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네귀쓴풀

    학명 : Swertia tetrapetala (Pall.) Grossh.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쓴풀속(Swertia)

    잎 : 잎은 대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넓은 도피침형으로 밑이 좁아져 엽병같이 되나 화시에는 마르며 중앙부의 것은 삼각상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수평으로 퍼지며 길이 2~3.5cm 나비 7~15m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며 엽병은 없다.
    꽃 : 꽃은 7~8월에 자색으로 피고 4수성이며 줄기 끝에 모여 달려 전체가 원추형으로 되고 소화경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피침형으로 화관의 길이 1/3 정도이고 화관열편은 타원형 또는 난상 장 타원형으로 흑자색 점이 있으며 선체는 1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9~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네모지며 털이 없고 가지친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사할린 캄차카에 분포한다.
    형태 : 1~2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URSS 18: 627 (195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2. No Image

    점박이별꽃풀

    학명 : Swertia erythrosticta Maxim.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쓴풀속(Swertia)
    이명 : 별쓴풀 붉은별쓴풀 점백이별꽃풀 키다리쓴풀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kad. Imp. Sci. St. Petersb. 27 : 503(1882);Kitamura in Act. Phytotax. Geobot. 9 : 243(1940)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흰자주쓴풀

    학명 : Swertia pseudochinensis f. alba Y.N.Lee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쓴풀속(Swertia)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헤이룽강
    형태 : 이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4. No Image

    큰잎쓴풀

    학명 : Swertia wilfordii J.Kern.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쓴풀속(Swertia)
    이명 : 산쓴풀 큰자주쓴풀
    잎 : 잎은 대생하고 좁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며 밑은 줄기를 약간 둘러싸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8~9월에 자색으로 피고 4수성이며 가지와 줄기 끝에 모여 달려 전체가 원추화서를 형성하고 소화경은 길다. 꽃받침은 깊이 4개로 깊이 갈라지고 열편은 난상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10mm 내외이며 5~7맥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에 선체가 있다. 수술은 4개이고 화관 기부에 달린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고 포간이 갈라져 많은 종자가 나오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지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포 : 함북(무산 백두산)에 나며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25 : 274 (Kom., 190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Read More
  5. No Image

    자주쓴풀

    학명 : Swertia pseudochinensis H. Hara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쓴풀속(Swertia)
    이명 : 털쓴풀
    잎 : 잎은 대생하며 길이는 2~4cm 폭은 3~8mm로서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아져서 뾰족하며 기부는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자주색으로서 5수이며 원줄기 윗부분에 달려 전체가 원추형으로 되고 위에서부터 꽃이 핀다. 꽃잎은 길이 1-1.5cm로서 짙은 색의 맥이 있으며 밑부분에 털로 덮여 있는 2개의 선체가 있고 5개로 깊게 갈라져 있으며 열편은 약간 넓은 긴 타원형이다 꽃받침잎은 녹색으로 넓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인데 꽃잎 길이의 반 정도이거나 거의 같다. 수술은 5개로 화관보다 짧으며 꽃밥은 흑자색이고 암술대는 짧으며 2개로 갈라진다. 자방은 좁고 길이가 비슷하고 화주는 짧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넓은 피침형이며 화관과 길이가 비슷하고 종자는 둥글며 밋밋하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원줄기는 직립하며 자흑색이 나고 약간 4각이 져 있으며 약간 도드라진 세포가 있고 상부는 엽액마다 가지가 갈라져 나온다.
    뿌리 : 뿌리가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쓴맛이 강하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내몽고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월년 2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쓴풀(S. japonica Makino): 관상가치가 있다. ▶네귀쓴풀 ▶큰잎쓴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our. Fac. Sci. Hokk. Univ. ser. 5, 7 (4): 167 (196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6. No Image

    쓴풀

    학명 : Swertia japonica (Schult.) Griseb.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쓴풀속(Swertia)
    이명 : 당약 참쓴풀
    잎 : 잎은 대생하고 선형 또는 선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1~3.5cm 나비 1~3mm이며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는 약간 뒤로 말리며 엽병은 없다.
    꽃 : 꽃은 9~10월에 백색으로 피고 자맥이 있으며 줄기와 가지 끝부분의 잎짬에 원추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은 5열하고 열편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5~11mm이며 화관은 5개로 깊이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11~15mm이며 기부에 털이 있는 2개의 선체가 있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화관보다 약간 길며 피침형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약간 네모지며 자줏빛이 돈다.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경남(동래 양산 밀양 울산) 경북(대구 청도)에 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1~2년초

    특징 : 쓴맛이 많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en. sp. Gent. 321 (1839)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7. No Image

    별꽃풀

    학명 : Swertia varatroides Maxim. ex Kom.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쓴풀속(Swertia)
    이명 : 별꽃쓴풀 별풀 )큰별쓴풀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엽병이 길고 주걱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경생엽은 대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엽병이 없어지고 난상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으로 되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백색이고 취산화서는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 달리고며 포는 잎같고 꽃받침잎은 5개로서 피침형이며 막질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길이 7mm이고 건조표본의 것은 끝이 다소 말린다. 화관은 길이 12m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 끝이 뾰족하고 맥이 뚜렷하며 윗가장자리 근처에 자흑색 반점이 있고 수술은 5개로서 꽃받침보다 다소 짧으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며 꽃받침에 싸여 있고 2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가 40cm에 달하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짐

    분포 : 평남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이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25 : 276 (190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개쓴풀

    학명 : Swertia diluta var. tosaensis (Makino) H. Hara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쓴풀속(Swertia)
    이명 : 나도쓴풀 좀쓴풀
    잎 : 잎은 대생 밑부분의 것은 긴 타원상 도피침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2~5cm 나비 3-10mm로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9월경에 피며 지름 15mm정도로서 흰색 바탕에 연한 자주색 줄이 있고 줄기 윗부분이나 가지의 엽액에 한송이에서 여러송이씩 달려 전체가 좁은 원추형으로 된다. 꽃받침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밑부분이 다소 좁고 화관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거나 약간 짧으며 화관열편은 길이 8-12mm이고 선체(腺體)는 열편 밑부분에 2개씩 있으며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화관보다 다소 길고 좁은 난형이며 종자는 다소 둥글고 거의 평활하다.
    줄기 : 높이 5-35cm이고 다소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고 다소 네모가 지며 줄기는 엷은 노란색이고 곧게 선다.
    뿌리 : 뿌리에 쓴맛이 없음
    분포 : 제주도 충청 북도 예산 충청 북도 장호원 황해도 서흥
    형태 : 이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our. Fac. Sci. Hokkaido. Imp. Univ. Ser.5, Bot. 7 (4) : 165 (196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