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Persicaria lapathifolia (L.) Gray var. lapathifolia |
|---|---|
|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
| 속명 | 여뀌속(Persicaria) |
| 이명 | 명아자여뀌명아주여뀌 보태기여뀌 큰개여뀌 |
| 잎 | 잎은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12cm 폭 0.8-3.5cm로서 표면에 검은 점이 있고 가장자리와 양면 중륵 위에 잔털이 있다. 엽병은 탁엽보다 짧고 탁엽은 초상으로 털이 거의 없거나 짧은 연모가 있으며 마디가 굵다. |
| 꽃 | 꽃은 5-9월에 피고 백색 또는 연한 홍색이며 수상화서는 길이 1-4cm로서 곧게 서지만 다소 굽는 것도 있고 화피는 길이 2.5-3.5mm로서 4-5개로 갈라지며 맥이 뚜렷하고 끝이 2개로 갈라져서 젖혀진다. 수술은 5-6개로 화피보다 짧고 화주는 2개이다. |
| 열매 | 수과는 편원형으로 윤채가 있고 지름 2-3mm로서 흑갈색이다. |
| 줄기 | 높이 30-60cm이며 털이 없고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
| 분포 | ▶한국 중국 시베리아극동부 북미 유럽 등 각지에서 자란다.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
| 형태 | 1년생 초본. |
| 유사종 | ▶솜흰여뀌 (var.salicifolia MIYABE) : 잎 뒷면에 백색 선모가 있고 신의주 서울(북한산) 부전고원 및 구례에서 자라고 기본종과 분포가 같다고 생각된다. |
| 특징 | 잎 가장자리와 양면 중륵에 잔털이 있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Nat. Arr. Brit. Pl. 2: 270 (1821)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