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중국기생동충하초(중국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Ophiocordyceps sinensis (Berk.) G. Sung, J. Sung, H-Jones & Spat. > Cordyceps sinensis (Berk.) Sacc.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기생동충하초속(Ophiocordyceps)(벌동충하초속)
    특징 : 높이 4∼10cm. 머리는 대보다 다소 굵고 원통형이나 끝이 뾰족. 암갈색, 대는 원주형, 머리와 같은 색. 중국동충하초 또는 동충하초라고도 하였으나 기준종이 아니며 중복된 명칭임.
    이 버섯은 우리나라에서 나는 버섯이 아니나, 중국에서 약용으로 많이 수입되며, "약효가 뛰어난 건강식품버섯“ 등 여러 책자에 기록되었으므로 이곳에 올림.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묻힌 박쥐나방 류(コウモリガ) 애벌레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3개. 높이 4∼10cm.
    결실부(머리)는 위쪽에 생기고 다소 굵어져 있으며, 원통형이나 끝이 뾰족하다. 때로는 선단이 뾰족하게 빠져 나온다. 높이 1.5∼3cm, 굵기 2.5∼6mm. 암갈색. 자낭각은 나생(裸生)하나 미세하게 밀포되어 있다.
    대는 원주형, 직경 1.5∼4mm. 암갈색. 밑동은 기주에 직결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자낭포자, 자낭에 2개씩 형성되며 격벽이 있다. 160∼470×5∼6.5㎛.
    색상 : 암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해발 3,000∼4,000m의 고산지대 초원의 까치수영 풀 군락지에 땅속에 묻힌 박쥐나방 류 애벌레에서 발생.
    분포 : 티벳, 중국, 네팔, 사할린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 노린재부리기생동충하초(노린재부리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Ophiocordyceps pentatomae (Kovol) G.H. Sung, J.M. Sung, H.-Jones & Spat. > Cordyceps pentatomae Kovol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기생동충하초속(Ophiocordyceps)(벌동충하초속)
    특징 : 높이 1∼4cm. 머리는 아구형∼타원형, 끝에 학의 부리모양 돌출, 담황토색, 대는 원주형, 황토색. 노린재부리동충하초 또는 노린재측생동충하초라고 했으나, 속이 달라져서 개칭.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속에 묻힌 노린재 성충 몸체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1개의 대에서 2개가 분지되거나, 몇 개 나오기도 한다. 높이는 1(3)∼4cm.
    결실부(머리)는 만곡된 대의 위쪽에 아구형∼타원형이며, 장경 5mm, 단경 3∼4mm 정도. 끝에 학의 부리모양∼침 모양 돌출되기도 한다. 담 황토색. 자낭각(자낭과)은 묻힌 형, 각공이 미세하게 돌출된다.
    대는 섬유상 육질, 다소 찌그러진 원주형, 직경 1mm 내외. 황토색, 밑동이 흑색으로 진해 지기도 하며, 기주에 직결된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막대형. 3∼6×1㎛.
    색상 : 담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참나무류, 너도밤나무, 자작나무류 칠엽수 등의 임지나 혼효림 임지 내 토양의 땅속에 묻힌 노린재 성충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쏘련 극동부.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3. 긴뿌리기생동충하초(긴뿌리포식동충하초, 제주긴뿌리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Ophiocordyceps longissima (Kobay.) G.H. Sung, J.M. Sung H-Jones & Spatafora > Cordyceps longissima Kobay.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기생동충하초속(Ophiocordyceps)(벌동충하초속)
    특징 : 지상 높이 4∼7cm. 머리는 대보다 약간 굵은 곤봉상, 홍색∼담갈색, 대는 연한 적갈색∼담갈색, 밑은 뿌리모양. 후에 긴뿌리포식동충하초 이라고도 하였음.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들어있는 매미의 번데기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개. 곤봉형으로 머리부가 굵어지고 전체 길이 6∼14cm, 지상 높이는 4∼7cm 정도.
    결실부(머리)는 약 3cm(직경 5mm), 대보다 약간 굵은 긴 곤봉상, 처음에는 홍색이다가 후에 퇴색되어 담갈색이 된다. 자낭각은 묻힌 형.
    대는 원주형이다가 아래쪽이 뿌리모양 가늘어 지고 굴곡이 심하다. 연한 적갈색∼담갈색, 기주는 매미류인데 담갈색, 솜털 모양의 균사막이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9∼11×1∼1.2㎛.
    색상 : 홍색∼담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참나무류, 너도밤나무, 칠엽수 등 활엽수 임지의 매미의 번데기에서 나온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4. 노린재기생동충하초(노린재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Ophiocordyceps nutans (Pat) G.H. Sung, J.M. Sung, H-Jones & Spatafora > Cordyceps nutans Pat.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기생동충하초속(Ophiocordyceps)(벌동충하초속)
    특징 : 높이 4∼10cm. 머리는 면봉모양, 오렌지홍색. 대는 철사모양 가늘고 길며 위쪽은 분홍, 밑은 검은 색.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있는 노린재 성충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주로 1개가 나오지만 가끔 2∼3개가 나오기도 한다. 상단에 면봉(綿棒)모양으로 타원형 또는 구형인 머리와 철사 모양 가늘고 긴 대로 이루어진다. 지상부의 높이는 4∼10cm, 전체 길이는 4∼15cm.
    결실부(머리)는 높이 3∼7mm(직경 1∼3mm), 오렌지홍색∼오렌지적색이다가 후에 퇴색한다. 자낭각(자낭과)은 비스듬이 묻힌형이고 각공이 표면에 밀포되어 있다.
    대는 철사모양 가늘고 길며, 직경 0.4∼0.8mm, 위쪽은 분홍색이고 아래쪽은 검은 색. 가죽질이며 광택이 있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6.5∼10×1.4∼1.6㎛.
    색상 : 오렌지홍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각종 활엽수 또는 침엽수 임지 내 땅속에 묻힌 노린재 성충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및 열대 각지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5. No Image

    점박이기생동충하초(가는점박이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Ophiocordyceps paludosa Mains >Cordyceps paludosa (Mains) Mains(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기생동충하초속(Ophiocordyceps)(벌동충하초속)
    특징 : 길이 5cm 정도. 자실체는 긴 침 모양, 위쪽이 가늘고 꾸불꾸불하게 휘며, 황갈색. 위쪽에 방추형 자낭각 돌출. 유충가는점박이동충하초가 긴 이름이어서 가는점박박이동충하초로 개칭되었다가 속이 달라져서 점박이기생동충하초로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묻힌 나비목 유충에서 1개 또는 2개가 난다. 긴 침 모양 위쪽이 가늘어지며 꾸불꾸불하게 휘어 있는 자실체의 위쪽에 드문드문 자낭각이 돌출된다. 전체 길이는 5cm 정도, 굵기 0.5∼1mm. 황갈색.
    결실부(머리)는 대의 위쪽에 형성되며 더 굵어지지 않고 점점 가늘어 진다. 황갈색, 방추형∼달걀모양의 자낭각이 돌출된다. 결실부 위쪽에 끝에는 실 모양의 무염성 돌출이 있다.
    대는 결실부 쪽보다 굵고 아래쪽으로 약간 굵어진다.


    색상 : 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작은 애벌레 유충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6. 큰매미기생동충하초(큰매미포식동충하초, 큰매미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Ophiocordyceps heteropoda (Kobay.) G.H. Sung, J.M. Sung, H-Jones & Spatafora > Cordyceps heteropoda Kobay.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기생동충하초속(Ophiocordyceps)(벌동충하초속)
    특징 : 지상부 높이 2∼4cm. 머리는 난형∼구형, 암갈색∼황갈색, 대 위쪽은 담갈색 원주형. 아래는 암갈색, 가늘게 뿌리 모양. 후에 큰매미포식동충하초이라고도 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들어있는 매미의 번데기 몸체에서 나온다. 전체 길이는 10∼12cm에 달하는데, 지상부에 나오는 높이는 2∼4cm 정도이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개가 생긴다.
    결실부(머리)는 난형∼구형, 폭은 6∼9mm. 암갈색∼황갈색. 자낭각은 머리에 매몰되어 있고, 그 각공이 미세한 점 모양 진한 색으로 들어나나 돌출되지는 않는다.
    대의 위쪽은 원주형이고 담갈색, 지름 4mm 정도, 아래쪽은 가늘게 뿌리 모양을 이루고 가지 모양의 측지가 위쪽으로 다수 뻗어 있으며, 암갈색.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6∼8×1㎛.
    색상 : 암갈색∼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활엽수림 또는 상록활엽수림이나 이들과 섞인 침엽수림에서 땅 속에 들어있는 매미의 번데기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콩고.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7. 유충기생동충하초(유충포식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Ophiocordyceps agriotis G.H. Sung, J.M. Sung H-Jones & Spatafora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기생동충하초속(Ophiocordyceps)(벌동충하초속)
    특징 : 충검은점박이동충하초(Cordyceps agriota Kwam.)이 개칭된 것이라고 하는데, indexfungorum에서는 이 버섯을 별도로 구분하고 있다. 전의 유충검은점박이동충하초와 동일종인지의 여부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
    후에 유충벌동충하초, 유충포식동충하초라고 개칭하였는데, 포식(捕食)은 동충하초에게 적합하지 않은 용어이므로 유충기생동추앟초로 개칭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8. 구형기생동충하초(유충긴목구형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Ophiocordyceps gracilis (Grev.) G.H. Sung, J.M. Sung, H-Jones & Spat. > Cordyceps gracilis Dur. & Mont.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기생동충하초속(Ophiocordyceps)(벌동충하초속)
    특징 : 길이 7cm 정도. 머리는 허연색 긴 원주상 대의 꼭대기에 구형으로 붙는다. 표면은 분상. 유충긴목구형동충하초를 속이 바뀌어 개칭됨. 벌이 아닌 유충에 난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속에 들어 있는 죽은 유충에서 발생. 자실체는 1개 또는 3개가 생긴다. 길이 7cm 정도, 담황갈색.
    결실부(머리)는 꼭대기에 구형으로 붙는다. 연두색∼담황갈색. 크기 3.5∼5mm, 자낭각은 묻힌 형. 촘촘하게 분포한다.
    대는 원주상. 머리 아래에 길게 뻗어 있으며 허연색, 표면은 분상.

    포자 : 포자는 실 모양의 자낭포자가 2차 포자로 분열한다.
    색상 : 허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땅속에 있는 죽은 유충에서 난다(때로는 고치에서도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9. 방망이기생동충하초(방망이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Ophiocordyceps clavata (Kobayasi & Shimizu) G.H. Sung, J.M. Sung, H-Jones & Spatafora > Cordyceps clavata Kobay. & Shim.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기생동충하초속(Ophiocordyceps)(벌동충하초속)
    특징 : 높이 1.7∼2.5cm. 머리는 솜방망이 모양, 연한 황백색, 위에 뿔 모양 돌출, 대는 원주상 크림색. 방방이동충하초가 속변경으로 개칭되었다. 버섯의 형태는 다소 변이가 크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썩은 나무속에 들어있는 벌레의 유충에서 발생. 부후목형, 유충의 몸체에 1개 또는 2∼7개가 발생, 높이 1.7∼2.5cm, 뿔이 있는 솜방망이 모양, 결실부(머리)와 대로 구분된다.
    결실부(머리)는 상반부에 생긴다. 연한 황백색, 많은 알갱이 모양의 자낭각(자낭과)이 촘촘히 붙어 있고, 자낭각(자낭과)은 반 돌출형, 각공은 반구상으로 돌출된다. 머리 위에는 뿔모양∼원추상의 불염성 돌출이 있다.
    대는 원주형, 결실부와의 경계가 명료하다. 지름 1.8∼2.2mm, 연한 크림색, 딱딱한 육질, 밑동 아래쪽은 뿌리 모양으로 백색 균사가 기주에 연결된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는 막대형 5∼9×1.5㎛.
    색상 : 연한 황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칠엽수, 호두나무류 등이 쓸어진 나무에 들어 있는 벌레의 유충 몸체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0. 녹강균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Metarhizium anisopliae (Metschn.) Sorokin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녹강균속(Metarhizium)
    특징 : 기주의 몸에 흑록색의 분생자르 형성
    이 버섯의 속은 Anamorphic Metacordyceps (고무동충하초속 불완전세대)로 기록되어 있다.

    자실체 : 경화병(硬化病)의 일종이다. 녹강균속에는 8종이 기재되어 있지만, 본 종이 가장 흔한 종이다. 이 균은 Beauveria bassiana와 마찬가지로 병원력이 강력하다. 기주의 범위도 넓고, 기주의 몸에 흑록색의 분생자르 형성한다.
    이 균에는 2개의 변종이 있다. var. anisopliae는 각종 곤충에서 발견되는 보통종이며, 이 균은 각국에서 해충의 미생물적 방제용으로 쓰고 있다.

    포자 : 분생자는 원통형, 5∼8×2∼2.5㎛이다. var. majus는 분생자가 같은 모양이지만 다소 크다.
    색상 : 흑록색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1. 번데기흰고무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Metacordyceps yongmunensis G.H. Sung, J.M. Sung & Spat.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고무동충하초속(Metacordyceps)
    특징 : 자실체(자좌)는 높이 3∼5cm 정도, 곤봉형, 기주에서 3∼10개의 자좌가 발생한다. 결실부는 담황백색, 울퉁불퉁한 요철이 있다. 대는 가늘고 약간 진한 색.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자실체는 높이 3∼5cm 정도, 곤봉형, 1개의 번데기 기주에서 3∼10개의 자실체(자좌)가 발생한다.
    결실부는 높이 1.5∼3cm, 굵기 2∼4mm, 원통형, 표면은 담황백색, 울퉁불퉁한 요철이 있다. 자낭각은 묻힌 형으로 갈황색, 연한 갈색∼오렌지갈색, 비스듬하게 배열되어 있다. 방추형∼곤봉형. 550∼800×450∼500㎛.
    대는 지름 2mm 정도. 결실부와의 경계가 뚜렷하며, 결실부보다 약간 진한 색.

    포자 : 자낭포자는 실 모양, 투명, 격막이 여러 개 이며, 크기 180∼345×1㎛. 부분적인 포자로 쪼개지지 않는다.
    자낭은 8개의 포자가 들어 있고, 투명, 원주형. 205∼360×5∼7㎛. 뚜렷한 꼭지 뚜껑이 있다.

    색상 : 담황백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임내 지상에 낙엽이나 땅 속에 묻힌 큰 번데기에서 나온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2. 나방잠자리동충하초(나방이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Hymenostilbe sphingum (Schwein.) Petch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잠자리동충하초속(Hymenostilbe)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3. 잠자리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Hymenostilbe odonatae Kobay.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잠자리동충하초속(Hymenostilbe)
    특징 : 죽은 잠자리 성충에서 나온다. 뿔 모양∼원추형, 매우 작고 담황갈색.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풀이나 나무에 붙어 있는 죽은 각종 잠자리 성충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여러 개가 생긴다. 뿔 모양, 원추형 등이며, 높이 3∼5mm로 매우 작다.
    결실부는 위쪽에 생기나 눈으로 구분이 안 된다. 자낭각(자낭과)는 묻힌형. 각공이 미세하게 돌출된다. 담황갈색.
    대는 원주형으로 직경 1mm 정도. 머리와 같은 색. 밑동이 기주에 직결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방추형. 분생포자를 만든다. 10∼15×2.5∼2.8㎛.
    색상 : 담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나무나 풀에 붙어 있는 각종 잠자리의 몸체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뉴우기니.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4. 노린재동충하초덧붙이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Hirsutella nutans Kobay.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잔뿌리동충하초속(Hirsutella)
    특징 : 노린재동충하초(Cordiceps nutant)의 머리 부분에 기생
    자실체 : 자실체는 노린재동충하초(Cordiceps nutant)의 머리 부분에 다른 2차 균에 의하여 감염, 형성된다. 분생자병속은 백색, 곤봉형. 크기 2∼3mm, 폭 1mm 정도이다.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노린재동충하초(Cordiceps nutant)의 머리 부분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5. No Image

    검은동충하초덧붙이(유충검은동충하초덧붙이)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Hirsutella nigrella Kobay.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잔뿌리동충하초속(Hirsutella)
    특징 : 검은동충하초에 기생함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6. 잔뿌리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Hirsutella entomophila Pat.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잔뿌리동충하초속(Hirsutella)
    특징 : 길이 1.1∼3.6cm. 대는 가늘고 실 모양 꾸불꾸불, 여러 개 난다. 흰색. 위쪽에 긴 털 모양 분생자가 직각으로 부착한다. 유충잔뿌리동충하초가 기준종이어서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낙엽 밑이나 나뭇가지에 있는 크기 8x1mm 정도인 유충에서 발생되었으며, 길이 1.1∼3.6cm, 굵기 0.8∼1mm, 흰색, 실모양의 꾸불꾸불한 자실체가 다수 형성된다. 후에 대(분생자병)의 위쪽으로 매우 가는 곤봉모양∼긴털 모양의 작은 대(분생자병)가 직각으로 부착되고 여기에서 분생자가 생긴다.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낙엽 밑이나 나뭇가지에 있는 유충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7. No Image

    다발잔뿌리동충하초(송충이국수다발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Hirsutella clarispora (Petch) Petch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잔뿌리동충하초속(Hirsutella)
    특징 : 높이 2.1∼3.2cm. 자실체는 가는 침 모양이 10여 개 다발로 형성되고 백색. 나비목의 유충에서 난다. 송충이국수다발동충하초가 속명 변경에 따라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나비목의 유충에 기생하며, 유충의 마디에서 여러 개 또는 10여 개 이상 다발로 자실체가 형성 된다. 가는 침 모양 끝 쪽으로 가늘어 지며 백색. 높이 2.1∼3.2cm, 굵기 1mm 정도이다.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송충이나방의 유충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8. 송충이잔뿌리동충하초(송충이잔가지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Hirsutella citriformis Speare
    과명 : 잠자리동충하초과(Ophiocordycipitaceae)
    속명 : 잔뿌리동충하초속(Hirsutella)
    특징 : 대(분생자병)는 실 모양, 허연색. 거의 밑동부터 위까지 백색의 분상∼막대모양 분생자 부착. 송충이잔가지동충하초가 속명에 따라 개칭.
    자실체 : 자실체(자좌)은 땅위에 있는 나방 류(나비목)의 유충에서 발생하고, 크기는 1.8∼7.5cm, 직경 0.8∼2mm 정도. 백색, 실 모양의 자실체가 다수 발생. 흔히 몇 개의 가늘고 긴 것과 짧게 유충의 몸에 붙은 것이 함께 발생된다.
    결실부(머리)는 백색∼허연색 대(분생자병)의 거의 밑동부터 위쪽 끝까지 백색의 분상 또는 미세한 막대모양 분생자가 부착된다.


    색상 : 허연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송충이나방의 유충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9. 말뚝사슴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Podostroma solmsii (E. Fisch.) S. Imai
    과명 : 점버섯과(Hypocreaceae)
    속명 : 사슴뿔버섯속(Podostroma)
    특징 : 높이 2∼4cm 정도, 굵기 0.5∼1cm 말뚝버섯 유균의 기생균으로 불규칙한 곤봉상∼아 원주상, 어릴 때는 허연색∼베이지색, 후에는 회적색∼오렌지갈색
    자실체 : 자실체는 말뚝버섯(Phallus impudicus)의 알(유균)에 기생하는 기생균으로 불규칙한 곤봉상∼아 원주상이며, 어릴 때는 허연색∼베이지색, 후에는 회적색∼오렌지갈색이 된다.
    크기는 대략 높이 2∼4cm 정도, 굵기 0.5∼1cm 정도. 표면에 미세한 돌출이 있으나, 자낭각은 묻힌형으로 내부에 들어 있고, 구형∼타원형이며, 밀집하여 생성된다.
    자낭은 원주형이며, 벽이 얇고, 120∼130×5∼6㎛. 8개의 자낭포자가 들어 있다. 측사는 없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타원형, 무색, 비전분반응. 정단포자(distal partspores)는 7∼8×5∼6㎛, 기부부근 포자(Proximal partspores)는 14∼16×5∼6㎛, 격막이 없고, 표면에 미세한 사마귀상 돌기가 밀생 피복되어 있다.
    색상 : 허연색∼베이지색, 후에는 회적색∼오렌지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말뚝버섯의 유균에 기생하여 1개 또는 여러 개가 발생한다.
    분포 : 한국, 일본,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0. 붉은사슴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Podostroma cornu-damae (Pat.) Boed.
    과명 : 점버섯과(Hypocreaceae)
    속명 : 사슴뿔버섯속(Podostroma)
    특징 : 높이 3∼6cm, 곤봉모양∼뿔 모양 또는 사슴뿔 모양. 선명한 적황색의 아름다운 버섯
    최악의 맹독성 버섯으로 위장자극, 신경, 피부 중독을 일으킨다
    버섯을 섭취 후 수십분 내에 증상이 발생학고 중독증상은 오한, 복통, 마비, 설사, 피부괴사 등을 보이며, 심한 경우 장기부전, 뇌장애,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그 원인 성분은 다양하며 주성분은 트리코테신이다.
    피부도 중독되므로 맨손으로 만지지 않는다.

    자실체 : 자실체는 곤봉모양∼뿔 모양의 단일 개체로 나기도 하고, 흔히 여러 개의 가지로 분지되어 사슴뿔 모양 등을 이룬다. 표면은 선명한 황적색 또는 퇴색되어 적황색. 높이는 3∼6cm 정도이고 굵기는 단생일 때 0.5∼1.5cm 정도, 분지되었을 때는 개체별로 차이가 크다. 내부의 살은 허연색.
    포자 : 포자는 구형, 무색, 2세포성 지름이 약 3㎛이다.
    색상 : 선명한 적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숲속의 썩은 나무 그루터기 주변, 이끼 많은 곳, 숲 가장자리 등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맹독 버섯이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자바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