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담자균문(Basidiomycota) > 깜부기균아문(USTILAGINOMYCOTINA) > 떡병균강(Exobasidiomycetes) > 떡병균목(Exobasidiales)
- Exobasidium reticulatum S. Ito & Sawada
- 떡병균과(Exobasidiaceae)
- 떡병균속(Exobasidium)
-
차의 잎에 처음에는 작게 담황색의 반점이 생기며, 점차 병반이 2∼3cm에 달하거나 때로는 잎 전체에 퍼진다. 암갈색, 잎 전체가 말라 수축된다.
<참고> 차나무에 생기는 각종 병해는 약 50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차그물떡병균도 그중 하나이다. 이 같은 병해는 유사해 보이는 다른 균과 혼동되기 쉬우므로, 현미경 검경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 자실체는 차의 잎에 침입하는 해균이다. 차나무의 어린 잎에 침입한 병균은 60∼70일 정도의 오랜 잠복기를 거친 후, 6월∼7월 상순과 8월 하순∼9월 2회에 걸쳐 발생이 된다. 처음에는 작게 담황색의 반점이 생기며, 이것이 엽맥을 따라 퍼지면서 그물눈 모양으로 확대되며, 허연색∼백색을 띤다. 흔히 병반은 1∼2개, 지름은 2∼3cm에 달한다. 때로는 잎 전체에 퍼지기도 한다. 후에는 암갈색이 되고 전체 잎이 말라서 수축된다. 자실층은 잎의 뒷면 표피층을 파괴하고 노출된다.
- 포자는 원주상 도난형. 곧거나 다소 굽는다. 평활, 9∼12×3∼3.5㎛.
- 암갈색
- 봄~여름
- 봄∼여름. 차나무(또는 치자나무 등) 잎에 발생.
- 한국, 일본, 대만.
- 비식용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사진출처 : http://www.bcrc.firdi.org.tw/fungi/fungal_detail.jsp?id=FU201505262351
도감등록수 2469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