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흰제비고깔
학명 : Delphinium maackianum f. album (Nakai) W.T.Lee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제비고깔속(Delphinium)
이명 : 산제비고깔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단풍잎 같이 3-7개로 갈라지며 열편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며 크지만 중앙부의 것은 엽병의 길이가 5cm정도이고 엽신은 길이 9cm 폭 12cm이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백색이고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포는 잎같고 소포는 소화경의 중앙부에 달리며 막질이고 소화경은 화서축의 윗부분과 더불어 갈색 융모가 있다. 꽃받침열편은 5개가 꽃잎처럼 되며 위쪽의 것은 거가 있고 꽃잎이 그 속에 들어 있다.
열매 : 골돌은 3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cm정도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 진다.
줄기 : 높이가 1m 정도이고 줄기가 곧게 서며 밑부분과 화서에 털이 있으나 대부분 털이 없고 상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굵은 근경은 땅속 깊이 들어간다.
분포 : 북부 지방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제비고깔(D. frandiflorum var. chinense FISCH.)은 북한지방에 자생하는 식물로 한택식물원에서 재배시험중이다. ▶털제비고깔 (var.lasiocarpum REGEL) : 열매에 털이 있고 전체에 털이 많다. ▶부전제비고깔 (var.lasiophyllum NAK.) : 열매에는 털이 없으나 밑부분과 잎에 털이 많다.
특징 : ▶큰제비고깔과 비슷하나 흰꽃이 핀다. ▶고산성의 희귀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 Fl. Koreae : 329 (199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털제비고깔
학명 : Delphinium maackianum f. lasiocarpum (Regel) Kitag.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제비고깔속(Delphinium)
이명 : 부전제비고깔 색기제비고깔 털잎제비고깔 )
잎 : 잎은 어긋나고 엽병이 길며 단풍잎처럼 3∼7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거치가 있다.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지만 가운뎃부분의 것은 엽병이 약 5cm이며 잎몸은 길이 약 9cm 너비 약 12cm이다.
꽃 : 꽃은 7∼9월에 어두운 자줏빛으로 피고 줄기 끝에 원추화서를 이룬다. 포는 잎처럼 생기고 작은 포는 막질로서 작은 꽃자루의 가운뎃부분에 달린다. 작은 꽃자루에는 갈색의 부드러운 털이 나고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진다. 위쪽에 있는 꽃받침 조각에는 꿀주머니가 있고 그 속에 꽃잎이 들어 있다.
열매 : 열매는 긴 타원 모양의 골돌과로서 길이 약 1.5cm이고 털이 나며 끝이 길게 뾰족하다.
줄기 : 포기 전체에 털이 난다.
분포 : 한국(북부지방 강원)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ourn. Jap. Bot. 36 : 21 (196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제비고깔
학명 : Delphinium maackianum Regel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제비고깔속(Delphinium)
이명 : 산제비고깔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단풍잎같이 3-7개로 갈라지며 열편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며 크지만 중앙부의 것은 엽병의 길이가 5cm정도이고 엽신은 길이 9cm 폭 12cm이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짙은 자주색이고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포는 잎같고 소포는 소화경의 중앙부에 달리며 막질이고 소화경은 화서축의 윗부분과 더불어 갈색 융모가 있다. 꽃받침열편은 5개가 꽃잎처럼 되며 위쪽의 것은 거가 있고 꽃잎이 그 속에 들어 있다.
열매 : 골돌은 3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cm정도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줄기 : 높이가 1m정도이고 줄기가 곧게 서며 밑부분과 화서에 털이 있으나 대부분 털이 없고 상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굵은 근경은 땅속 깊이 들어간다.
분포 : 경기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제비고깔(D. frandiflorum var. chinense FISCH.)은 북한지방에 자생하는 식물로 한택식물원에서 재배시험중이다. ▶털제비고깔 (var.lasiocarpum REGEL) : 열매에 털이 있고 전체에 털이 많다. ▶부전제비고깔 (var.lasiophyllum NAK.) : 열매에는 털이 없으나 밑부분과 잎에 털이 많다.
특징 : 고산성의 희귀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ent. Fl. Uss. 9 (186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참제비고깔
학명 : Delphinium ornatum Bouche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제비고깔속(Delphinium)
잎 :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고 장상으로 3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2-3회 갈라져서 선형으로 되고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으며 잎이 작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보통 암자색이나 연한 자주색 연한 분홍색 흰색도 있음. 꽃받침잎은 5개로서 크기가 다르고 뒤쪽의 가장 큰 꽃받침잎의 밑부분의 길이 1.5cm정도의 거(距)로 된다. 꽃잎은 뒤쪽에 붙어 있으며 1개 뿐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이 합쳐져서 거(距) 속에 들어 있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편평하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긴 타원형이고 털이 밀생한다.
줄기 : 높이가 90cm에 달하고 윗부분에 짧은 털이 있다.
분포 :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김해 근처에서 야생상으로 자란다.
형태 : 2년초
특징 : 윗부분에 짧은 털이 분포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Zeitung (Berlin) 1 : 26 (184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제비고깔
학명 : Delphinium grandiflorum L.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제비고깔속(Delphinium)
잎 : 잎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며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고 엽신은 3개로 갈라지고 측열편은 2-3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2-3개로 갈라져서 선형으로 되고 중앙열편은 2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2개로 갈라지며 양면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뒷면에 긴 털이 섞여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보라색 짙은 하늘색이고 총상화서로 달린다. 포와 소포는 녹색이며 선형이고 소화경은 밑부분의 것은 길며 윗부분의 것은 짧고 꼬부라진 백색털이 있다. 꽃받침은 5장이며 겉에 꼬부라진 털과 긴 털이 있고 위쪽의 것은 긴 거(距)가 있다. 화사는 밑부분이 넓은 막질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3개이며 갈색털이 밀포한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하며 털이 많다.
분포 : 평안도 함경도 등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비연초
학명 : Delphinium ajacis L.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제비고깔속(Delphinium)
이명 : 나래제비풀 )참제비꽃
잎 : 잎은 어긋나고 엽병이 있으며 손바닥 모양이고 세 장의 소엽이 나온 잎으로 얕게 갈라진다.
꽃 : 꽃은 5∼6월에 하늘색 분홍색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 청색이 강한 자주색 흰색 등으로 피고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의 지름은 3cm이며 꽃잎은 2∼4개이고 작으며 꽃받침은 꽃잎 모양이고 뒤쪽의 1개는 긴 꿀주머니로 변형된다.
특징 : 어떤 종은 독성을 지니고 있어 가축에 해롭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부전제비고깔
학명 : Delphinium maackianum var. lasiophyllum Nakai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제비고깔속(Delphinium)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단풍잎같이 3-7개로 갈라지며 열편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며 크지만 중앙부의 것은 엽병의 길이가 5cm정도이고 털이 많으며 엽신은 길이 9cm 폭 12cm이다.
꽃 : 개화기는 7-8월로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보라색 꽃이 핀다. 포는 잎같고 소포는 소화경의 중앙부에 달리며 막질이고 소화경은 화서축의 윗부분과 더불어 갈색 융모가 있다. 꽃받침열편은 5개가 꽃잎처럼 되며 위쪽의 것은 거가 있고 꽃잎이 그 속에 들어 있다.
열매 : 골돌은 3개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cm정도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열매에는 털이 없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밑부분에 털이 많다.
뿌리 : 굵은 근경은 땅속 깊이 들어간다.
분포 : 경기도 이북의 산록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털제비고깔 (var.lasiocarpum REGEL) : 열매에 털이 있고 전체에 털이 많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3 : 471 (193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