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장군풀
학명 : Rheum coreanum Nakai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대황속(Rheum)
이명 : 왕대황 토대황
잎 : 근생엽은 장상으로 3개로 갈라지며 각 열편은 뾰족하게 다시 갈라지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과 가장자리에 복모가 있다. 엽병은 지름 2-2.5cm로서 털이 없고 탁엽은 넓은 난형이며 길이8cm로서 가장자리가 흑갈색이다. 2개의 경생엽은 엽병과 더불어 길이 60cm 폭 40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에서 3개의 큰맥이 발달한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황백색이며 복총상화서가 모여 원줄기 끝에서 큰 원추화서를 형성하고 화서축은 붉은 빛이 돌며 털이 없으나 가지에는 잔털이 있다. 소화경은 중앙 이하에 환절이 있고 꽃받침잎은 6개가 2줄로 배열되며 안쪽 것이 보다 크고 길이 2mm정도이며 수술은 10개로서 털이 없고 꽃밥은 흑홍색이다. 자방은 털이 없으며 녹색이고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수과는 꽃받침(숙존악)에 싸여 있다.
줄기 : 속이 빈 원줄기는 높이 2m 밑부분의 지름 5cm정도로서 종선이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을 왕대황(王大黃)이라 하고 뿌리는 매우 비대해지고 황색이며 갈라져서 옆으로 퍼지고 윗부분이 흑갈색 인편으로 싸여있다.
분포 : 함남(차일봉 구태산) 함북(백두산 관모봉)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대황(R. undulatum): 뿌리는 황색 배추 꼬랑이 모양이다. 잎은 넓은 심장형 긴 잎자루 잎맥은 뒷면에 돌출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이다.
특징 : 세계에 수 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대황
학명 : Rheum rhabarbarum L.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대황속(Rheum)
이명 : 당대황
잎 : 근생엽은 자줏빛이 도는 긴 엽병이 있으며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절저 또는 심장저이고 가장자리가 파상이며 양쪽 가장자리가 안으로 약간 말린다.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작고 엽병이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반 정도 감싸지만 깊은 심장저로서 5-7맥이 있다. 앞뒤 양면에 털이 있으며 어긋나기로 붙는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복총상화서는 가지와 원줄기 끝에서 원추화서를 형성하며 화경이 있는 황백색 꽃이 화서에서 윤생한다. 화피열편은 6개로 2줄로 배열되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9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꽃이 지면 3편의 꽃받침이 남아서 세모진 달걀꼴의 수과를 맺는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속이 비어 있다.
뿌리 : 뿌리는 굵고 겉이 누른 색이며 속은 황갈색의 무늬가 있고 독특한 향취가 많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재배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장군풀(R. coreanum): 뿌리는 비대하고 황색 윗부분이 흑갈색 비늘조각에 싸인다. 근생엽은 손바닥 모양 3갈래 뒷면과 가장자리에 누운 털이 있다.
특징 : 세계에 수 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1 : 372 (175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