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산닥나무

    학명 : Wikstroemia trichotoma (Thunb.) Makino
    과명 :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속명 : 산닥나무속(Wikstroemia)
    이명 : 강화산닥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길이 1.5~6.0m 나비 1~3cm로서 막질이고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원저 또는 예저이며 톱니가 없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황록색이고 뒷면은 회록색이며 엽병은 길이 2mm정도이다.
    꽃 : 총상화서는 길이 2-15mm로서 황색 꽃이 7~15개 어린 가지 끝에서 핀다.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며 황색이고 꽃받침통은 길이 7-8mm이며 꽃받침잎은 4개로 털이 없다.8개의 수술이 2줄로 배열되고 꽃밥은 황색이며 암술은 1개이고 자방은 도란형으로서 대가 있다.
    열매 : 장과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5-6mm로서 털이 없으며 짧은 대가 있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몇 개로 갈라져 자라고 잔가지가 많은데 수피는 황갈색이며 소지는 털이 없고 가늘며 적갈색이다.
    뿌리 : 굵은 편으로 황색이고 섬유질이 많다.
    분포 : 강화도나 진도 진해 남해도에서 자란다.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강화산닥나무(W. insularis Chung): 화수가 길다.
    특징 : 고급 제지원료로 사용하던 식물이다. ▶남해의 산닥나무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152호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면적:9 917㎡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2. No Image

    거문도닥나무

    학명 : Wikstroemia ganpi (Siebold & Zucc.) Maxim.
    과명 :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속명 : 산닥나무속(Wikstroemia)

    잎 : 잎은 호생하고 난상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양끝 모두 예리하거나 또는 뭉툭한 형이다. 예거치가 없고 길이 2~4.5cm 폭 1~2cm이며 뒷면 연변와 맥위에 드물게 털이 있다. 표면은 진녹색이고 뒷면은 연녹색이며 엽병은 길이 2mm정도로서 털이 밀생한다.
    꽃 : 갈라진 가지 끝과 위쪽의 엽액에서 짧은 총상화서를 만들고 통상의 꽃이 여러 개 달리며 화경에 털이 많다. 꽃은 양성화로 담홍색이고 악통은 길이 7~12mm 폭 1~1.5mm로 끝이 4개로 갈라지며 악열편은 좁은 난형으로 길이 3~4mm 폭 1.5~2.5mm이다. 수술은 길이 각각 1~1.3mm로 8개인데 4개씩 상하의 2열을 이루고 상부의 수술은 통부의 입구에 하부의 수술은 통부의 중앙 윗쪽에 붙는다. 암술은 길이 2.5~4mm로 악통의
    열매 : 열매는 수과로써 떨어지지 않는 악통속에 생기며 길이 약 4mm정도의 난상방추형이다. 종자는 약 4mm로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으로 돌출된 능선을 갖는다.
    줄기 : 가지는 원줄기 아래쪽에서 분지해 총생하고 위쪽에서 원추상의 많은 소지를 내며 연녹색에서 적갈색으로 변한다. 털이 있다가 없어지며 새가지의 윗부분은 매년 대부분 말라 죽는다.

    분포 : 한반도(전라남도 거문도 하백도 고흥) 일본 대만 오스트레일리아
    형태 : 낙엽소관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sbourg 31: 99 (1886)
    참고문헌 : 1) 한국 야생란의 종류와 지리적 분포에 관한 연구 (이종석, 198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