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
-
일본도장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Daedaleopsis nipponica Imaz. > Daedaleopsis purpurea (Cooke) Imaz. & Aoshi.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도장버섯속(Daedaleopsis)
특징 : 소형∼중형. 갓은 녹슨다색∼적갈색과 흑색∼회갈색이 동심원상으로 교차되어 현저한 테 무늬를 형성, 하면은 연한 회백색, 후에 회색.
자실체 : 갓은 반원형. 편평하거나 또는 낮은 둥근산형이 된다. 크기는 4∼10cm×3∼6cm의 소형∼중형. 두께는 0.5∼3cm. 표면은 녹슨 다색∼적갈색과 흑색∼회갈색이 동심원상으로 교차되어 현저한 테 무늬와 테 모양으로 홈이 형성된다. 더욱이 생육 시에는 미세한 분모(粉毛)가 덮여있지만 후에는 거의 없어진다. 가장자리는 약간 둔하다. 살은 코르크질, 연한 계피색∼재목색. 갓 쪽은 절단하면 처음에는 흰색이나 암갈색으로 변한다.
하면의 자실층은 관공상(한국의 것은 부정형의 주름살형인 것도 있다), 관공은 깊이 0.5∼2cm, 약간 두껍다. 구멍은 원형∼다각형, 1∼2개/mm, 구멍의 입구는 약간 거치상, 처음에는 연한 회백색이나 오래되면 회색이 된다.
포자 : 포자는 원주형. 평활, 투명, 5.5∼8×2∼2.5㎛.
색상 : 녹슨다색∼적갈색과 흑색∼회갈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활엽수의 죽은 나무나 쓰러진 나무에 다수 군생. 재목의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분포 : 한국, 일본, 히말라야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도장버섯(거친도장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Daedaleopsis confragosa (Bolton) Schröt. > Daedaleopsis rubescens Alb. & Schw.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도장버섯속(Daedaleopsis)
특징 : 소형∼중형. 갓과 주름살의 색깔과 형태 변화가 매우 큰 버섯이다. 갓은 어릴 때 황토색, 곧 갈색∼적갈색, 테무늬가 있다. 하면은 관공상, 미로상 또는 주름모양으로 변화가 많다. 자실층면을 만지면 분홍갈색으로 물드나, 후에 갈색-암회갈색이 된다.
자실체 : 자실체는 갓은 반원형∼부채꼴, 보통 편평하거나 약간 말발굽형이 되여 기물에 직접 부착된다. 때로는 갓이 겹쳐 나기도 한다. 가로 폭은 4∼10cm, 전후 폭은 10cm까지 달하고 부착부의 두께는 1.5∼4cm의 소형∼중형. 갓 표면은 방사상으로 주름이 잡히거나 골이 파인다. 방사상으로 테 무늬가 있다. 평평하지는 않고 털이 없다. 어릴 때는 황토색 끼를 띠나 곧 갈색∼적갈색도 된다(한국의 것은 오래 동안 허연색을 띠는 것도 있다. 또 갓 표면에 미세한 백색∼녹슨 갈색의 가루인 후막의 분생포자가 덮여 있는 것도 있다).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파상으로 굴곡되며 생장하는 부분은 허연색∼황토색이나 곧 갈색이 된다.
하면 자실층은 관공상∼미로상 또는 주름모양으로 변화가 많다. 어릴 때는 허연색∼담회색이고 만지면 분홍갈색으로 물드나 후에 갈색∼암회갈색이 된다. 관공일때는 직경 0.5∼1mm, 깊이 5∼10mm 정도, 살은 얇지만 부착부위는 1cm 정도까지 이른다. 코르크질이며 질기다. 개체별로 색깔과 형태에 차이가 크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포자 : 포자는 원주형, 약간 소시지형. 평활, 투명, 어떤 것은 방울이 들어있다. 6.5∼8×(1.5)2∼2.5㎛.
색상 : 갈색∼적갈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오리나무, 버드나무, 참나무류 등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가지에 나며 죽은 입목에도 난다. 가끔 보인다.
분포 : 범세계적.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No Image
그물도장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Daedaleopsis conchiformis Imaz.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도장버섯속(Daedaleopsis)
특징 : 소형. 갓은 반원형, 층생, 계피색∼밤갈색, 테무늬와 테모양으로 골이 있다. 자실층은 관공상, 회색.
이 종은 도장버섯(D. confragosa)와 매우 흡사하나, 관공이 작고, 자실체가 작다. 포자는 여러 채집에서 아직까지 채집이 되지 못하였다. 이 버섯은 도감이나 인터넷 등에서 참고할 그림을 찾지 못하였다.
자실체 : 자실체는 1년생, 갓이 있거나 반전된 갓이 형성된다. 갓은 반원형, 평평하며, 층으로 나기도 한다. 폭은 2∼6cm, 두께는 3∼6mm, 가장자리는 얇고, 날카롭고, 안쪽으로 굽는다. 갓의 표면은 밤갈색∼계피색, 털이 없고, 평활하거나, 기질에 붙은 쪽이 다소 두껍게 자라기도 한다. 테무늬가 있고, 얕게 테모양 홈이 생기기도 한다. 방사상으로 주름이 돌출되기도 하며, 부분적으로 거칠다.
관공의 구멍은 회갈색, 원형∼각형. 부분적으로 장방형, (1)2∼3개/mm, 격막은 얇고, 후에 이빨모양이 된다. 관공은 연한 갈색, 길이 1∼4mm, 살은 콜크모양이고, 연한 갈색, 두께 1∼2mm.
포자 : 균사구조는 3균사형, 일반균사는 연결꺽쇠가 있고, 투명하며, 벽이 얇고, 폭 2∼3㎛, 골격균사는 벽이 두껍고, 투명하거나 연한 황색, 거의 분지되지 않으나, 간혹 분지가 되며, 폭 2.5∼5㎛. 결합균사는 벽이 두껍고 투명하거나 연한 황색, 분지되고 서로 뒤틀려 있다. 폭은 5㎛까지 달한다. 담자기와 담자포자는 발견되지 않음
색상 : 계피색∼밤갈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활엽수 죽은 나무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밤털구멍버섯(밤색주머니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Cystidiophorus castaneus (Lloyd) Imaz. > Castanoporus castaneus (Llyod) Lyv.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밤털구멍버섯속(Cystidiophorus)
특징 : 배착생. 쓸어진 나무나 가지 하면에 나고 황갈색, 후에 밤갈색. 관공 구멍이 크고 이빨모양∼낮은 이빨모양. 밤색주머니버섯이라고도 함.
자실체 : 자실체는 전배착생, 기주인 죽은 나무의 지면 쪽에 넓게 퍼지며 수 cm∼수 십 cm에 이른다. 어릴 때는 황갈색이나 후에 밤색을 띤다. 두께 1∼2mm, 자실층은 불규칙한 그물눈 모양의 얕은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의 크기는 1mm 내외, 구멍을 싸고 있는 벽은 이빨 모양인데 때에 따라서는 낮은 이빨모양으로 쪼개진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5×2㎛.
낭상체는 현저히 많다. 쐐기형, 막이 두껍고 투명, 표면에 옥수수 모양의 많은 결정이 덮여 있다. 25∼50×8∼12㎛.
색상 : 황갈색, 후에 밤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소나무의 죽은 가지, 죽은 나무에 나고 갈색부후를 일으킨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한입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Cryptoporus volvatus (Peck) Shear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한입버섯속(Cryptoporus)
특징 : 자실체는 밤 또는 대합모양. 표면은 황갈색∼밤갈색. 하면은 관공층을 덮어 씌운 허연색∼황갈색의 막이 덮여 있고 후에 구멍이 생긴다. 내부 관공층은 회갈색.
자실체 : 자실체는 둥근 모양이어서 밤이나 대합모양을 연상시키며 기물에 직접 부착한다. 윗면은 둥근산형, 하면은 개구리의 배 모양으로 다소 불룩하거나 평평하다. 크기는 폭 2∼4×두께 1∼2.5cm 정도. 윗 표면은 황갈색∼밤갈색. 니스를 칠한 것같은 광택이 있다. 털이 없고 평활하다.
하면은 관공층을 덮어씌운 허연색∼황갈색의 두꺼운 막이 덮여 있다. 막은 처음에 구멍이 없으나 후에 구멍이 생기고 점차 커져서 포자가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막의 내부에 관공층이 있다. 관공은 길이 2∼5mm, 구멍의 면은 회갈색. 구멍은 원형이고 3∼5개/mm.
포자 : 포자는 긴 타원형. 평활, 투명, 10∼13×4∼6㎛.
색상 : 황갈색∼밤갈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주로 말라죽어서 서 있는 소나무의 줄기에 군생. 재목에 백색부후를 일으키나 부후력은 크지 않다. 흔하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 북미.
식용여부 : 식용,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녹황색녹슨송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Coriolopsis strumosa (Fr.) Ryv.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녹슨송편버섯속(Coriolopsis)
특징 : 소형, 개껍질 모양, 테 무늬, 황록갈색황록갈색
자실체 : 갓은 지름 3~5㎝정도로 반원모양 내지는 조개껍질 모양이다. 갓 표면은 황록갈색으로 매끄럽고, 테 무늬를 나타내며, 가장자리는 성장할 때 백색이다. 살(조직)은 가죽 같은 질감으로 질기다.
하면관공은 백색에서 황록색으로 변해가며, 구멍은 미세하고 원형~다각형이며, 구멍의 밀도(간격)는 매우 촘촘하다
포자 : 원주상 타원형. 평활, 투명, (8.5) 9-12 x 3-3.5 (3.7) μm
색상 : 황록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의 죽은 나뭇 가지 위에 발생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아프리카, 호주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큰녹슨송편버섯(큰가죽질구름버섯, 큰송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Coriolopsis gallica (Fr.) Ryv. > Trametes hispida Bagl.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녹슨송편버섯속(Coriolopsis)
특징 : 소형∼중형. 갓은 반원형이면서 낮은 둥근산형∼말발굽형, 부착부는 기질에 내리붙음. 큰송편버섯, 큰가죽질구름버섯이라고도 함. 색깔과 형태가 매우 다양한 편임.
자실체 : 갓은 단독으로 갓이 형성되거나 또는 반배착생. 대가 없고 기물에 직접 부착된다. 반원형이면서 낮은 둥근산형이거나 말발굽형이되며 기물과 부착한 부분은 내리붙음이 된다. 좌우 폭 4∼10(15)cm, 전후 폭 2∼6(10), 기물과 부착된 부분의 두께는 1∼3cm 정도. 표면은 거친 털이 있고, 다소 동심원상 테가 생기기도 하며, 간혹 방사상으로 주름이 잡히기도 한다. 암갈색, 녹슨갈색, 회색을 띤 황토갈색 등. 가장자리 쪽으로 연한 색. 살은 5∼10mm, 갈색, 질기고 코르크질.
하면 자실층의 구멍은 어릴 때 황토갈색, 후에 회갈색∼암갈색. 구멍은 원형 또는 각형, 간혹 장방형인 것도 있다. 1∼2(3)개/mm, 관공은 길이 10mm 정도, 층은 없다.
포자 : 포자는 원주상 타원형. 평활, 투명, 10∼15×4.5∼5.5㎛.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죽은 줄기나 가지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중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창구멍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Cinereomyces lindbladii (Berk.) Jǖl.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창구멍버섯속(Cinereomyces)
특징 : 배착생. 구멍은 원형 또는 각형. 2∼3(4)개/mm로 비교적 크다. 허연색∼크림색, 후에 회백색.
자실체 : 자실체는 전 배착생. 주로 나뭇가지의 아래 쪽 면에 부착되어 수 cm의 크기로 막을 형성하며, 막질은 쉽게 기질에서 떼어낼 수 있다. 구멍은 원형 또는 각형. 허연색∼크림색, 후에 회백색, 2∼3(4)개/mm로 다소 크다. 관공의 길이는 3mm 이하, 2년 생의 관공벽은 상대적으로 다소 두껍다. 가장자리는 뚜렷한 경계를 이루거나 얇은 솜털처럼 퍼져나간다. 냄새가 다소 고약한 특징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씨알모양,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5.5∼7(8)×1.8∼2.8㎛.
담자기는 곤봉형, 12∼18×4.5∼5.5㎛. 2∼4개의 담자뿔이 있고, 밑동에는 연결꺽쇠가 있다. 낭상체는 보이지 않는다. 균사구조는 2균사형, 일반균사는 벽이 얇거나 또는 두껍고, 폭 2.5∼3.5㎛. 연결꺽쇠가 있다. 골격균사는 벽이 두껍고, 3.5∼7㎛. 약간 전분반응을 보인다.
색상 : 연색∼크림색, 후에 회백색.
발생계절 : 가을~겨울
발생형태 : 가을∼겨울. 전나무 등 침엽수 수피나 각종 활엽수 수피에 나며, 1년생 또는 2년생이 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털구름버섯(단색구름버섯, 단색털구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Cerrena unicolor (Bull.) Murr. > Coriolus unicolor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털구름버섯속(Cerrena)
특징 : 소형. 반배착생. 줄로 나거나 층으로 난다. 반원형의 갓 표면은 회백색∼회갈색. 테 무늬가 있다. 관공은 흰색∼회색, 미로상. 입구는 치아상. 단색털구름버섯이 개칭됨.
이 버섯은 흰구름버섯(Trametes hirsuta)과 매우 혼동되기 쉽다. 흰구름 버섯은 흰색, 황백색, 회백색, 연한 황갈색 등이 동심원상으로 테무늬를 형성하며, 관공의 구멍이 원형 또는 약간 각형이고, 구멍의 끝이 고른 특징이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반배착생. 자실층이 넓게 퍼지면서 반전되어 불규칙한 반원형의 갓을 형성한다. 줄로 이어져 나거나 기와꼴 모양으로 서로 유합되기도 하고 중첩해서 층생으로 난다. 개별적인 갓은 폭2∼5cm, 두께 2∼5mm 정도. 갓의 표면은 회백색∼회갈색. 흔히 조류(藻類)가 착생하여 녹색을 띤다. 현저한 밀모가 덮여 있고 암색의 테 무늬가 있다. 살은 견고한 가죽질, 거의 백색이고 두께는 1mm, 표면의 털로 된 껍질 아래에는 현저히 하피(下皮)가 발달한다. 단면에는 암색의 선이 보인다.
하면 관공부는 두께 1∼3mm 정도, 처음에는 흰색이나 후에 회색이 된다. 관공은 미로상이고 점차적으로 구멍의 입구가 치아(齒牙)상으로 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5.5∼7×3∼3.5㎛.
색상 : 회백색∼회갈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참나무류, 단풍나무, 칠엽수 등 각종 활엽수의 상처부위, 죽은 입목, 그루터기 또는 죽은 줄기나 가지에 난다. 흔하다.
분포 : 북반구 일대.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주홍털구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Cerrena aurantiopora Lee & Lim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털구름버섯속(Cerrena)
특징 : 갓은 35~130(200)mm로 담갈색, 갈색을 띠며, 암색~백색의 섬유상 또는 비늘 모양의 인피가 있고, 건조시 귀열상으로 갈라지며, 갓 끝은 초기에 백색 면모상의 내피막으로 싸여 있다. 주름살날은 치상이고, 대는 암갈색 바탕에 백색 또는 갈색의 섬유상 인피가 있다. 강원도 치악산에 생육하며, 한국 고유종이다.
자실체 : 자실체는 완전 배착생, 기질에 단단하게 붙어 있다. 신선할 때는 부드럽고, 건조하면 단단하고 깨지기 쉽다. 서 있는 기질에 수 cm∼수십 cm의 크기로 자란다.
자실층은 관공이 있고, 구멍은 둥글거나 다소 각형, 장방형 또는 미로상. 구멍은 크림색∼연어분홍색, 3∼3개/mm, 관공의 길이는 4mm 이하.
갓은 3.5~13(20)cm로 담갈색, 갈색을 띠며, 암색~백색의 섬유상 또는 비늘 모양의 인피가 있고, 건조시 귀열상으로 갈라지며, 갓 끝은 초기에 백색 면모상의 내피막으로 싸여 있다. 주름살날은 치상이고, 대는 암갈색 바탕에 백색 또는 갈색의 섬유상 인피가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투명, 비전분반응. 5.0∼5.8×3.0∼3.5㎛.
균사구조는 2균사형, 일반균사는 연결꺽쇠가 있고, 벽이 두껍거나 또는 얇으며, 폭 2.8∼3.5㎛, 골격균사는 폭 3.4∼4.5㎛,
담자기는 넓은 곤봉형∼난형, 4개의 담자뿔이 있고, 12.5∼14.2×4.5∼6.0㎛. 밑동에 연결꺽쇠가 있다.
색상 : 담갈색, 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 가을 2차례에 걸쳐 참나무류(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등)의 고사목, 절주목 등에 단생~군생한다.
분포 : 한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No Image
흰송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Cellulariella acuta (Berk.) Zmitr. & Malysh. > Trametes acuta (Berk.) Imaz.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흰송편버섯속(Cellulariella)
특징 : 갓 표면은 분필 백색, 동심원상으로 몇 개의 골이 생기며, 방사상으로 잔주름이 많다
자실체 : 갓 표면은 분필 백색, 동심원상으로 몇 개의 골이 생기며, 방사상으로 잔주름이 많다. 살은 백색~크림색, 코르크질~목질.
주름살은 크림색, 주름살이 방사상으로 퍼지면서 1개의 주름살이 2개로 분지되는 것이 많다.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주로 활엽수의 썩은 목재에서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아메리카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자색구멍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Abundisporus fuscopurpreus (Pers.) Ryv. . Fomitopsis caliginosa (Berk.) Imazeki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자색구멍버섯속(Abundisporus)
특징 : 반배착생으로 기질에 직접 부착한다. 털이 있고, 현저한 테 모양의 굴곡이 형성 갈색~적갈색이다
이 버섯은 앙골라, 케냐 등 아프리카와 인도네시아, 필리핀, 중국 및 일본의 남부 등에 나는 버섯으로 알려져 있다. 이 버섯은 앙골라, 케냐 등 아프리카와 인도네시아, 필리핀, 중국 및 일본의 남부 등에 나는 버섯으로 알려져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8~12cm, 두께 3cm 정도로 반원형~말굽형으로 반배착생으로 기질에 직접 부착한다 갈색~적갈색을 띄며 표면에 털이 있고, 붉은끼의 현저한 테 모양의 굴곡이 형성한다
자실층은 초기에는 크림색에서 점차 연한 갈색을 띈다. 구멍상이며 1mm 당 7~9개의 구멍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노란색을 띄며 크기는 9-12 x 3-4.5 μm
색상 : 갈색~적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림에 목재에 발생하며 백색부후균을 발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일본, 아프리카, 인도네시아, 필리핀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청자색모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erana caerulea (Lam.) Kuntze > Pulcherricium caeruleum (Lam.) Parm.
과명 : 유색고약버섯과(Phanerochaetaceae)
속명 : 모피버섯속(Terana)
특징 : 배착생. 막질, 청록색, 중앙부는 암색∼회갈색. 표면은 평활하거나 또는 거칠다. 작은 원상∼타원상이다가 융합된다.
자실체 : 자실체는 전체가 배착생. 자실층은 초기에 크고 작은 원상∼타원상으로 생겨나서 성장하면서 서로 융합하여 수 cm∼수십 cm의 폭에 이르기도 한다. 페인트를 칠한 것처럼 막질이며, 두께는 0.5mm 정도이다. 표면은 평활 또는 거칠다. 초기 또는 가장자리의 끝은 흰색이나 곧 청록색으로 되며 중앙부는 암색∼회갈색을 띤다. 신선할 때는 다소 부드럽고 밀납질이나 건조하면 딱딱해 진다.
포자 : 포자는 난상 타원형. 평활, 7∼9×4∼6㎛.
색상 : 청록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활엽수의 고사목 또는 낙지 상에 발생.
분포 : 전 세계.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주름뿌리고약버섯(주름유색고약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Rhizochaete radicata (Henn.) Gresl, Nakasone & Rajch. > Phanerochaete radicata (Henn.) Nakasone, Bergman & Burds.
과명 : 유색고약버섯과(Phanerochaetaceae)
속명 : 뿌리고약버섯속(Rhizochaete)
특징 : 배착생. 막편은 크림색∼오렌지 갈색, 가장자리 생장하는 곳은 허연색∼황색으로 퍼지며, 후에 분명한 경계를 이룬다
자실체 : 자실체는 전체가 배착생. 기질에 다소 느슨하게 부착하며 0.5mm 정도 두께의 막편이 수 cm∼수십 cm 크기로 퍼진다. 표면은 평활하며 약간 미세한 결절이 생기기도 한다. 미세한 털이 덮여 있다. 크림색∼오렌지 갈색. 가장자리의 생장하고 있는 곳은 허연색∼황색으로 균사가 퍼져나가나 후에는 분명한 경계를 이룬다. 유연한 밀납질이고 건조할 때는 약간 부서지기 쉽다. 수피 아래의 균사속은 황색이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4.5-5 x 2.5-3 µm
담자기는 가는 곤봉상, 4개의 담자뿔이 있고, 밑동에 연결꺽쇠는 없다. 피복형낭상체(lamprocystidia)는 벽이 두껍고, 윗 부분 절반 정도가 결정체로 덮여 있으며, 연한 갈색, 60-80 μm, 6-8 μm. 균사형은 2-3(4)균사형, 벽이 얇거나 다소 넓으며, 폭 25 ~ 30 μm의 × 5 μm. 격막에 연결꺽쇠는 없다.
색상 : 크림색∼오렌지 갈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주로 활엽수 드물게는 침엽수의 죽은 목재의 수피 위에 또는 목질 위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보라털방석버섯(종이유색꽃구름버섯& 종이꽃구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Porostereum crassum (Lév.) Hjortst. & Ryv. > Phanerochaete crass (Lév.) Burds > Stereum umbrinum Berk. & Curt.
과명 : 유색고약버섯과(Phanerochaetaceae)
속명 : 털방석버섯속(Porostereum)
특징 : 배착생∼반배착생. 반원형∼긴 선반모양. 보라색∼목재 색. 자실층은 담자색∼담배 색. 종이유색고약버섯이 속이 바뀌어 개칭됨. 보라종이비늘버섯이라고도 함.
자실체 : 자실체는 1년생, 배착생∼반배착생, 위쪽 가장자리가 반전하여 반원형∼긴 선반모양의 갓을 만든다. 유연한 가죽질이며, 두께 0.5∼3mm, 갓의 위쪽은 담황갈색∼갈색. 밀모가 덮여 있다. 얕은 테모양 골이 생기기도 한다. 살은 백색,
자실층은 신선할 때는 담자색, 건조하면 자색이 퇴색되고 담갈색∼담 회갈색이 된다. 평활하거나 부분적으로 결절이 있고, 건조하면 균열이 생긴다.
포자 : 포자는 원주형. 평활, 투명, 5(7)∼8×3(3.5)∼4.5㎛.
담자기는 아곤봉형, 4개의 담자뿔이 있다. 밑동에는 연결꺽쇠가 없다. 25∼40×5∼7㎛. 낭상체는 끝이 뾰족하거나 원주형, 황갈색, 다소 벽이 두껍다. 표면에 결정체가 붙어 있다. 80∼150×6∼12㎛. 균사형은 1균사형, 균사는 거의 연결꺽쇠가 없지만, 드물게 1개 또는 여러 개의 연결꺽쇠가 있는 것도 있다. 투명∼갈색, 폭 4∼8㎛.
색상 : 보라색∼목재 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죽은 가지, 표고 골목 등에 난다. 목재에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북미, 남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좀아교고약버섯(큰맥고약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Phlebiopsis gigantea (Fr.) Jül. > Peniophora gigantea (Fr.) Mass.
과명 : 유색고약버섯과(Phanerochaetaceae)
속명 : 좀아교고약버섯속(Phlebiopsis)
특징 : 배착생. 회백색. 표면은 평활∼얕은 사마귀모양으로 결절, 건조할 때는 가장자리가 기질에서 분리되어 위쪽으로 굽는다. 후에 큰맥고약버섯이라 함. 색깔과 형태변화가 커서 혼동됨.
자실체 : 자실체는 전체가 배착생. 막편이 0.5mm 정도의 두께로 수 cm∼수십 cm 크기로 퍼진다. 신선할 때 막편은 기질에 단단히 붙지만, 건조할 때는 가장자리가 기질에서 분리되어 다소 위쪽으로 굽는다. 습기가 있을 때 표면은 평활가거나 얕은 사마귀모양의 결절이 다소 생기고 회백색이다. 건조할 때는 가장자리가 분명한 경계를 이루며 기질에서 분리되어 약간 위쪽으로 굽는다. 습할 때는 유연하고 밀납질이며, 건조할 때는 딱딱해 진다.
포자 : 포자 타원형. 평활, 투명, 5∼7×3∼3.5㎛.
담자기는 가는 곤봉형, 25∼33×5∼6㎛. 4개의 담자뿔이 있고, 밑동에 연결꺽쇠는 없다. 피복형낭상체는 송곳모양, 벽이 두껍고, 위쪽의 절반 정도는 결정체가 붙어 있으나 두껍게 튀어나오지 않는다. 70∼100×12∼20㎛ 이하. 균사형은 1균사형, 균사는 벽이 얇거나 두껍고, 폭 2.5∼5.5㎛. 격막에 연결꺽쇠는 없다.
색상 : 회백색
발생계절 : 여름~겨울
발생형태 : 여름∼가을. 소나무류 및 기타 침엽수류의 죽은 줄기나 가지 또는 그루터기 등에 난다. 드물다.
분포 : 한국, 일본, 필리핀, 유럽, 북미, 남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마른유색고약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Phanerochaete xerophila Burds.
과명 : 유색고약버섯과(Phanerochaetaceae)
속명 : 유색고약버섯속(Phanerochaete)
특징 : 본 종은 황금아교고약버섯과 형태적으로 유사하여 황금아교고약버섯으로 동정되어 왔다. 그러나, 균사에 꺾쇠연결이 없으며, 황금아교고약버섯보다 큰 담자기와 담자포자를 지닌다.
유색고약버섯속의 종 검색표
1. 근상균사속이 존재·····················································································································2
- 근상균사속이 존재하지 않음 ······································································································5
2. 침엽수의 고목에서 발생 ··································································끈유색고약버섯 P. filamentosa
- 활엽수에서 발생························································································································3
3. 침형의 자실층을 지님 ·······································································침유색고약버섯 P. chrsorhiza
- 평활한 자실층을 지님 ················································································································4
4. 박벽낭상체를 지님 ·········································································깃털유색고약버섯 P. calotricha
- 후벽낭상체를 지님 ·······································································································P. velutina
5. 얇고 황색의 자실체·········································································마른유색고약버섯 P. xerophila
- 질긴 자실체를 형성····················································································································7
6. 자색의 두터운 막질 자실층을 형성·······················································종이유색고약버섯 P. crassa
- 자실은 흰색 또는 붉은 색을 띠며 매우 부드럽다 ·········································································8
7. 흰색의 자실층 형성··················································································유색고약버섯 P. sordida
- 붉은색의 자실층형성······································································유혈유색고약버섯 P. sanquinea
고찰: 유색고약버섯은 밝은 자실체와 낭상체, 그리고 꺾쇠연결이 없는 단순격막의 생식균사에 의해 쉽게 관찰된다
자실체 : 자실체는 배착성으로 자실층은 짙은 황토색을 띤다. 막형으로 얇게 밀착하여 자란다. 균사체계는 일균사형으로 단순격막을 지닌 생식균사를 지니고 두께는 3.5~4.5 μm정도이다. .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으로 비아밀로이드성이며 크기는 7.4~7.9×3.5~3.9 μm이다.
담자기는 곤봉형으로 42~52×5.7~6.8 μm이다
색상 : 짙은황토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활엽수 낙지에 발생
분포 : 미국의 남서부, 한국.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비로드유색고약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Phanerochaete velutina (DC.) Phanerochaete Karst.
과명 : 유색고약버섯과(Phanerochaetaceae)
속명 : 유색고약버섯속(Phanerochaete)
특징 : 배착생. 밀납질, 막편모양, 표면은 평활 또는 약간 결절이 있거나 비로드 모양. 회황토색∼분홍크림색. 가장자리는 실이 퍼진 모양. 때때로 균사속이 있다. 형태, 색깔변화가 매우 크다.
자실체 : 자실체는 전체가 배착생. 수 cm∼수십 cm 크기로 막편 모양을 형성하면서 자라며 기질에 느슨하게 붙어 있다. 표면은 평활하거나 약간 결절이 있거나 또는 비로드 모양. 회황토색∼분홍크림색. 가장자리는 실이 퍼진 모양, 때때로 균사속이 있다. 밀납질이며 부드럽다. 건조하면 깨지기 쉽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한쪽 면이 평평하다. 평활, 투명. 5.5∼6.5×2.5∼3.5㎛.
담자기는 원주상 곤봉형, 28∼38×4∼6㎛. 4개의 담자뿔이 있고, 밑동에 연결꺽쇠는 없다. 피복형낭상체는 벽이 두껍고 위쪽 절반 이상이 두껍게 부착물로 피복되어 있다. 50∼100×10∼15㎛. 균사형은 1균사형, 기질층의 균사는 벽이 얇고, 폭 2.5∼5㎛, 어떤 것은 드물게 표면에 결정체가 붙어 있다. 격막은 연결꺽쇠가 없다.
색상 : 회황토색∼분홍크림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주로 활엽수 목재의 수피 위 또는 목질 위에 나며, 드물게 침엽수에도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유혈유색고약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Phanerochaete sanguinea (Fr.) Pouz.
과명 : 유색고약버섯과(Phanerochaetaceae)
속명 : 유색고약버섯속(Phanerochaete)
특징 : 배착생. 처음에는 허연색, 크림색∼황토색 끼를 띠지만 군데 군데 붉은 점이 생겨서 퍼져나간다. 가장자리는 섬유상, 붉은끼를 띤 균사속이 퍼지기도 한다. 색깔, 형태변화가 크다.
자실체 : 자실체는 전체가 배착생. 기질에 수 cm의 얇은 막질로 단단히 붙어 있다. 표면은 평활하고 약간 미세한 구멍이 있는 경우도 있다. 처음에는 허연색, 크림색∼황토색 끼를 띠지만, 군데 군데 붉은 점이 생겨서 붉은 색이 퍼져 나간다. 가장자리는 섬유상, 붉은색 끼를 띤 균사속이 뻗어 나가기도 한다. 부후괸 목재를 쪼개 보면 붉은 색으로 물들어 있는 특징이 있다.
포자 : 포자는 좁은 타원형. 평활, 어떤 것은 방울이 들어 있다. 5∼6×2.5∼3㎛.
담자기는 가는 곤봉형, 22∼38×4∼6㎛. 4개의 담자뿔이 있으며, 밑동에 연결꺽쇠는 없다. 낭상체는 송곳모양, 위쪽 1/3 정도는 결정체가 붙어 있다. 꼭지 부분은 평활하다. 40∼60×5∼7㎛. 균사층 위로 돌출이 된다. 균사형은 1균사형, 균사는 벽이 얇거나 두꺼우며, 폭 3∼7㎛. 격막은 연결꺽쇠가 거의 없지만, 간혹 벽이 두꺼운 균사에서 있는 경우도 있다.
색상 : 허연색, 크림색∼황토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주로 침엽수 목재에 나지만, 활엽수에 나는 경우도 있다. 낙엽에 퍼지기도 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유색고약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Phanerochaete sordida (Phanerochaete Karst.) Erikss. & Ryv. > Peniophora cremea (Bres.) Sacc. & Syd.
과명 : 유색고약버섯과(Phanerochaetaceae)
속명 : 유색고약버섯속(Phanerochaete)
특징 : 배착생. 밀납질. 표면은 평활, 털이 덮이고 허연 크림색이다가 황토색. 가장자리는 미세한 분상 또는 실 모양. 또는 부분적으로 분명한 경계를 이룬다.
이 버섯은 매우 흡사한 버섯들이 많기 때문에 혼동되기 쉬우며, 현미경 검경이 필요하다.
자실체 : 자실체는 전체가 배착생. 기질에 얇고 느슨하게 부착한다. 막편은 수 cm∼수십 cm까지 퍼진다. 표면은 평활, 털이 덮여 있으며 허연 크림색이다가 황토색이 된다. 가장자리는 미세한 분상 또는 실모양이거나 부분적으로는 균사속이 없이 분명한 경계를 이룬다. 유연하고 밀납질이며 건조할 때는 다소 갈라진다.
포자 : 포자는 좁은 타원형. 평활, 투명, 어떤 것은 방울이 들어있다. 5∼7×2.5∼3.5㎛.
담자기는 가는 곤봉형, 25∼30×4.5∼5㎛. 4개의 담자뿔이 있으며, 극히 드물게 2개의 담자뿔이 있다. 밑동에 연결꺽쇠는 없다. 낭상체는 벽이 얇거나 밑동 쪽으로 약간 두꺼우며, 곤봉형, 위쪽에 피복물이 없거나 또는 많은 피복물이 덮여 있다. 60∼90(130)×6∼10㎛. 균사형은 1균사형, 기질층의 균사는 벽이 두껍고 폭 2.5∼6㎛. 격막은 연결꺽쇠가 없다. 때로는 결정체가 붙는 경우도 있다.
색상 : 허연 크림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껍질을 가지거나 없는 죽은 활엽수 목재에 난다. 드물게는 침엽수에도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