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약난초

Views 120 Votes 0 Comment 0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Extra Form
학명 Cremastra variabilis (Blume) Nakai ex Shibata
과명 난초과(Orchidaceae)
속명 약난초속(Cremastra)
이명 약란 정화난초
잎은 1-2개가 인경 끝에서 나와 겨울이 지나면 마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5-40cm 나비 4-5cm로서 3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과 연결된다.
개화기는 5-6월로 잎 옆에서 길이 30-50cm정도의 화경이 나와 곧추 자라며 15-20개의 연한 자줏빛이 도는 갈색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밑을 향해 달린다. 엽신이 없는 초상엽이 있고 화서는 길이 10-20㎝이며 포는 길이 7-10mm로서 선상 피침형이고 예두이다. 화피열편은 선상 도피침형이며 길이 3-3.5㎝ 나비 4-5mm이고 순판은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며 기부에 육질의 부속체가 있고 거(距)가 없다. 암술은 길이 2.5cm로서 윗부분이 약
열매 삭과는 타원형으로 대가 없고 길이 2-2.5cm로서 밑을 향한다.
줄기 위경이 발달하였다.
뿌리 위인경(僞鱗莖)은 난상 원형이고 땅속으로 얕게 들어가며 높이 3㎝이고 옆으로 염주같이 연결된다.
분포 내장산 이남 및 해안 도서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초.
유사종 ▶감자난(Oreorchis patens Lindl.) ▶두잎약난초(C. unguiculata Finet): 약난초와 닮았으나 잎이 2장이다.
특징 ▶환경부에서 희귀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39) ▶뿌리에 항생물질이 존재하여 약제로 절리 사용한다. 9월경에 새로운 잎이 나오 상록인 상태로 월동하고 5월경에 묵은 잎이 고사한 후에 개화하는 특성이 있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Bot. Pharm. ed. 2:374, f. 499 (Shimoyama, 192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참고문헌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Board Pagination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