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
-
매미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sobolifera (Hill) Berk. & Br.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지상부 높이 2∼8cm. 머리는 원통형, 담갈색, 대는 원주형 같은 색. 매미 번데기에서 난다. 후에 매미다발동충하초라고도 했다. 색깔은 다소 다양한 편이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있는 매미류의 번데기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3개가 분지된다. 곤봉형. 지상부의 높이는 2∼8cm, 전체 높이는 5∼9cm.
결실부(머리)는 위쪽에 생긴다. 약간 통통한 원통형으로 높이 1∼3cm, 굵기 4∼7mm 정도. 담갈색. 자낭각은 묻힌 형, 각공은 가는 점 모양으로 밀포된다.
대는 원주형, 직경 3∼5mm, 머리와 같은 색 또는 다소 연한 색. 때때로 밑동 부근에 혹 모양이 돌출되기도 한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표면에 미세한 사마귀가 덮여 있다. 6∼12×1∼1.5㎛.
색상 : 담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아열대성 기후 지역의 정원, 절의 경내, 저산지대의 임내, 공원 등지에서 습기가 많은 지역에 땅속에 묻힌 매미류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남미, 호주, 마다가스카르, 뉴질랜드.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검뎅이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ryougamimontana Kobay.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2∼2.5cm. 머리는 연한 오렌지황색이다가 흑색이 된다. 대는 원주형, 회갈색. 매미류에서 나온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묻힌 매미 성충의 몸에서 곤봉모양의 자실체가 2∼15개 나온다. 지상생. 높이 2∼2.5cm, 굵기 1.5∼3mm,
결실부(머리)는 상반부에 생기고, 높이 6∼12mm, 굵기 2∼3mm, 처음에는 연한 오렌지황색, 후에 흑색이 된다. 머리부에는 점상 알갱이 모양의 수많은 자낭각이 형성된다. 자낭각은 묻힌 형, 각공이 돌출된다.
대는 원주형 직경 1.5∼2mm, 원주형이고 황색 끼를 띤 회갈색. 기주에 직결된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6∼10×1∼2㎛.
색상 : 흑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참나무, 계수나무 등 활엽수 임지의 습한 땅에서 각종 매미의 배나 등 면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풍뎅이동충하초(딱정벌레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scarabaeicola Kobay.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지상부 높이 2∼4cm. 머리는 담황색 원통형, 대는 갓과 같은 색. 밑동은 흰색, 뿌리 모양으로 기주에 연결된다. 풍뎅이 성충에 난다. 딱정벌레동충하초 라고도 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이나 낙엽에 묻힌 풍뎅이 또는 딱정벌레류의 성충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개가 나온다. 곤봉형으로 위쪽이 굵다. 전체 높이 3∼5cm, 지상부 높이는 2∼4cm.
결실부(머리)는 위쪽에 생기고 원통형, 대 보다 약간 굵다. 높이 1∼2cm, 지름 3∼4mm, 담황색 또는 담 오렌지황색. 자낭각은 반 돌출형, 각공이 미세하게 돌출된다.
대는 원주형 직경 2mm, 길이 1.5∼2cm, 육질이고 담황색. 땅속에 묻힌 부분은 흰색. 때로는 밑동이 불규칙하게 굴곡되며, 가는 뿌리 모양으로 기주에 직결되기도 한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10×1∼1.5㎛.
색상 : 담황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참나무류, 후박나무, 칠엽수 등의 임내 흙속에 묻힌 풍뎅이(또는 딱정벌레?) 성충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뉴우기니.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노랑점박이동충하초(유충황색점박이동충하초, 유충황색점박이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ryogamiensis Kobay. & Shi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1.5∼2cm. 머리는 대바늘 모양, 담황색, 대는 원주형, 연한 오렌지황색. 유충황색점박이동충하초 및 유충노랑점박이동충하초 등 이름이 너무 길어서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활엽수의 쓰러진 나무 또는 부후목에 들어있는 딱정벌레 류(鞘翅目) 애벌레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개가 부후목 위로 높이 1.5∼2cm 정도 나온다.
결실부(머리)는 상반부에 생긴다. 대바늘 모양. 자낭각은 돌출형이고 약간 드문드문하게 생긴다. 담황색이고 난형∼원추형.
대는 불규칙한 주름살이 있는 원주형으로 직경 0.5∼0.7mm. 연한 오렌지황색. 기주에 붙는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원통형. 1.5∼2.5×1㎛.
색상 : 담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오리나무류, 가래나무, 계수나무 등 활엽수의 쓰러진 나무나 부후목에 들어있는 딱정벌레 류(鞘翅目, 甲虫) 애벌레에서 나온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붉은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roseostromata Kobay. & Shi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5∼15mm. 딱정벌레류 애벌레에서 나며 곤봉형. 머리는 홍색, 대는 분홍색.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부후목 속에 들어있는 딱정벌레 류(甲虫類) 애벌레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8개까지 나온다. 지상부의 높이는 5∼15mm 정도로 극히 작다.
결실부(머리)는 곤봉형, 홍색. 자낭각은 반 돌출형이고 돌출된 공구의 색이 진하다.
대는 직경 0.3∼1.2mm, 분홍색, 육질이다. 대의 밑동이 백색의 세근상 균사속이 이어져 기주와 연결된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4∼5×1㎛.
색상 : 홍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또는 칠엽수 등의 활엽수 쓰러진 나무나 부후목에 들어 있는 딱정벌레 류 애벌레에서 나온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유충직립동충하초(직립유충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rosea Kobay. & Shima.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지상부 높이 1.5∼2.2cm. 머리는 대보다 약간 굵어지고 홍색, 대는 담홍색, 흔히 기주인 애벌레가 직립한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들어있는 나방 류(나비목)의 애벌레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지상부의 높이는 1.5∼2.2cm 정도.
결실부(머리)는 위쪽에 생기는 데 다소 굵어진다. 거의 원주형∼약간 방망이형. 간혹 그 끝이 두 가닥으로 갈라지기도 한다. 홍색, 자낭각(자낭과)는 묻힌형, 각공이 반구상으로 미세하게 돌출된다.
대는 원주형. 직경 1mm 정도. 담홍색 육질이고 밑동이 연한 색. 기주에 직결된다. 흔히 애벌레가 직립한다.
포자 : 포자는 자낭포자, 양끝이 가늘고, 8∼10개의 격막, 120×1∼1.5㎛. 2차 포자는 생기지 않는다.
색상 : 홍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참나무류 또는 너도밤나무가 혼효된 활엽수 임지에서 흙 속에 묻힌 나방 류(나비목)의 애벌레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가지매미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ramosopulvinata Kobay. & Shi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지상부 높이 2∼4cm. 머리는 황백색∼황색 바탕에 오렌지황색 각공 돌출, 대는 길고 담황갈색, 찌그러진 원주형. 매미류의 번데기에서 발생.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들어있는 각종 매미류의 번데기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3개가 나온다. 길이 5∼30cm이고, 지상부의 높이는 2∼4cm 정도인데, 대의 위쪽이 2∼7개의 여러 가닥으로 분지된다.
결실부(머리)는 여러 개로 분지된 대의 끝에 구형 또는 찌그러진 난형으로 생기며, 결실부의 위쪽에 새 주둥이 모양 대가 돌출된다. 결실부는 직경 3∼5mm 정도. 황백색∼황색 바탕에 오렌지 황색의 각공이 돌출된다. 자낭각은 반 돌출형.
대는 불규칙하게 찌그러진 원주형으로 직경 3∼4mm, 매우 길다. 담황갈색. 지중에서 측지도 생긴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원통형. 3×1㎛.
색상 : 황백색∼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활엽수 임지 토양에 묻힌 각종 매미류의 번데기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유충긴부리동충하초(유충긴뿌리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purpureostromata Kobay.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0.7∼2.3cm. 머리는 학 머리 모양, 담자색∼담갈색, 흔히 결실부 위에 긴 돌출이 있다. 대는 원주형, 담자색. 땅속에 있는 갑충 애벌레에서 나온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부후목 속에 들어 있는 딱정벌레 류(鞘翅目, 甲蟲)의 유충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본 또는 2∼3개가 나온다. 높이는 0.7∼2.3cm.
결실부는 위쪽에 생기며 대를 감싸고 찌그러진 계란 모양. 흔히 위쪽에 긴 무염성 돌출이 생겨 학의 머리 모양이며, 직경 2∼3mm, 담자색이고 후에는 담갈색을 띤다. 자낭각은 묻힌 형, 표면에 각공이 가는 점 모양 진한 색으로 밀포된다.
대는 원주형, 직경 1mm 정도. 담자색이고 밑동 쪽이 연한 색인데, 오래 되면 퇴색된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긴 막대형. 13∼23×2.5∼3㎛.
색상 : 담자색∼담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참나무류, 칠엽수, 가래나무 등 활엽수의 쓰러진 나무나 부후목에 들어 있는 갑충의 애벌레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붉은자루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pruinosa Petch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1∼2cm. 머리는 긴 방추형, 선홍색∼오렌지적색, 대는 원주형이고 선홍색. 밑동에 둥근 균핵이 있다. 쐐기나방 고치 또는 애벌레에서 난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묻히거나 때로는 부후목 속에 들어 있는 쐐기나방의 딱딱한 고치 또는 애벌레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매우 작고 1개 또는 10여개 까지 나온다. 높이는 1∼2cm.
결실부(머리)는 타원상의 긴 방추형, 선홍색 또는 오렌지 적색. 높이는 1cm, 지름 2∼3mm 내외. 자낭각은 돌출형 또는 반 돌출형, 촘촘히 밀집해 있고 다소 진한 색이다.
대는 원주형, 직경 1∼2mm 정도. 육질이고 선홍색, 밑동은 허연 색, 기주에 직결된다. 밑동에 둥근 균핵이 있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5×1㎛.
색상 : 선홍색∼오렌지적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활엽수 임지 또는 혼효림 내, 특히 습도가 높은 냇가 등의 토양이나 부후목 속에 묻힌 쐐기나방의 딱딱한 고치 또는 애벌레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시베리아, 콩고.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나뭇가지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prolifica Kobay.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1.5∼4cm. 머리는 굵은 침 모양, 복숭아색∼황색. 대는 불규칙하게 눌린 모양, 아래쪽은 나무뿌리 모양. 형태와 색깔이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 다년생이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묻힌 각종 매미나 쓰르라미의 번데기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본 또는 2∼6본이 분지된다. 지상부의 높이는 1.5∼4cm.
결실부(머리)는 굵은 침 모양, 자낭각은 난형∼긴 방추형으로 돌출된다. 연한 복숭아색∼황색.
대는 불규칙하게 일그러져 있고, 다소 눌려진 모양, 아래쪽으로 나무뿌리 또는 굵은 실 모양이 된다. 연한 복숭아 색∼갈색.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이차 포자는 짧은 원통형. 1.5×1㎛.
색상 : 복숭아색∼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활엽수 또는 상록활엽수림이나 이들과 섞인 혼효림의 임내 토양의 땅속에 묻힌 쓰르라미 및 매미류의 번데기에서 발생. 다년생이다.
분포 : 한국, 일본, 뉴우기니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노린재부리동충하초(노린재측생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pentatomi Kovol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1∼4cm. 머리는 아구형∼타원형, 끝에 학의 부리모양 돌출, 담황토색, 대는 원주형, 황토색. 노린재부리동충하초 또는 노린재측생동충하초라고 했으나, 속이 달라져서 개칭.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속에 묻힌 노린재 성충 몸체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1개의 대에서 2개가 분지되거나, 몇 개 나오기도 한다. 높이는 1(3)∼4cm.
결실부(머리)는 만곡된 대의 위쪽에 아구형∼타원형이며, 장경 5mm, 단경 3∼4mm 정도. 끝에 학의 부리모양∼침 모양 돌출되기도 한다. 담 황토색. 자낭각(자낭과)은 묻힌 형, 각공이 미세하게 돌출된다.
대는 섬유상 육질, 다소 찌그러진 원주형, 직경 1mm 내외. 황토색, 밑동이 흑색으로 진해 지기도 하며, 기주에 직결된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3∼6×1㎛.
색상 : 담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참나무류, 너도밤나무, 자작나무류 칠엽수 등의 임지나 혼효림 임지 내 토양의 땅속에 묻힌 노린재 성충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쏘련 극동부.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벌가시동충하초(가시벌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oxycephala Penz. & Sacc. 벌가시동충하초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3∼5cm. 자실체는 부들이삭 모양, 오렌지황색, 대는 철사모양. 머리부의 끝이 꼬리모양 돌출되는 특징이 벌동충하초와 속이 다르다. 전의 가시벌동충하초를 속이 달라서 개칭하였다.
<참고> 벌가시동충하초(C. oxycephala)와 벌동충하초의 외형적 구분은 쉽지 않다. 이 벌가시동충하초는 머리의 끝이 뾰족하게 돌출되나, 벌동충하초(Ophiocordyceps sphecocephala)는 머리끝이 돌출되지 않고 또 머리 부분도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검토가 필요.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묻힌 말벌 등의 성충 몸체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개. 지상부는 3∼5cm.
결실부(머리)는 부들 이삭 모양 가는 대 끝에 생기고, 원통형. 길이 6∼10mm(직경 2mm) 정도. 머리부의 끝은 꼬리 모양 돌출된다. 연한 오렌지 황색. 자낭각은 묻힌형. 각공이 미세하게 돌출된다.
대는 철사 모양의 원주형. 직경 1mm, 같거나 연한 색. 약간 탄력이 있는 가죽질이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좁은 방추형. 9∼12×1.7∼2㎛.
색상 : 오렌지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활엽수, 침엽수 또는 활엽수 임지 내 토양의 땅속에 묻힌 말벌, 땅벌(땡삐) 등의 성충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대만, 태국, 보르네오. 브라질.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유충주걱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ootakiensis Kobay. & Shimi.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2∼4cm. 전체가 적황색, 머리는 곤봉상. 형태가 동충하초(C. militaris)와 흡사하나, 밑동에 애벌레가 있고, 청록색을 띠는 특징이 있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있는 나방 류(나비목)의 애벌레에서 나온다. 지상에 들어난 자실체는 동충하초와 매우 흡사한 색깔과 형태를 갖추고 있다. 1개 또는 2∼4개가 나온다. 곤봉형으로 지상의 높이는 2∼4cm 정도. 전체가 적색∼적황색. 기주인 나방 류 애벌레가 청녹색을 띠는 특징이 있다.
결실부(머리)는 상반부에 생기고, 높이 1∼2cm(직경 5mm) 정도. 세로로 불규칙하게 요홈이 있다. 자낭각(자낭과)는 묻힌형이고 각공이 미세하게 진한 색으로 돌출된다.
대는 원주형, 직경 2∼3mm, 밑동은 기주에 직결되거나 또는 세근상으로 연결된다. 머리와 대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3∼4×1㎛.
색상 : 적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참나무류, 너도밤나무 등의 활엽수림이나 침엽수가 혼재된 혼효림 토양의 땅속에 묻힌 나방 류의 애벌레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부들가시동충하초(유충가시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ochraceostromata Kobay. & Shimi.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3∼14cm. 대의 상부에 머리가 굵어지고 담황색, 부들 이삭 모양. 대는 길다. 유충가시동충하초가 유충뿐 아니라, 번데기에서도 나오기 때문에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있는 나방류(나비목)의 애벌레나 번데기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부들의 이삭 모양 대의 상부에 머리 부분이 굵어져 있다. 1개 또는 2∼4개가 생긴다. 높이 3∼14cm.
머리부(결실부)는 가늘고 길며 불규칙한 원통형이고 그 선단에 대의 끝 부분이 뾰족하게 돌출되어 있다. 높이 1∼4cm, 직경 2∼3mm 정도. 연한 황회색∼연한 갈백색 바탕에 담갈색∼흑갈색의 각공이 미세한 점 모양 부착되어 있다. 자낭각(자낭과)은 묻힌형.
대는 원주형인데 약간 단단한 육질, 담황색∼담 회갈색이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7∼10×1.5∼2㎛.
색상 : 담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각종 활엽수나 상록활엽수 임지 또는 침엽수림이 혼효된 임지의 땅 속에 묻힌 나방류(나비목, 鱗翅目)의 애벌레나 번데기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검은동충하초(유충검은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nigrella Kobay. & Shi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지상 높이 1.7∼2cm. 머리는 원통형, 흑갈색, 각공이 가는 점 모양 밀포. 대는 원주형, 연한 흑갈색. 딱정벌레 유충에서 나온다. 후에 유충검은동충하초라고도 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있는 딱정벌레 류(甲蟲, 鞘翅目)의 애벌레 머리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2개. 곤봉형으로 지상부의 높이는 1.7∼2cm, 전체 길이는 3∼4cm.
결실부(머리)는 위쪽 선단에 생긴다. 약간 부풀어 있는 원통형. 높이 약 1.2cm(직경 2mm) 정도이고 끝 부분은 둔형이며 흑갈색. 자낭각(자낭과)은 묻힌형이고 각공이 가는 점 모양으로 표면에 밀포되어 있다.
대는 원주형. 다소 연한 흑갈색이고 섬유상 육질이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긴 막대형, 15∼17×2㎛.
색상 : 흑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오리나무류, 자작나무류, 단풍나무류, 후박나무 등의 활엽수 임지나 이들과 혼효된 혼효림에서 땅속에 매몰된 딱정벌레류의 애벌레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하늘소유충동충하초(깍지벌레유충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nakazawae Kwam. > Cordyceps nakazawai Kwa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부후목 또는 부후된 벌근의 주위에서 땅속에 있는 하늘소 애벌레의 머리 또는 꼬리에서 난다. 결실부는 담회갈색, 분출공은 연한 계피갈색. 대는 암회갈색, 짧은 털이 밀생한다.
<참고> 이 버섯은 깍지벌레유충동충하초 라고 하였으나, 깍지벌레 유충이 아니고 하늘소 유충에서 기생하므로 이름을 바꾸었다. 또 깍지벌레유충동충하초는 별도의 버섯 Cordyceps coccidiicola 가 있다.
또 이 버섯의 학명은 淸水 113p에서 Cordyceps nakazawai Kawamura라고 했으나, indexfungorum에서 Cordyceps nakazawae Kawamura로 사용하고 있어서 indexfungorum에 따랐다.
자실체 : 자실체는 1개 또는 2∼3개까지 나오는데, 곤봉상∼헝겁으로 싼 솜방망이 모양. 지상부의 높이는 3∼8cm, 지름 2∼6.8mm, 결실부는 위쪽에 생긴다.
결실부(머리)는 대보다 굵고, 위쪽이 원주상인 원통형 또는 타원형∼방추형. 길이 2.5∼3.5cm. 담회갈색, 자낭과는 묻힌 형. 분출공은 연한 계피갈색, 선단이 미세하게 점 모양 돌출되며, 플라스크 형이다.
대는 원주형. 결실부(머리)와의 경계는 뚜렷하거나 또는 약간 뚜렷한 편이다. 직경 2.8∼3.3mm, 탄력이 있는 육질. 암회갈색, 짧은 털이 밀생되어 있다. 밑동은 직근 모양이거나 또는 잔뿌리 모양의 붅지가 붙어 있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6∼8×1.5∼2㎛.
색상 : 담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일반적으로 부후목, 또는 부후된 벌근의 주위에시 땅 속에 있는 하늘소 유충의 머리 또는 꼬리 부분에서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동충하초(흰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militaris (L.) Link > Cordyceps militaris f. alba Kobay. & Shim. ex Yao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1.5∼7cm. 머리는 곤봉상, 오렌지 황색, 대는 같은색∼연한 색, 나방류 번데기에서 나온다. 흔하다. 붉은동충하초가 기준종이어서 바뀜.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있는 각종 나방 류(나비목)의 번데기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본 또는 10여 본까지 나온다. 곤봉형으로 머리와 대를 가지고 있다. 전체 높이는 1.5∼7cm.
머리는 원주상, 방추형 또는 곤봉상, 길이 0.5∼3cm, 직경 2∼6mm. 자낭각은 반 돌출형으로 표면에 사마귀 모양의 알갱이가 밀생. 오렌지황색.
대는 가늘고 길며 원주형, 머리와 같은 색 또는 다소 연한 색. 밑동은 세근상으로 된 백색 균사가 기주와 부착된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원주형. 2∼3.5×1㎛.
색상 : 오렌지 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각종 활엽수 임지나 혼효림의 임내에 땅속에 매몰된 각종 나방 류(나비목)의 유충 및 번데기에서 나온다.
분포 : 범세계적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흙빛다발동충하초(유충흙색다발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martialis Speg. 흙빛다발동충하초25)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지상 높이 3∼7cm. 머리는 불규칙한 곤봉형, 장타원형∼긴 방추형, 칙칙한 붉은 색, 대는 불규칙한 요철, 흑적색. 유충흙색다발동충하초라고도 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지상 또는 땅속에 매몰된 나방 류(나비목)의 애벌레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3개. 곤봉형으로 머리와 대가 구분된다. 전체 높이 6∼11cm, 지상부의 높이는 3∼7cm.
결실부(머리)는 상단에 생기고 불규칙한 곤봉형으로 장타원형∼긴 방추형. 높이 1,5∼3cm, 붉은색 또는 칙칙한 붉은 색. 자낭각은 묻힌 형인데 각공이 미세하게 돌출되며 점상으로 진한 색을 나타낸다.
대는 불규칙한 요철과 일그러짐이 있고 흑적색. 밑동은 딱딱한 육질이며 기주에 붙는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5∼7×∼1㎛.
색상 : 칙칙한 붉은 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참나무류, 찰피나무, 가래나무, 칠엽수 등의 활엽수 임내에 지상 또는 땅속에 매몰된 나방 류(나비목)의 애벌레에서 나온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중남미, 소련.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점박이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macularis (Mains) Mains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갑충의 유충에서 발생 단일개체 또는 2∼3개가 나오고 곤봉상으로 길게 뻗는다. 담 회황갈색,
자실체 : 자실체는 갑충의 유충에서 발생한다. 자실체는 단일개체 또는 2∼3개가 나온다. 곤봉상으로 길게 뻗는다. 지상부의 높이는 3∼5.3cm, 결실부는 상단에 생긴다. 높이 10∼18mm, 폭 2.3∼3.6mm, 불규칙한 원반 모양의 자낭과 덩어리가 길게 들러 붙는다. 담 회황갈색, 자낭과는 완전히 묻힌 형과 묻힌 형의 2가지 종류가 있다.
공구는 가는 점모양으로 돌출한다. 난형.
대는 원주상. 결실부와 대의 경계는 명료. 폭 1.2∼2mm, 담회색∼담 황회색, 다소 육질이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8∼10×2㎛.
색상 : 담 회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각종 활엽수 임내 땅속에 묻힌 갑충의 유충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유충흙색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konnoana Kobay. & Shi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약 3cm. 머리는 담다갈색, 대보다 다소 굵다. 대는 암회색, 굼벵이 류에서 난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들어있는 딱정벌레 류(鞘翅目)의 애벌레(굼벵이류)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애벌레의 머리 부분에서 1개 또는 2개 나온다. 지상부의 높이는 약 3cm. 굵은 침 모양.
결실부(머리)는 상반부에 생기고 대 보다 다소 굵어진다. 담 다갈색. 자낭각은 돌출형. 난형 또는 팽이모양이며 성기게 붙는다. 그 표면에는 미세한 점상의 비늘이 있다.
대는 갈색을 띤 암회색. 직경 1mm 정도. 약간 섬유상 육질이고 밑동은 애벌레에 붙어 있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4∼6×1㎛.
색상 : 담다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식나무류, 나한백 등 아열대 식물의 임지 토양이나 산길에 연한 나지에 풍뎅이 등 딱정벌레 류 애벌레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