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소나무비늘버섯목(Hymenochaetales)
- Inonotus obliquus (Ach. ex Pers.) Pilát. > Fuscoporia obliqua (Ach. ex Pers.) Aoshi.
-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
- 시루뻔버섯속(Inonotus)
- 배착생. 자작나무류 수간 상처부에 균핵 모양. 흑색. 내부는 황갈색∼암갈색. 전면에 관공이 밀포. 자작나무녹슨구멍버섯을 속이 바뀌어서 개칭.
-
자실체는 전체가 배착생. 불완전한 덩어리 모양을 이루며, 불규칙하게 관공이 퍼져있다. 자실체는 자작나무류나 오리나무류의 입목 수간에 수피가 찢어진 부분에 발달한다. 처음에는 얇게 퍼져나가지만, 후에 균핵 모양으로 된다. 균핵은 10∼30cm의 큰 덩어리 모양으로 되는데, 표면은 극히 단단하고 석탄과 같은 흑색인데 다소 광택이 있다. 종횡으로 심한 균열이 생긴다. 각이 져 있어서 석탄의 파편이 뭉쳐 있는 느낌을 준다. 내부는 황갈색∼암갈색이다. 전면에 관공이 밀포된다. 암세포 억제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차가버섯이란 상품명으로 팔리고 있다.
관공은 길이 2∼8mm, 공구는 거의 원형이고 작은데 3∼5개/mm, 암갈색, 위쪽으로 경사져 있다. 신선할 때는 유연하고 코르크질이고 황갈색∼암갈색, 건조하면 단단하고 깨지기 쉽다. - 포자는 담자포자와 후막포자가 함께 형성된다. 담자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8∼10×5∼7.5㎛.
- 흑색. 내부는 황갈색∼암갈색
- 연중내내
- 연중내내 자작나무류 및 오리나무류의 입목 수간에 기생하며 심변재에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 북반구 일대.
- 식용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사진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File:Inonotus_obliquus.jpg
"
도감등록수 2469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