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3.5∼8cm. 머리는 방추형 아름다운 홍색, 대는 원주형 연한 홍갈색, 땅속 굼벵이 류에서 난다.
자실체(자좌)는 땅에 묻힌 갑충의 유충에서 발생하여 지상에 난다. 자실체는 1개이거나 도중에 2개로 분지되기도 한다. 지상부의 높이는 3.5∼8cm, 곤봉형.
결실부는 위쪽에 생긴다. 불규칙한 원통형이나 방추형으로 부풀어 있고, 높이 2∼6cm, 지름 4∼7mm, 정도, 아름다운 홍색, 자낭각은 긴 난형, 결실부 표면에 나생하고, 밀포되어 있다.
대는 원주형, 지름 2∼5mm, 결실부의 경계는 약간 명료, 탄력이 있는 육질, 연한 홍갈색, 지중부는 지하 부분부터 세근상, 기주에 직결된다. 지중부는 연한 복숭아 색을 띤 황색, 기주에 붙어 있는 부분은 연한 오렌지 황색.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4∼5×1㎛.
아름다운 홍색,
가을
가을, 해발이 낮은 구능상의 산기슭 딱총나무, 상산나무, 찔레나무, 등나무, 칡 등의 임내에 난다.
높이 4∼10mm. 머리는 원통형 백색∼회백색, 대는 백색, 나무줄기에 붙은 깍지벌레 유충에 발생. 쐐기나방동충하초가 쐐기나방과 관련 없고, 혼동 우려 있어 개칭됨.
자실체(자좌)는 살아 있는 나무줄기에 붙은 대형 깍지벌레의 몸체에서 발생. 자실체는 3∼15개가 발생되며, 수피에 붙은 깍지벌레를 균사가 뒤덮고 그 위에 곤봉모양 머리와 대를 형성한다. 높이는 4∼10mm.
결실부(머리)는 높이 1.5∼3mm, 지름 1∼2mm 정도. 원통형∼방추형. 백색 또는 회백색. 자낭각은 머리 부에 점상 알갱이 모양으로 노출되며, 연한 분홍색을 띤 회색 또는 담갈색.
대는 원주상이고 직경 1mm 정도, 흰색 또는 회백색. 기부는 기주에 직결된다. 섬유 육질이다.
포자는 자낭포자, 긴 막대형. 약간 굽어 있다. 75∼95×3∼3.5㎛. 2차포자는 분렬하지 않는다.
백색∼회백색
여름~가을
여름∼가을. 공중습도가 높은 물가 또는 산중의 병꽃나무, 아왜나무류, 칠엽수 등 활엽수 수간에 붙은 대형 깍지벌레의 몸체에서 발생.
높이 6∼8mm. 매우 작다. 머리는 홍색, 고추 모양. 대는 담홍색 원주형, 쐐기나방 또는 나방 류 고치에서 발생. 번데기붉은곤봉동충하초의 이름이 너무 길어서 개칭됨.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서 나오며, 쐐기나방 등의 고치에서 발생. 자실체는 장타원형 또는 고추 모양의 머리와 원주상의 대로 구분되며, 2∼6개가 생긴다. 높이는 6∼8(15)mm. 머리는 홍색, 높이 4∼6mm, 직경 지름 1∼2mm 정도, 머리부에 미세한 침 또는 털 모양이 덮여 있다. 자낭각은 묻힌 형이고 각공(殼孔)이 미세하게 돌출된다.
대는 원주상이고 지름 1mm 정도. 담홍색. 육질이다.
포자는 자낭포자, 긴 대나무형 격벽이 3∼6개, 23∼30×1㎛. 이것이 2차 포자로 분렬된다.
홍색
여름
여름. 물참나무, 칠엽수 등의 활엽수 임지의 습기 많은 땅에서 쐐기나방의 단단한 고치 또는 다른 나방 류(나비목)의 고치에서 발생.
높이 1.3∼2cm. 꼬인 국수모양, 상부에 돌출형 백색 자낭각, 대는 백색∼담황색. 갑충 유충에서 난다. 벌유충동충하초라고 하였으나 벌과 관련 없고, 혼동 우려 개칭됨.
자실체(자좌)는 부후목 속에서 나며 갑충(甲蟲)의 유충에서 난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4개까지 난다. 부후목 위에 높이 1.3∼2cm. 자실체는 국수버섯 모양 위쪽으로 뾰족해 지는 원주상이다.
결실부(머리)는 상반부에 생기고, 높이 4.5∼6mm, 직경 1∼1.5mm. 결실부의 경계는 불분명하다. 자낭각은 돌출형으로 미세한 팽이 모양∼도토리모양 또는 원추형의 알갱이가 밀생.
대의 직경은 0.8∼1.2mm, 상반부는 백색이고 하반부는 연한 황갈색. 대에 꼬인 모양으로 굴곡된 요철이 많이 생긴다. 탄력성이 있는 육질인데, 하부는 기주에 직결된다.
포자는 2차 포자, 긴 난형. 평활, 투명, 1.5∼2×1㎛.
백색
여름
여름철. 참나무류나 음나무, 피나무류, 칠엽수 등의 활엽수 임내 쓸어 진 나무에 들어있는 갑충의 유충에서 발생.
지상부 3∼4.5cm. 굵은 침 모양, 자낭각은 암갈색 돌출형, 대의 위쪽은 회백색, 아래쪽은 암갈색. 땅속 방아벌레 유충에서 난다. 유충검은점박이동충하초가 개칭됨.
이 버섯의 학명이 indexfungorum에서 삭제되었는데 이유를 알 수 없어서 잔존시켰다.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서 난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개가 난다. 굵은 침 모양인데 지상부는 높이 3∼4.5cm, 직경 0.5∼1.3mm, 전체 길이는 4∼6(7)cm.
결실부(머리)는 선단부를 제외한 상반부의 거의 전면에 걸쳐 있다. 자낭각은 돌출형. 대에 난형 또는 서양 배 모양의 알갱이모양으로 다수 붙어 있고, 암갈색 또는 흑갈색. 대의 자낭각이 붙어 있는 위쪽은 회백색∼암 회백색. 그 아래쪽은 암갈색이고 기주에 직접 붙어 있다.
포자는 2차 포자, 방추형. 평활, 투명, 3∼5×1.5㎛.
암갈색
여름
여름. 참나무류, 서어나무, 음나무 등의 활엽수림에서 땅속, 낙엽 밑 또는 썩은 나무 속에 묻힌 방아벌레의 유충에서 발생.
높이 4∼10cm. 긴 대바늘 모양, 암회갈색. 꾸불꾸불하고 위쪽에 자낭각이 붙는다. 대는 가죽질.
자실체(자좌)는 각종 나방 류(나비목)의 애벌레에 기생하면서 지상에 난다. 자실체는 긴 대바늘 모양이고 꾸불꾸불하게 만곡되어 있다. 지상부의 높이는 4∼10cm, 지름 약 1mm. 1개 또는 2∼4개가 발생. 담 회갈색.
결실부(머리)는 상반부에 생긴다. 자낭각(자낭과)은 암 회갈색. 확대해 보면 난형의 미세한 알갱이 모양으로 다닥다닥 붙어 있다.
대는 약간 가죽질이고 밑동 쪽으로 다소 굵다.
포자는 2차포자 막대형. 4∼5×1㎛.
담 회갈색
여름~가을
여름∼초가을. 칠엽수, 계수나무, 참나무류 등의 활엽수 임내 흙속에서 박가시나방 등 각종 나방 류(나비목)의 애벌레 몸체에서 발생.
하늘소, 사마귀, 매미, 메뚜기, 딱정벌레류 등 각종 곤충에 침입하여 기주 표면에 흰색의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분생포자는 발아하여 균사가 되고, 균사에서 가지를 친 분생자경을 형성하며, 끝 부분에 여러 개의 분생 포자가 매달린다. 분생 포자는 계속 발달하게 되며, 곤충의 몸체에 백색의 가루가 덮인 모양을 이룬다.
벼알에만 발생한다. 개화기에서 1∼2주 지나면 벼알의 큰껍질과 작은껍질이 겹친 부분에서 청백색의 작은 균덩어리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점차 커져서 벼껍질을 둘러싸는 큰 덩어리가 된다.
이 덩어리는 처음에는 녹색이다가 점차 검은색으로 변하며 심할 때에는 한 이삭에 20개 이상 달릴 때도 있으며 가까운 부분의 벼알은 여물지 못한다.
병원균(Ustilaginoidea virens)의 후막포자(厚膜胞子)로서 이것이 발아하여 타원형의 분생포자(分生胞子)를 형성한다. 또 검은 덩어리에는 때때로 균핵이 형성되기도 하는데 이 병은 균핵에서 형성된 자낭포자에 의해서 화기(花器)를 통하여 침입한다.
높이 1.5∼4cm. 머리는 원통형, 백황색∼크림색, 각공은 갈색. 대는 머리와 같은 색, 밑동에는 청미래덩굴 열매가 있다.
자실체(자좌)는 땅에 떨어지거나 땅 속에 묻힌 청미래덩굴(속칭 청가시덩굴) 열매나 장미 열매 등에 생긴다. 열매의 표면은 백색의 균사막이 반 정도를 덮는다. 자실체는 곤봉형. 1본 또는 2∼6본이 나온다. 높이는 1.5∼4cm,
결실부(머리)는 상반부에 생긴다. 원통형, 좁은 타원형 높이 5∼15mm(직경 1∼2mm), 백황색∼크림색. 자낭각은 묻힌 형. 각공은 약간 성기게 돌출되며, 갈색이고 표면에 점상으로 밀포된다.
대는 원주형. 직경 0.5∼1mm 정도. 머리와 같은 색, 다소 육질이며, 기주에 직접 붙는다.
포자는 자낭포자는 실모양, 3∼7개의 격막이 있다. 60∼75×2∼2.5㎛.
백황색∼크림색
여름
여름. 산림 내 청미래덩굴(속칭, 청가시덩굴)이나 장미덩굴 밑에 떨어진 그 열매 또는 땅에 묻힌 열매에서 발생.
높이 4.5cm 정도. 땅에 묻힌 벌레의 유충에서 흰색 대가 나와 끝에 구형 머리를 형성, 갈색. 때로는 대가 분지하여 여러 개의 머리를 형성.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묻힌 벌레의 유충을 기주로 하여 자실체가 형성된다. 높이 4.5cm 내외, 머리부 크기 0.8∼0.9mm, 갈색, 흔히 여러 개의 자실체가 함께 발생하여 대의 끝에 구형의 머리를 형성한다. 1개의 대에 한 개의 머리가 나기도 하지만, 간혹 1개의 대가 여러 개의 가지로 분지되면서 그 위에 머리를 형성하기도 한다.
결실부(머리)는 구형, 대의 끝에 형성된다. 갈색.
대(분생자병)는 원주형, 때로는 대의 위쪽에서 분지된다. 밑동은 기주에 직결되어 있다.
머리는 폭 1.5∼3mm. 밀 종류 이삭에 검은 균핵 형성, 여기서 황토색 둥근형 머리와 갈색 긴 대를 가진 자실체 형성. 맥각균은 인체와 가축에게 독성이 있다.
자실체는 귀리 등 밀 종류의 이삭에서 밀알이 바나나 형의 검은색 균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이 버섯이 뻗어 나온다. 자실체는 머리 부분과 대 부분으로 구분된다.
머리는 둥근 모양 또는 계란 모양이고 직경 1.5∼3mm. 황토색∼오렌지황색. 그 표면에는 흑갈색으로 포자낭 피막의 포자비산 각공(ostioles)이 반점 모양 돌출되어 있다.
대는 원주상이고 꾸불꾸불하며 표면은 평활하다. 적색을 띤 갈색. 5∼15×1∼1.5mm 정도. 밑동은 딱딱한 각질막의 검은색 균핵 위에 하얀 색의 균사가 퍼져 있다.
폭 1.5∼5cm. 덩이뿌리 모양, 흑갈색. 높이 1mm 정도의 무수한 사마귀모양 돌기. 내면은 시기에 따라 변화가 크며, 담황색과 연두회색이 혼교되고 흰색 맥이 연결됨. 작은 편이다.
자실체는 폭 1.5∼5(10)cm의 소형. 자낭과는 외면이 돌출된 괴상(塊狀)∼구상(球狀)의 덩이뿌리 모양이다. 표면은 흑갈색, 높이 1∼3mm 정도의 사마귀모양 돌기가 덮여 있다.
절단해 보면 내면은 미색(회황색 끼를 띤 백색) 바탕에 많은 맥이 연결되어 있거나, 담황색과 미색이 혼교된 바탕에 흰색의 많은 맥이 연결되어 있다. 오래 되면 회흑색 바탕에 허연색의 맥이 서로 연결된다
시기에 따라 형태, 색깔 등에 차이가 크다
포자는 길게 침 모양 돌기를 가지고 있다. 일부는 맥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22∼38 × 20-32㎛(부속물 포함).
자낭은 아구형, 1∼5개의 포자가 들어 있다(보통 3∼4개). 60∼90× 50-60㎛.
폭 1∼3cm, 또는 그 이상. 불규칙한 구형∼혹 모양. 바깥 면은 어릴 때 허연색, 곧 적색 끼를 띤 갈색. 울퉁불퉁하다. 내부는 허연색∼적갈색, 백색 맥상 무늬가 있다.
자실체는 폭 1∼3cm. 또는 그 이상 달걀 정도의 크기. 불규칙한 구형∼혹 모양. 바깥 표면은 어릴 때 허연 색, 곧 적색 끼를 띤 갈색. 혹 모양 울퉁불퉁하며, 골이 파여 있다.
내부는 어릴 때 허연색, 성숙하면 적갈색이 되며, 대리석 같은 백색의 맥상 무늬가 있다.
포자는 난형∼넓은 타원형. 적갈색, 포자 바깥 쪽을 그물눈 모양의 능맥(陵脈)이 싸고 있다. 능맥을 제외한 크기는 39∼52×25∼35㎛.
폭 2∼9cm. 덩이뿌리 모양, 검은색∼흑갈색. 표면은 작은 혹들이 무수히 돌출. 내부는 시기에 따라 어릴 때는 백색, 후에 담갈색. 갈색 무늬가 맥처럼 형성.
자실체는 폭 2∼9cm 정도의 소형∼중형. 불규칙하게 외면이 돌출된 덩이뿌리 모양이다. 표면은 암흑갈색∼흑색. 작은 혹들이 무수히 돌출되어 있다. 작은 혹은 다소 피라밋 모양이며, 4∼6면체, 혹 사이에 깊은 골이 있다.
절단해 보면 내부는 어릴 때는 백색, 성숙하면서 담갈색, 갈색 및 암갈색이 되고, 대리석무늬처럼 맥이 형성된다. Tuber aestivum 보다 색깔이 진하다. 맥은 가늘고 백색, 불규칙한 굵기로 꾸불꾸불한 가지가 서로 연결된다. 절단해도 색깔이 변하지 않는다(*시기에 따라 형태 및 색깔 등에 차이가 있다). 살은 단단하고, 특별한 향기가 있으며, Tuber aestivum 보다 강하며, 너무 오래된 것은 불쾌한 냄새가 난다.
포자는 타원형∼아구형, 투명, 어릴 때는 색깔이 없으나 후에 황색∼갈색끼를 띤다. 부속물이 그물눈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물눈의 높이는 3∼5(9)㎛ 정도. 포자의 크기는 자낭에 들어 있는 포자의 수에 따라 차이가 크다.
자낭은 구형∼아구형. 짧은 자루가 있거나 또는 자루가 없다. 60∼90×50∼80㎛. 내부에 2∼6개(보통 3∼4개)의 포자가 들어 있다. 27∼45×18∼27㎛(부속물 포함).
암흑갈색∼흑색
여름~겨울
여름∼겨울. 각종 수목이나 관목이 자라는 석회질이 풍부하고 부식질이 많은 토양에서 반지중생 또는 땅속에 난다.
폭 1∼3cm. 머리는 항아리 모양∼깊은 깔때기 모양, 자실층은 안으로 깊게 들어가고 암흑갈색. 바깥 면은 암갈색∼흑회색, 다수의 인편 부착.
자실체는 머리와 대가 구분된다. 머리는 항아리모양 또는 깊은 깔때기 모양이며, 직경 1∼3cm, 높이 0.8∼2cm 정도. 윗면 자실층은 안으로 깊게 들어가고 암흑갈색, 평활하며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을 이룬다. 바깥 면은 암갈색∼흑회색이고 다수의 인편이 덮여 있다.
대는 직경 0.3∼0.8cm, 암 흑갈색이다.
폭 7∼10.5cm. 대가 없고 흔히 항아리 모양으로 내부가 오목. 흑색. 내부의 살은 젤라틴 질, 황갈색.
자실체는 대가 없고 흔히 항아리 모양으로 내부가 오목하다. 폭 7∼10.5cm, 높이 6∼7.5cm 정도. 자실층은 오목하고 컵 모양이며 깊이 2cm 정도. 평활하고 광택이 있다. 가장자리는 얇아지고 바깥쪽으로 감긴다. 고무질이며, 전체가 흑색.
바깥 면은 6㎛ 정도의 털이 덮여 있어서 미세한 면모상이다. 건조할 때는 가장자리가 갈라져서 내부의 살이 들어나기도 하며, 위축되어서 쪼글쪼글해 지기도 한다. 밑동에는 균사가 밀생하여 부식토와 결합하고 있다. 내부의 살은 젤라틴 질이며 황갈색.
폭 3∼4cm. 어릴 때는 구형, 후에 위쪽이 넓게 퍼지면서 뒤집힌 종 모양. 윗면은 평평, 흑색∼흑회색. 바깥 면은 짧은 털 밀생, 회색∼회갈색.
자실체는 어릴 때는 거의 구형이고 흑갈색 털이 덮여 있으나 곧 위쪽이 넓게 퍼지면서 뒤집힌 반구형∼뒤집힌 종 모양이되고 거의 대가 없다. 직경 3∼4cm 정도의 중형인데, 고무 모양 탄력이 있다. 윗면 자실층은 평평하고 평활하며, 흑색∼흑회색이고 어릴 때는 표면에 광택이 있다. 가장자리와 바깥 면에는 짧은 털이 덮여 있고 회색∼회갈색.
포자는 타원형∼방추형. 표면에 사마귀가 있고, 투명 또는 약간 황색 끼를 띤다. 30∼4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