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 학명 |
Eucommia ulmoides Oliv. |
| 과명 |
두충과(Eucommiaceae) |
| 속명 |
두충속(Eucommia) |
| 잎 |
잎은 호생하며 길이 5~16cm 폭 2~7cm의 타원형이고 넓은 예저 둔저 또는 예저이며 끝이 갑자기 좁아져서 뾰족해지고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나 5-6쌍의 뚜렷한 엽맥 위에는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예리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정도로 잔털이 있다. 처음 미모가 있다가 나중에 없어진다. |
| 꽃 |
꽃은 자웅이가화로서 5월에 꽃이 핀다. 화피가 없으며 수꽃은 화경과 4-10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짧은 화경이 있으며 새가지 밑부분에 달린다. 자방은 2개의 심피가 합쳐지고 1개의 방은 퇴화되어 1실로 되며 끝이 2개로 갈라져서 암술머리로 된다. |
| 열매 |
열매는 10-11월에 익고 편평한 장타원형으로 날개가 있는 시과(翅果)인데 느릅나무 종자와 비슷하다. 날개와 더불어 대를 제외한 길이가 3-3.5cm이고 중앙부의 나비가 1cm이며 대는 길이 6mm정도이다. 열매를 자르면 고무같은 점질의 실이 나온다. |
| 줄기 |
통직하며 많은 가지를 내고 수피는 갈색을 띠는 회백색이다. |
| 분포 |
경기 강원 충북 경북 등지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
| 형태 |
낙엽활엽교목. |
| 유사종 |
두충의 대용품으로 속(屬)이 다른 화두충사철나무 대만두충나무가 있다. |
| 특징 |
▶1926년 당시 임업시험장 촉탁이며 동경대학 교수였던 나까이 박사가 최초로 도입하여 홍릉에 있는 임업연구원 수목원에 심었다. ▶세계적으로 1과1속1종밖에 없는 중국 특산이다. 현재 중국 중남부의 각성(省) 일대에서 다량 재배되고 있다. ▶초겨울까지 파란 잎이 무성하며 가지 잎 수피를 자르면 고무같은 점질의 실이 나온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Icones plantarum plates 20: (1890)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