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측백나무
학명 : Thuja orientalis L.
과명 : 측백나무과(Cupressaceae)
속명 : 눈측백속(Thuja)
잎 : 잎은 비늘모양이며 뾰족하고 중앙부의 것은 도란형 옆의 것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백색 점이 약간 있다. 잎의 폭은 2~2.5mm로 뒷면에는 작은 줄이 있다.
꽃 : 자웅동주로 수꽃은 전년지 끝에 1개 달리며 길이 2-2.5mm로서 10개의 인편으로 구성되고 각 2-4개의 꽃밥이 있으며 화경이 짧다. 암꽃은 구형이고 지름 2mm로서 연한 자갈색이며 8개의 인편으로 구성되고 각 꽃에 6개의 배아가 있다.
열매 : 구과는 길이 15-20mm로서 난형이며 8개의 실편이 교호로 대생하고 첫째 1쌍에는 종자가 없으며 둘째 것이 가장 크고 종자가 들어 있으며 구상(鉤狀)의 돌기가 있다. 종자는 한 실편에 2-3개 한 열매에 2-6(보통 6)개 들어 있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첨두로서 길이 5mm이고 흑갈색으로 9~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는 상록교목이지만 흔히 관목상이다. 수관은 불규칙하게 퍼지고 수피는 회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지고 큰 가지는 적갈색이며 소지는 녹색이고 가늘며 납작하고 수직방향으로 발달한다. 가지는 비늘과 같은 인엽으로 4열생한다.
뿌리 : 직근과 측근이 있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충북 단양과 경북 대구의 석회암지대의 표고 200-600m에서 회양목과 같이 자생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이지만 흔히 관목상이다. 수형은 원추형이다.
유사종 : ▶천지백(Thuja orientalis L. for. sieboldii Rehder):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 와 빗자루처럼 자란다. ▶누운측백(Thuja koraiensis Nak.): 함경남도 및 금강산등 높은 산의 산정 부근에서 자라며 교목 또는 관목으로 잎의 뒷면이 흰가루로 덮힌 것 같고 종자에 날개가 있으며 잎의 향기가 강하다. 찝빵나무라고도 한다. ▶둥근측백(Thuja orientalis cv.compacts): 주간이 없고 밑둥치 부근
특징 : ▶천연기념물 ①제1호 - ⓐ1962년 12월 3일 지정 ⓑ대구직할시 동구 도동 산 180 ⓒ지정사유 : 학술연구자원 ⓓ100m를 넘는 절벽에 서 있는 1 000여 그루의 군락으로 높이 5-7m에 이른다. ②제62호 - ⓐ소재지: 충북 단양 영천리 산38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면적:54 347㎡. 이 숲은 단양에서 제천에 이르는 국도변에 있으며 100m쯤 되는 고지에서 자란다. 나무는 그다지 크지 않고 높이가 1~2m정도이다. 이 지대는 곳곳에 측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천지백
학명 : Thuja orientalis f. sieboldii Rehder
과명 : 측백나무과(Cupressaceae)
속명 : 눈측백속(Thuja)
잎 : 잎은 비늘모양으로 뾰족하며 도란형 또는 난형으로서 백색의 점이 약간 있다.
꽃 : 암수한그루로서 4월에 꽃이 피는데 지난해의 가지 끝에서 단 1개의 수꽃이 길이 2.0-2.5㎜로 피고 연한 자갈색의 암꽃은 지름 2㎜로서 8개의 실편(實片)으로 이루어져 있다.
열매 : 열매는 길이 1.5-2.0㎝인 계란형의 구과로 9월에 익는다.
줄기 :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와 빗자루처럼 자란다.
분포 : 충북 단양과 경북 대구의 석회암지대의 표고 200-600m에서 자생하며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특징 : 석회암지대의 지표식생으로 맹아력이 강하며 생장속도가 빠르다. 측백나무에 비해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와서 빗자루처럼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선측백나무
학명 : Thuja orientalis var. stricta (Spach) Endl.
과명 : 측백나무과(Cupressaceae)
속명 : 눈측백속(Thuja)
이명 : 선측백
잎 : 가운데 잎은 도란형 또는 마름모꼴이며 가장자리의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 흰색 점이 약간 있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이며 수꽃송이는 전년도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길이2-2.5㎜ 10개의 비늘잎으로 구성 비늘잎 안에 2-4개의 꽃밥이 들어있다. 암꽃송이는 둥글며 2㎜ 연한 자갈색 8개의 비늘잎으로 구성되고 6개의 배주가 있다.
열매 : 구과의 길이는 15-20㎜ 8개의 비늘잎이 교대로 마주나고 씨는 비늘잎 안에 2-3개 들어있고 흑갈색이다.
줄기 : 분지(分枝)가 측백나무에 비해 적다.
분포 : 평안 북도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비늘잎 상록수
유사종 : ▶측백나무(T. oreientails L.): 가운데 잎은 도란형 또는 마름모꼴이며 가장자리의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 흰색 점이 약간 있다. ▶눈측백(T. koraiensis Nakai): 잎은 끝이 둔하고 가운데 잎은 마름모꼴 가장자리의 잎은 타원상 삼각형 뒷면에 흰색의 기공부가 있다.
특징 : 측백나무에 비해 줄기는 분지(分枝)가 적으며 수형은 가늘고 길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서양측백나무
학명 : Thuja occidentalis L.
과명 : 측백나무과(Cupressaceae)
속명 : 눈측백속(Thuja)
이명 : 서양누운측백나무
잎 : 잎은 난형으로 갑자기 뾰족해지고 경생엽은 길이 3mm이며 선점이 있으나 가지의 잎은 선점이 없는 것도 있고 표면은 연녹색이며 뒷면은 황록색으로 향이 강하다. ▶인편엽의 중앙부에서 기부쪽으로 비교적 뚜렷한 수지 주머니가 돌출하여 있고 이속에 휘발성의 정유가 있어 향기가 강하다.
꽃 : 암수한그루로서 4-5월에 꽃이 피는데 암꽃은 난원형이고 수꽃은 구형이다.
열매 : 구과는 바로 서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8-12mm로서 황갈색이며 실편은 8-10개로 구성되고 끝에 삼각상의 돌기가 있다. 둘째 및 셋째 실편에 종자가 들어 있으며 종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3mm이고 갈색이며 양쪽에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20m 지름 30-100cm이고 가지가 짧으며 수평으로 발달하여 좁은 원추형의 수관을 형성한다.
분포 : ▶대서양 연안에서 미국 북부 아팔라치안 산맥과 캐나다의 남부에 걸쳐 분포한다. ▶중부 이남에 널리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유사종 : ▶측백나무(T. oreientails L.): 가운데 잎은 도란형 또는 마름모꼴이며 가장자리의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 흰색 점이 약간 있다. ▶선측백나무(T. orientalis (L.) Endlicher var. stricta Endlicher): 측백나무에 비해 줄기는 분지가 적으며 수형은 가늘고 길다. ▶눈측백(T. koraiensis Nakai): 잎은 끝이 둔하고 가운데 잎은 마름모꼴 가장자리의 잎은 타원상 삼각형 뒷면에
특징 : 1930년경에 우리 나라에 도입되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보유편 (정태현, 1970)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눈측백
학명 : Thuja koraiensis Nakai
과명 : 측백나무과(Cupressaceae)
속명 : 눈측백속(Thuja)
이명 : 누운측백 누운측백나무 찝빵나무
잎 : 잎은 둔두로서 중앙부의 것은 능형 옆의 것은 타원상 삼각형이고 길이 1.8~2.4mm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황록색으로서 2개의 뚜렷한 백색 줄이 있으며 향기가 강하다.
꽃 : 꽃은 일가화로 5월에 피며 수꽃은 난형이고 황색이며 암꽃은 난형이고 길이 3mm로서 8개의 인편으로 구성된다.
열매 : 구과는 길이 9mm 지름 6mm로 타원형이며 9월경에 짙은 갈색으로 익어 벌어진다. 실편은 긴 도란형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서 큰 것은 길이 7-9mm 나비 4.5-5mm이다. 종자는 한 열매에 5-10개 들어 있으며 넓적한 타원형이고 길이 6mm내외로서 양쪽에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10-20m 지름 20-30cm의 소교목이지만 흔히 관목상으로 자라며 수피는 회적색으로 얕게 세로로 갈라진다. 어린가지는 붉은 갈색에 가늘고 납작하다. 가지는 모두 선록색이다.
분포 : 북위 35˚이북의 고산지대 태백산 오대산 설악산 등 높은 산의 표고 700m 이상 되는 지역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 소교목 수형:원추형.
유사종 : ▶측백나무(T. oreientails L.) ▶서양측백나무(T. occidentails L.)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의 측백은 천연기념물 255호에 지정되어 있다. ⓐ면적:1주 ⓑ지정사유:노거수 ⓒ수령:300년 ⓓ나무높이:11m ▶자생지에 따라서 성목의 최대수고가 차이를 나타내어 성목의 수고가 2m에 이르고 가지가 밀생하며 직립형 수형을 나타내는 종류를 비롯하여 지면에 밀착하여 50~70cm 정도로 낮게 자라는 것들도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3 : 196 (191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