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무류 등 수피 안에 넓은 적갈색-흑갈색 자좌, 그 안에 수많은 자낭각이 점 모양 들어있다. 자낭각은 0.3mm 이하. 수피가 박리되고 자좌가 들어난다.
회색민팥버섯(Biscogniauxia mediterranea)와 혼동되기 쉽고. 이 버섯의 불완전 세대는 주홍꼬리버섯(Libertella betulina Desm.)이다.
자실체(좌자)는 수피 속에 묻혀 있다가 팽창하면서 수피를 깨고 밖으로 노출된다. 처음에는 직경 수cm 정도의 작은 형태로 노출되어 다소 둥글게 방석모양 수피 밑으로 퍼져나가면서 넓은 면적의 수피가 이탈된다. 자좌의 표면은 어릴 때 적갈색을 띠고 후에는 흑갈색을 띤다. 자좌를 절단해 보면 내부는 허연색∼크림색의 층이 있고 그 층 안에 다수의 흑색 자낭각이 점모양 산재되어 있다. 자낭각은 직경 0.2∼0.3mm이다. 자좌의 표면은 흔히 갈라지고, 셀 수 없는 점모양의 미세한 돌출이 생기는데, 이는 자낭각의 자낭포자를 내보낼 포자 분출공(殼孔)이 된다.
포자는 소시지형. 평활, 연한 갈색, 끝에 작은 방울이 들어있다. 8∼12×2㎛.
자낭은 곤봉형, 8개의 포자가 있고, 불규칙한 2줄로 배열되어 있다. 35∼40×5∼6㎛. 꼭지에 두꺼운 고리가 있다. 측사는 보이지 않는다.
적갈색-흑갈색
연중내내
연중내내, 참나무류, 너도밤나무, 산사나무류 등 각종 활엽수 죽은 가지에 발생. 이 버섯의 불완전세대인 주홍꼬리버섯은 표고 재배용 참나무 골목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주요 해균이다
자좌는 2∼4mm정도. 갈흑색 방석모양 자좌에 0.2∼0.4mm의 검은 색 자낭각이 1∼2층으로 들어 있다. 참나무류 등 활엽수의 수피에 난다.
자실체(자좌)는 주로 너도밤나무의 가지에서 나오며, 참나무류 등 다른 활엽수의 가지에서도 수피를 뚫고 발생된다. 자좌(子座; stroma)는 2∼4mm 정도이고, 때로는 몇 개의 자좌가 합쳐지기도 한다. 갈흑색. 흔히 둥글고 방석모양이며 표면은 평평하나 약간 거친 면이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자낭각의 각공이 들어나기 때문이다. 절단한 내부는 허연색. 1∼2층으로 자낭각이 들어있다. 자낭각은 0.2∼0.4mm, 검은색.
포자는 소시지형. 평활, 연한 갈색, 7∼9×1.5∼2㎛.
자낭은 곤봉형, 8개의 포자가 불규칙한 2줄로 들어 있다. 30∼40×5㎛. 꼭지는 두꺼운 고리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