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 학명 |
Lactuca sibirica (L.) Benth. ex Maxim. |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 속명 |
왕고들빼기속(Lactuca) |
| 이명 |
자주고들빼기 자주방가지자주씀바귀 |
|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흔히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긴타원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길이 10-15cm 나비 1-3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싼다. |
|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하늘색이고 두화는 엉성하게 산방상으로 달리며 총포는 통형이고 꽃이 필 때는 길이 10-13mm 중앙부의 나비 7-8mm로서밑에 포엽이 있으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흔히 자주빛이 돌며 외편은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2.5-3.5mm로서 중편 및 내편과 더불어 끝이 둔하다. 화관은 길이 15-17mm이며 통부는 길이 4mm이고 설편 뒤에 백색 털이 있다. |
| 열매 |
수과는 흑색이고 길이 5mm정도로서 편평한 방추상 긴 타원형이며 관모는 길이 7mm정도이고 백색이다. |
| 줄기 |
높이 60-90cm이고 털이 없으며 가지가 다소 있다. |
| 분포 |
부전고원에서 백두산지역을 거쳐 북부지방에까지 분포되어 있다. |
| 형태 |
다년초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19: 528 (1874) |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