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 학명 | Akebia quinata f. polyphylla (Nakai) Hiyama | 
				| 과명 | 으름덩굴과(Lardizabalaceae) | 
				| 속명 | 으름덩굴속(Akebia) | 
				| 이명 | 개으름 여덜잎으름 팔손으름팔손으름덩굴 | 
				| 잎 | 잎은 새 가지에 호생하고  오래된 가지에서 총생하며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6-9개이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요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는 3-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거치는 없다. | 
				| 꽃 | 일가화로 잎과 함께 짧은 가지의 잎 사이에서 짧은 총상화서에 피는데 수꽃은 작고 많이 달리며 6개의 수술과 암꽃의 흔적이 있다. 암꽃은 크고 적게 피고  직경은 2.5-3cm로 자갈색이 난다. 꽃잎은 없으며 3개의 꽃받침 잎이 있다. | 
				| 열매 | 장과는 길이 6-10cm로서 10월에 자갈색으로 익는다. 장타원형 열매가 익으면 봉선(縫線)이 터지면서 종자가 분산되며 과피가 두껍다. 자갈색으로 익는다. | 
				| 줄기 | 길이가 5m에 달하고 가지에 털이 없으며 갈색이다. | 
				| 뿌리 | 길고 비대해 있으며  천근성이다. | 
				|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속리산  장산곶 및 안면도에서 자란다. | 
				| 형태 | 낙엽활엽의 덩굴성 (관화관실식물)  수형: 만경형 | 
				| 유사종 | ▶멀꿀(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ne.): 상록성 덩굴로   잎은 두꺼운 가죽질이고 5-6장의 소엽이 모여 1장의 잎을 이룬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껍질이 두꺼우며   익으면 벌어지기도 한다. 속에 든 과육은 맛이 좋다. | 
				| 특징 | 다른 나무를 감아 올라가는 특징이 있는 낙엽수로 봄에 돋아나는 새싹을 나물로 이용하는 개성있는 산나물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J. Jap. Bot. 36: 246 (1961)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