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http://www.naro.affrc.go.jp/org/fruit/epfdb/Ascomy/Cordyc/abcde/C_agrio.htm
|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
|---|---|
| 학명 | Cordyceps agriota Kawam. |
|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
|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
| 특징 | 지상부 3∼4.5cm. 굵은 침 모양, 자낭각은 암갈색 돌출형, 대의 위쪽은 회백색, 아래쪽은 암갈색. 땅속 방아벌레 유충에서 난다. 유충검은점박이동충하초가 개칭됨. 이 버섯의 학명이 indexfungorum에서 삭제되었는데 이유를 알 수 없어서 잔존시켰다. |
|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서 난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개가 난다. 굵은 침 모양인데 지상부는 높이 3∼4.5cm, 직경 0.5∼1.3mm, 전체 길이는 4∼6(7)cm. 결실부(머리)는 선단부를 제외한 상반부의 거의 전면에 걸쳐 있다. 자낭각은 돌출형. 대에 난형 또는 서양 배 모양의 알갱이모양으로 다수 붙어 있고, 암갈색 또는 흑갈색. 대의 자낭각이 붙어 있는 위쪽은 회백색∼암 회백색. 그 아래쪽은 암갈색이고 기주에 직접 붙어 있다. |
|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방추형. 평활, 투명, 3∼5×1.5㎛. |
| 색상 | 암갈색 |
| 발생계절 | 여름 |
| 발생형태 | 여름. 참나무류, 서어나무, 음나무 등의 활엽수림에서 땅속, 낙엽 밑 또는 썩은 나무 속에 묻힌 방아벌레의 유충에서 발생. |
| 분포 | 한국, 일본 |
| 식용여부 | 약용 |
|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사진출처 : http://www.naro.affrc.go.jp/org/fruit/epfdb/Ascomy/Cordyc/abcde/C_agrio.htm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