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눈측백

조회 수 1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Thuja koraiensis Nakai
과명 측백나무과(Cupressaceae)
속명 눈측백속(Thuja)
이명 누운측백 누운측백나무 찝빵나무
잎은 둔두로서 중앙부의 것은 능형 옆의 것은 타원상 삼각형이고 길이 1.8~2.4mm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황록색으로서 2개의 뚜렷한 백색 줄이 있으며 향기가 강하다.
꽃은 일가화로 5월에 피며 수꽃은 난형이고 황색이며 암꽃은 난형이고 길이 3mm로서 8개의 인편으로 구성된다.
열매 구과는 길이 9mm 지름 6mm로 타원형이며 9월경에 짙은 갈색으로 익어 벌어진다. 실편은 긴 도란형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서 큰 것은 길이 7-9mm 나비 4.5-5mm이다. 종자는 한 열매에 5-10개 들어 있으며 넓적한 타원형이고 길이 6mm내외로서 양쪽에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 높이 10-20m 지름 20-30cm의 소교목이지만 흔히 관목상으로 자라며 수피는 회적색으로 얕게 세로로 갈라진다. 어린가지는 붉은 갈색에 가늘고 납작하다. 가지는 모두 선록색이다.
분포 북위 35˚이북의 고산지대 태백산 오대산 설악산 등 높은 산의 표고 700m 이상 되는 지역에 분포한다.
형태 상록침엽 소교목 수형:원추형.
유사종 ▶측백나무(T. oreientails L.) ▶서양측백나무(T. occidentails L.)
특징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의 측백은 천연기념물 255호에 지정되어 있다. ⓐ면적:1주 ⓑ지정사유:노거수 ⓒ수령:300년 ⓓ나무높이:11m ▶자생지에 따라서 성목의 최대수고가 차이를 나타내어 성목의 수고가 2m에 이르고 가지가 밀생하며 직립형 수형을 나타내는 종류를 비롯하여 지면에 밀착하여 50~70cm 정도로 낮게 자라는 것들도 있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Bot. Mag. (Tokyo) 33 : 196 (1919)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Board Pagination Prev 1 ...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