var. nakaianum NAK.: 잎이 좁고 녹색이며 가시가 다소 많다. ▶흰가시엉겅퀴 for. alba T. LEE : 백색 꽃이 핀다.
꽃은 7-9월에 피며 두화(頭花)는 지름 1.2㎝ 정도 6-12개의 설상화(舌狀花)로만 이루어지며 벌어진 원추화서(圓錐花序)를 만든다. 총포(總苞)는 원통형(圓筒形)이며 높이 6-9㎜ 총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내편의 1/3길이이다. 설상화는 황색이며 끝에 5치(齒)가 있다.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고 잎자루가 없고 잎새는 장타원형(長楕圓形)또는 장타원상 피침형(長楕圓狀 彼針形)이며 길이 10-20㎝ 폭 2-7㎝이다. 끝이 예두(銳頭)이고 기부는 이저(耳底)로 줄기를 일부 싸며 거치(鋸齒)가 있거나 우상 분열(羽狀 分裂)을 하고 가장자리에 작은 가시가 줄지어 배열되며 뒷면 주맥 위에 가시가 열지어 배열된다.
수과(瘦果)는 도란형(倒卵形)-장타원형이며 길이 3㎜ 담갈색 자상모(刺狀毛)가 있으며 길이 4-8㎜의 부리 모양의 돌기를 갖는다. 관모(冠毛)는 백색이다.
줄기는 단단하며 곧추 서고 높이 20-80㎝ 윗부분에서 원추상(圓錐狀)으로 가지를 치고 털이 없거나 기부에 가시 모양의 거친 털이 있다.
1-2년생 초본
유럽 원산이며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 귀화되었다. 국내에서는 1980년 任良宰 全義植 양씨에 의하여 보고되었다.
6-9월에 꽃이 핀다. 꽃은 자웅동주(雌雄同株)이며 수꽃은 총상(總狀)을 이루며 길이 약 10㎝정도로 길게 된 꽃자루 끝에 달리며 지름 1㎝ 황백색 꽃밥은 융합되어 한 덩어리가 되엇으며 꽃자루에는 선모(線毛)가 있다. 암꽃은 짧은 꽃자루 끝에 두상(頭狀)을 이루며 지름 6㎜ 담녹색 1개의 암술 씨방하위(子房下位)이다.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며 잎자루는 길이 3-12㎝ 연모가 밀생한다. 잎새는 거의 원형 5-7천열(淺裂)이 되며 지름 8-12㎝ 기부는 깊은 심장저(心臟底)이고 열편은 끝이 예두(銳頭) 또는 점첨두(漸尖頭)이다.
열매는 자루가 없고 3-10개가 뭉쳐 나며 장타원형이며 가느다란 가시로 덮여 있다.
줄기는 4-8m에 이르며 3-4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으며 기어오른다. 각(角)이 졌으며 연모(軟毛)가 밀생한다.
1년생 초본
유럽 호주 일본 등지에 귀화되었으며 최근 우리 나라에 귀화된 식물로 철원 수원에서 채집되었다.
꽃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지름 3cm 정도로 백색이고 꽃받침잎은 가늘고 길이 1cm 정도로서 겉에 잔복모가 있으며 안쪽에 털이 많다.
맹아지의 잎은 길이 18cm정도로서 9-11개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소엽은 피침형이고 길이 4-7cm로서 복거치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3-5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4-7cm로서 복거치가 있으며 양면에 선점이 있고 털이 전혀 없다.
꽃은 8-10월에 피며 자웅동주(雌雄同株)이고 줄기가 가지 끝에 원추화서(圓錐花序)를 이룬다. 수꽃의 두화(頭花)는 구형(球形)이며 화서(花序)의 위쪽에 부착하고 암꽃은 2개가 총포(總苞)에 싸여 있으며 수꽃의 아래쪽에 달리고 암꽃의 총포는 타원형이며 길이 1.9-3㎝ 폭 1.2-2.2㎝ 밀집 부착이 되고 끝쪽에 2개의 끝이 굽은 부리 모양의 돌기가 있다. 표면에 많은 가시가 있으며 가시는 길이 4-7㎜ 끝이 갈고리처럼 굽었으며 인편상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며 길이 6-12㎝의 잎자루가 있고 잎새는 넓은 난형(卵形)으로 3천열(淺裂)되며 3맥이 뚜렷하고 잎 가장자리에는 크기가 다른 뭉툭한 낮은 톱니가 있고 표면이 특별히 거칠다.
줄기는 높이 40-120㎝ 담녹색이며 흑자색 반점(班點)이 있고 거칠다.
1년생 초본
귀화식물로 일본에도 귀화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980 년에 보고가 되었다. `큰도꼬마리`에 비하여 부리 모양의 돌기와 가시에 인편상의 털이 있어 구분이 된다.
▶큰도꼬마리(X. canadense Mill.): 암꽃 총포의 표면은 털이 없고 광택이 있으며 사마귀 모양의 선점(腺點)이 산재한다.
꽃은 일가화로서 4-5월에 피고 웅화서는 길이 10cm 정도로서 전년도 가지에서 밑으로 늘어지며 많은 수꽃이 피고 자화서는 새 가지에서 곧게 위로 향해 핀다. 수꽃의 화피는 4-5개로 갈라지며 4-5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총포로 싸여 있으며 4-5개로 갈라진 화피와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상반부 또는 가장자리에 예리한 잔톱니가 있고 길이 7-12cm 폭 2-3cm로서 측맥은 11-15쌍(보통 12쌍 이상)이며 표면은 털이 없으나 녹색에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엽맥이 튀어 나와 있으며 회백색이고 털이 없다. 엽병은 길이가 1-2cm이다. 손으로 문지르면 약간의 흰가루가 닥여지면서 녹색면을 드러낸다.
각두는 반구형이고 6-7층의 동심원층(同心圓層)이 있으며 견모가 있다. 견과는 각두로 쌓여 있고 길이 1.5-1.7cm로서 난상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10월에 익는다.
높이가 15m에 달하고 줄기가 곧게 자라 둥근 수형을 이루며 수피는 회흑색이고 평활하다. 어린가지는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직근과 측근이 있다.
상록활엽 교목 수형:넓은 난형
심 변재 모두 황갈색 또는 홍갈색으로 심 변재의 경계가 불분명하다. 방사공재로 나무갗이 거칠며 무겁고 단단하며 약간의 향기가 있으며 내구성이 크고 할열 도장성은 보통이며 건조속도가 느리고 절삭가공 접착성은 불량하다.
▶붉가시나무(Q. acuta Thunb.) ▶종가시나무(Q. glauca Thunb.) ▶참가시나무(Q. salicina Blume):가시나무와 비슷하나 잎뒷면은 처음부터 털이 있고 백분으로 덮였으며 측맥의 수가 10-12쌍이고 잎가장자리는 예리한 거치와 함께 우그러진 모양을 보인다. 제주도 울릉도 및 남쪽 섬에 자란다. ▶개가시나무(Q. gilva Blume):돌가시나무라고도 하며 잎이 도란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잎의 뒷면에 황갈색털이 밀생한다.
꽃은 6-8월에 피며 연한 황색이지만 중심부는 녹색이고 엽액에 1-3송이씩 밑을 향해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2-3cm로서 과시에는 끝부분이 굵어진다. 꽃받침은 잔 모양이고 가시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형이며 화관은 겉에 짧은 털이 있고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 있으며 암술대에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지만 마디에서는 2장씩 달리며 엽병은 짧으며 난상 원형이고 길이 4-8cm 나비 3-5cm로서 끝이 짧게 뾰족해지며 털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열매는 장과로 흰색으로 익고 지름 8-10mm로서 둥근 꽃받침에 싸이며 겉은 가시 모양의 돌기가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황록색이며 많은 꽃이 총상화서로 달리고 소화경보다 긴 숙존포가 있으며 수꽃화서는 길이 2-3cm이고 암꽃화서는 길이 1-2cm이다. 수꽃의 꽃받침은 타원형으로서 끝에 작은 톱니가 있으며 황록색이고 길이 1.5mm이며 꽃잎은 좁은 주걱형으로서 길이 0.5-0.7mm이고 수술과 더불어 각 5개이다. 암꽃에 있어서 자방은 구형 또는 난형이며 꽃받침잎은 난형이고 꽃잎은 도삼각형이며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고 도란형 또는 난형이며 끝에서 얕게 3개로 갈라지고 둔두 예저이며 상반부에 몇 개의 톱니가 있고 3출맥이 있으며 길이 2.5-3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에 윤채가 있으며 하반부의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다.
열매는 장과로서 원형이고 털이 없으며 적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반구형이며 한쪽 면이 편평하고 길이 2-3mm로서 황갈색이다.
잎이 다소 단단하다. 엽병은 볏짚색 기부는 충충한 색이다. 잎몸보다 다소 짧고 인편이 많이 붙어있다. 인편은 진한 갈색 검정색으로 광택이 나며 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길이는 5~12mm이다. 엽병 기부의 인편은 좁은 난형으로 길이 15mm 너비 5mm가량된다. 잎몸은 2회 깃꼴로 갈라지며 좁은 난상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기부는 좁아지지 않으며 길이 30~38cm 너비 10~20cm이다.
포자낭군은 소우편에 2줄로 중륵과 가장자리 중간에 붙고 포막은 빨리 떨어지며 막질이고 지름 약 1.5mm이다.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3~3.5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5-6mm 지름 9-11mm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이 내편보다 약간 짧으며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다. 설상화는 길이 18mm 나비 2.5mm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 무렵에는 말라 죽는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8~10cm 폭 2.5cm 정도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길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안쪽으로 굽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위로 올라가면서 작어져서 선상 피침형으로 되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수과는 길이 3~3.5mm 나비 2mm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0.5-1mm로서 붉은빛이 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