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Miq.
- 천남성과(Araceae)
- 앉은부채속(Symplocarpus)
- 산부채풀 삿부채
- 잎이 뿌리에서 나오며 넓은 원심형이고 길이 30~40cm 폭 35~42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은 깊은 심장저이고 엽병은 길이 50~60cm 정도로 길며 연록색이고 기부는 연록색을 띤 흰색이며 잎은 녹색인데 뒷면은 연한 녹색이 나고 털은 없다.
- 꽃은 잎보다 먼저 1포기에 1개씩 나오며 화경(花莖)은 길이 10-20cm이고 포는 길이 8-20cm 지름 5-12cm로서 검은 자갈색이며 같은 색의 반점이 있고 육수화서(肉穗花序)가 있다. 꽃은 양성이며 4개의 꽃잎은 연한 자주색이고 빽빽하게 달려서 거북의 잔등같으며 4개의 수술에는 황색 꽃밥이 달린다. 암술은 1개이고 난형이다.
- 열매는 여름에 익고 둥글게 모여 달린다.
- 원줄기는 없다.
- 근경은 굵고 짧으며 긴 끈같은 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북동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 ▶애기앉은부채(S. nipponicus Nakino)는 강원도 이북의 고지대에서 자생한다.
- 국가식물표준목록
- Ann. mus. lugd. bat. 2 : 202 (1866)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사진 : 경기
도감등록수 4942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