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https://www.etsy.com/ie/listing/460724084/10-g-fresh-sterile-chinese-black-truffle
|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
|---|---|
| 학명 | Tuber indicum Cooke & Massee |
| 과명 | 덩이버섯과(Tuberaceae) |
| 속명 | 덩이버섯속(Tuber) |
| 특징 | 폭 1.5∼5cm. 덩이뿌리 모양, 흑갈색. 높이 1mm 정도의 무수한 사마귀모양 돌기. 내면은 시기에 따라 변화가 크며, 담황색과 연두회색이 혼교되고 흰색 맥이 연결됨. 작은 편이다. |
| 자실체 | 자실체는 폭 1.5∼5(10)cm의 소형. 자낭과는 외면이 돌출된 괴상(塊狀)∼구상(球狀)의 덩이뿌리 모양이다. 표면은 흑갈색, 높이 1∼3mm 정도의 사마귀모양 돌기가 덮여 있다. 절단해 보면 내면은 미색(회황색 끼를 띤 백색) 바탕에 많은 맥이 연결되어 있거나, 담황색과 미색이 혼교된 바탕에 흰색의 많은 맥이 연결되어 있다. 오래 되면 회흑색 바탕에 허연색의 맥이 서로 연결된다 시기에 따라 형태, 색깔 등에 차이가 크다 |
| 포자 | 포자는 길게 침 모양 돌기를 가지고 있다. 일부는 맥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22∼38 × 20-32㎛(부속물 포함). 자낭은 아구형, 1∼5개의 포자가 들어 있다(보통 3∼4개). 60∼90× 50-60㎛. |
| 색상 | 담황색과 연두회색이 혼교 |
| 발생계절 | 여름~가을 |
|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임내 반지중생 또는 땅속에 난다 |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북미. |
| 식용여부 | 식용 |
|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사진출처 : https://www.etsy.com/ie/listing/460724084/10-g-fresh-sterile-chinese-black-truffle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