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2∼7cm. 전체가 연한 보라색∼적자색, 밑동에서 여러 개의 국수모양 버섯이 다발로 속생하며, 1∼4회 분지된다. 형태 변화가 크다.
자실체는 높이 2∼7cm. 흔히 밑동에서 다발로 속생. 여러 개의 가지가 1∼4회 가늘게 분지되어 나뭇가지 모양을 이루며 선단은 넓게 u자형 또는 v자형을 이룬다. 전체가 연한 보라색∼적자색 또는 보라색. 포도주색 등 변화가 있다. 밑동은 굵기 3∼5mm, 가지의 폭은 1∼3mm 정도이다. 살은 대와 같은 색. 취약하고 부서지기 쉽다. 식용.
포자는 넓은 타원형∼아구형. 뚜렷한 꼭지모양 돌기가 있다. 평활, 투명, 5.5∼7×4.5∼5.5㎛.
연한 보라색∼적자색
여름~가을
여름∼가을. 활엽수 임지 내 또는 개활지의 풀이나 이끼 사이에 난다. 흔히 속생하거나 군생한다.
높이 3∼12cm. 보라색, 회자색, 갈자색 등, 가늘고 긴 원통형, 흔히 다발로 속생. Alloclavaria속으로 바뀌었으나, 목,과가 정해지지 않아 그대로 둠
자실체는 높이 3∼12cm, 폭 1.5∼5mm 정도. 원통형으로 가늘고 길며 밑동과 끝이 가늘어져 방추형이 된다. 흔히 다발 모양 속생. 전체가 연한 보라색. 회자색. 갈자색 등이며 퇴색하면 연한 난황색∼탁한 분홍색이 된다. 밑동은 융털모양의 흰 균사가 있다. 살은 흰색 또는 같은 색. 매우 취약하다. 식용.
높이 2∼8cm. 총생, 곤봉형, 후에 실 모양 또는 지렁이 모양. 담갈색∼황토갈색. 끝 부분이 갈색을 띠기도 한다.
자실체는 높이 2∼8(14)cm, 폭 2∼5(8)mm 정도. 자실체는 여러 개체가 총생한다.
개별적인 개체는 어릴 때 다소 곤봉형이나 후에 실모양 또는 꾸불꾸불해져서 지렁이 모양이 된다. 둥글거나 또는 약간 눌린 형이며, 때로는 세로로 골이 생기기도 한다.
표면은 둔하고, 담갈색, 연기색을 띤 회색∼황토갈색. 끝 부분은 처음에 뾰족하지만, 후에 다소 둔해지기도 하며, 끝 부분이 갈색을 띠기도 한다. 속은 비어있고, 살은 백색. 부서지기 쉽다.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내부에 다수의 방울 또는 알갱이가 들어 있다. 5∼6.5×3.5∼3.8㎛.
담자기는 홀쭉한 곤봉형, 4개의 담자뿔이 있다. 밑동에 연결꺽쇠는 없다. 35∼45×7∼9㎛.
높이 3∼10cm. 전체가 흰색. 원통형으로 가늘고 길다. 오래되면 황색 끼를 띤다. 속생하며 드물게 단생. 흰국수버섯이 기준종이어서 개칭된 것이다.
자실체는 높이 3∼10(12)cm, 폭 3∼5(8)mm 정도. 원통형으로 가늘고 길며 다소 굴곡이 되고 밑동이 가늘다. 선단은 뭉뚝하기도 하고 뾰족하기도 하다. 전체가 흰색. 오래되면 황색 끼를 띤다. 자실체는 후에 납작해지기도 하며 세로로 홈이 생긴다. 속은 차 있다가 후에 비는 경우가 있다. 살은 흰색. 매우 부서지기 쉽다. 식용.
포자는 난형. 평활, 투명, 어떤 것은 내부에 많은 작은 방울이 들어있다. 5∼9×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