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큰묵새
학명 : Festuca megalura Nutt.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잎 : 잎은 길이 5~15cm 나비 1.2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7~20cm로서 가지가 화경(花莖)과 평행하고 1~2개씩 달리며 잔이삭은 길이 7~10mm로서 3~5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길이가 다르고 첫째 것은 길이 0.5~1mm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3~5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선상 피침형이고 뒷면이 거칠며 길이 7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까락은 길이 15mm이다. 내영은 호영보다 짧으며 길이 5mm이고 자방은 선상 피침형이며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30-60cm이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1~2년초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특징 : ▶들묵새와 비슷하지만 호영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첫째 포영의 길이가 1.5-2mm인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Acad. Nat. Sci. Philadelphia, ser. 2, 1: 188. (1848)
1) Illustrated grasses of Japan (Osada, 1989)
-
No Image
큰김의털
학명 : Festuca arundinacea Schreb.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잎 : 잎은 길이 10-60㎝ 폭 3-10㎜로 털이 없다. 엽초는 기부(基部)까지 갈라지며 둥글며 피침형(披針形)의 엽이(葉耳)가 줄기를 감으며 성긴 털이 줄지어 난다. 엽설(葉舌)은 높이 1-2㎜이다.
꽃 : 6-8월에 꽃이 피며 원추화서(圓錐花序)는 길이 20-50㎝ 곧게 서거나 조금 기울어졌다. 한 마디에 2개의 가지가 있으며 하나는 길고 하나는 짧다. 소수(小穗)는 길이 1-1.5㎝ 5-9개의 소화(小花)로 이루어지며 녹색 또는 보라색이다. 제1포영은 길이 3.5-6㎜로 1맥 제2포영은 5-7㎜로 3맥이 있다. 호영(護潁)은 5맥이며 중앙맥 끝에 길이 1-3㎜의 까락(芒)이 있거나 드물게는 없다. 내영은 호영과 같은 길이이며 끝쪽 능선(稜線)
줄기 : 줄기는 뭉쳐나며 높이 40-180㎝로 곧게 자란다.
분포 : 서울 한강 고수부지를 비롯하여 경기도의 대부도에 이르기까지 중부 각지에 널리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근년에 사방용으로 들어와 야생화된 것으로 북아메리카 일본에도 귀화되어 있다. 식물 전체가 몹시 거칠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ic. fl. lips. 57 (1771)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보유편 (정태현, 1970)
-
No Image
참김의털
학명 : Festuca ovina var. coreana (St.-Yves) St.-Yves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고려김의털
잎 : 잎은 길이 5-20㎝로서 녹색 또는 백녹색이며 말려서 지름 0.4-0.6㎜로 되고 3-7맥이 있으며 홈이 거의 없고 엽설은 길이 0.5㎜이하이다. 늙은 잎에 홈이 생기지 않는다.
꽃 : 화경 윗부분에 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5-8cm로서 곧추서고 가지가 1-2개씩 달리며 수축(穗軸)에 털이 있고 소수가 5-10개이며 길이 5-7mm이고 녹색 또는 분록색이며 때로 자줏빛이 돌고 3-6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둘째 포영은 약간 길며 3맥이 있고 호영은 길이 3.5-4.5㎜이며 길이 0.5-2㎜의 까락으로 되는 것도 있다. 꽃밥은 길이 1.5-2.5㎜이고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30-50㎝이다.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남부의 저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산묵새(F. japonica Makino): 높이 35-70㎝ 줄기는 가냘프고 밀생한다. 엽설은 막질로 길이 0.8㎜이다. ▶개묵새(F. takedana Ohwi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v. Bretonne Bot. Pure Appl. 2: 27 (192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지리산김의털
학명 : Festuca ovina var. chiisanensis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지이산김의털
잎 : 잎은 길이 5-20㎝로서 녹색 또는 백녹색이며 말려서 지름 0.4-0.6㎜로 되고 3-7맥이 있으며 홈이 거의 없고 엽설은 길이 0.5㎜이하이다. 잎에 홈이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5-8cm로서 곧추서고 가지가 1-2개씩 달리며 수축(穗軸)에 털이 있고 소수가 5-10개이며 길이 5-7mm이고 녹색 또는 분록색이며 때로 자줏빛이 돌고 3-6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둘째 포영은 약간 길며 3맥이 있고 호영은 길이 3.5-4.5㎜이며 길이 0.5-2㎜의 까락으로 되는 것도 있다. 꽃밥은 길이 1.5-2.5㎜이고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30-50㎝이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0: 111 (194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왕김의털아재비
학명 : Festuca subulata var. japonica Hack.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김의털아재비 묵새
잎 : 잎은 성글게 호생하며 연약하고 편평하며 밝은 녹색이고 길이 20-30cm 나비 5-12mm이며 표면이 거칠고 때로는 털이 있으며 엽설은 길이 2-3mm로서 절두이고 갈색이 돈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20-30cm로서 끝이 처지고 연한 녹색이지만 때로는 자줏빛이 돈다. 가지는 2-3개씩 달리며 소수(小穗)는 길이 5-7mm로서 4-5개의 소화로 된다. 포영은 피침형이고 첫째 것은 길이 3mm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4.5-5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피침형이고 5-6mm이며 끝에서 길이 4-7mm의 까락이 돋는다. 꽃밥은 길이 1mm 정도이다.
열매 : 영과 끝에 잔털이 있다.
줄기 : 높이 60-120cm로서 외대로 자라며 곧게 서고 마디사이는 길다.
뿌리 : 뿌리줄기는 짧고 기며 새싹이 생긴다.
분포 :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Herb. Boissier 7:713 (189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왕김의털
학명 : Festuca rubra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쇠털골
잎 : 잎은 길이 10-20cm 지름 1-2mm로서 안쪽으로 접어들며 밑부분의 엽초는 흔히 붉은빛이 돌고 엽설은 길이 0.2mm로서 절두형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5-12cm이고 가지는 적으며 위를 향하고 소수(小穗)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5-10mm로서 3-7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넓은 피침형이고 첫째 것은 길이 2.8mm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4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5.5mm로서 5맥이 있고 끝에서 까락이 돋으며 까락은 길이 2mm로서 잔돌기가 있고 내영은 길이 5mm로서 능선에 잔돌기가 있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2.5mm이고
줄기 : 높이 30-60cm이고 무더기로 나며 밑부분이 휘면서 자라고 보통 반반하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가늘며 총생한다.
분포 : ▶중국 소련 일본을 비롯한 북반구의 온대와 아한대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에 분포하고 백두산 지역과 울릉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수염김의털
학명 : Festuca ovina var. chosenica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잎 : 잎몸은 폭 0.5㎜로 연모가 있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4㎝이고 작은이삭은 낱꽃이 소수이며 길이 5.5㎜ 폭 3㎜이고 화축의 한쪽에 달린다. 소축은 길고 길이 3.5㎜로 꺼칠꺼칠하고 호영은 서로 다르다. 제1호영은 길이 1.7㎜로 1맥이고 제2호영은 길이 3.2㎜로 3맥이며 끝이 뾰족하다. 외영은 길이 5㎜로 5맥이고 끝에 까락이 나오고 까락의 길이 2.5㎜이다. 내영은 길이가 4.4㎜로 용골이 2개이고 꺼칠꺼칠하다. 수술은 3개 꽃밥은 길이 2.5㎜이고 인피는 2개로 막질으로 쐐기 모
줄기 : 줄기는 가냘프고 곧게 선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의 고산지대에 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0: 111 (1941)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No Image
서울김의털
학명 : Festuca ovina var. duriuscula (L.) W.D.J. Koch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애기김의털 이삭김의털
잎 : 잎은 길이 5-20㎝로서 녹색 또는 백녹색이며 말려서 지름 0.7-1㎜로 되고 3-7맥이 있으며 홈이 거의 없고 엽설은 길이 0.5㎜이하이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5-8cm로서 곧추서고 가지가 1-2개씩 달리며 수축(穗軸)에 털이 있고 소수가 5-10개이며 길이 5-7mm이고 녹색 또는 분록색이며 때로 자줏빛이 돌고 3-6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둘째 포영은 약간 길며 3맥이 있고 호영은 길이 3.5-4.5㎜이며 길이 0.5-2㎜의 까락으로 되는 것도 있다. 꽃밥은 길이 1.5-2.5㎜이고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30-50㎝이며 가냘프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서울과 거문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ino): 높이 35-70㎝ 줄기는 가냘프고 밀생한다. 엽설은 막질로 길이 0.8㎜이다. ▶개묵새(F. takedana Ohwi): 높이 30-60㎝ 줄기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 Fl. Germ. Helv. 812 (W.D.J. Koch, 183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산묵새
학명 : Festuca japonica Makino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산김의털아재비
잎 : 잎은 길이 15~20cm 나비 2mm 정도이고 엽설은 길이 0.8mm로서 막질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7~15cm로서 가지가 1~2개씩 달리고 매우 성글며 잔이삭은 길이 5~5.5mm로서 3~4개의 잔꽃으로 이루어지고 까락이 없다. 첫째 포영은 길이 1mm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포영은 길이 2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고 길이 4mm로서 5맥이 있으며 내영은 호영보다 짧고 2개의 능선이 있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1.5mm이고 자방은 끝에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30-60cm이며 가냘프고 밀생한다.
분포 : 원산 근처의 산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개묵새(F. takedana Ohw
특징 : ▶김의털아재비와 비슷하지만 까락이 없고 첫째 소화의 길이가 3-4mm인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0 : 83 (190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들묵새
학명 : Festuca myuros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구주김의털꼬리새
잎 : 잎은 길이 5~15cm이며 안으로 말려서 지름이 0.5~1mm로 되고 분록색이며 엽설은 막질이고 절두로서 길이 1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10~20cm 나비 1~2cm로서 가지가 1개씩 달리며 밑부분의 가지는 원줄기와 거의 평행하고 윗부분의 가지는 짧다. 잔이삭은 매우 짧은 대가 있으며 길이 6~8mm로서 3~5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1~2mm 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포영은 선상 피침형이고 3맥이 있으며 안으로 접히고 길이 5~6mm이다. 호영은 피침형이며 길이 5-6mm로서 능선이 있으며 능선에
줄기 : 높이 30-50cm이며 밑부분이 굽고 총생한다.
분포 : ▶지리적으로 북아메리카와 아시아 등 온대와 아열대 지방에 분포 ▶제주도 및 중부 이남의 바닷가에 분포한다.
형태 : 1~2년생 초본.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1: 74-75. (1753)
1) Illustrated grasses of Japan (Osada, 1989)
-
No Image
두메김의털
학명 : Festuca ovina var. koreanoalpina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산김의털 큰산김의털
잎 : 잎은 길이 5-20㎝로서 녹색 또는 백녹색이며 말려서 지름 0.4-0.6㎜로 되고 3-7맥이 있으며 홈이 거의 없고 엽설은 길이 0.5㎜이하이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5-8cm로서 곧추서고 가지가 1-2개씩 달리며 수축(穗軸)에 털이 있고 소수가 5-10개이며 길이 5-7mm이고 녹색 또는 분록색이며 때로 자줏빛이 돌고 3-6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둘째 포영은 약간 길며 3맥이 있고 호영은 길이 3.5-4.5㎜이며 길이 0.5-2㎜의 까락으로 되는 것도 있다. 꽃밥은 길이 1.5-2.5㎜이고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30-50㎝이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관모봉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0:111 (194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넓은김의털
학명 : Festuca pratensis Huds.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잎 : 잎은 길이 20-45㎝ 폭 3-10㎜로서 털이 없고 엽초와 만나는 엽신 하부는 좁게 옆으로 퍼져서 가는 엽이를 이루며 엽이에는 털이 없다. 원통형의 아래까지 갈라지고 엽이의 반대쪽에 1㎜정도의 엽설이 생긴다.
꽃 : 화서는 길이 10-30㎝로 직립하거나 끝이 약간 구부러지고 각 절에서 2 또는 3개의 가지가 갈라지는데 짧은 가지에는 1-3개 긴 가지에는 3-10개 정도의 소수가 달린다. 소수에는 5-14개의 소화가 있는데 소화는 길이 10-20㎜로서 한 쌍의 포영은 길이가 서로 다르고 제1포영에는 1맥이 제 2포영에는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6-7㎜로서 5맥이 있고 까락은 거의 없다. 내영은 호영과 비슷한 길이로서 상반부에 두 줄의 짧은 돌기가 있다. 약은
줄기 : 줄기는 직립하여 30-100㎝에 이르고 땅속줄기는 발달하지 않는다. 절간이 길어서 전체 2-4절로 되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털이 없다.
분포 :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도에서 발견되었다. ▶아시아 북미에 귀화되어있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김의털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8(4)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angl. 37 (1762)
참고문헌 : 1) 넓은김의털 : 우리 나라 신귀화식물 (임형탁, 홍행화, 홍성각, 1998)
-
No Image
김의털아재비
학명 : Festuca parvigluma Steud.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쇠묵새
잎 : 줄기 기부에 갈색 막질의 잎이 있다. 잎은 길이 10-25cm 나비 2-3mm 정도로서 약간 말려들고 털이 없이 부드러우며 마르면 실처럼 가늘다. 엽설은 길이 0.5~1.5mm이며 끝이 편평하고 막질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길이 8~15cm의 원추화서는 마디에서 1개씩 갈라지며 끝이 처지고 한쪽으로 기운다. 소수(小穗)는 연한 녹색이며 길이 7-10mm 로서 3~5개의 소화(小花)가 들어 있다. 소화는 길이 약 6mm이며 짙은 녹색이고 광택이 있다. 포영은 난상 피침형이고 첫째 것은 길이 1-1.5mm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2-3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5-6mm이고 5맥이 있으며 잔점이 있고 끝에서 길이 5-9mm의 까락이 돋
줄기 : 높이 30-60cm이고 여러 개가 뭉쳐 나고 짙은 녹색이다.
분포 :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 Pl. Glumac. 1 : 305 (Steud., 185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김의털
학명 : Festuca ovina L. var. ovina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산거울
잎 : 잎은 길이 5-20cm로서 녹색 또는 백록색이며 말려서 지름 0.4-0.6mm로 되고 3-7맥이 있으며 홈이 거의 없고 엽설은 길이 0.5mm이하이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5-8cm로서 곧추서고 가지가 1-2개씩 달리며 수축(穗軸)에 털이 있고 소수(小穗)는 길이 5-7mm로서 녹색 또는 분록색이며 때로 자줏빛이 돌고 3-6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둘째 포영은 약간 길며 3맥이 이고 호영은 길이 3.5-4.5mm이며 길이 0.5-2mm의 까락으로 되는 것도 있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1.5-2.5mm이고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총생한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고산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두메김의털(var. koreanoalpina OHwi): 소수가 5-10개이며 관모봉에서 자란다. ▶서울김의털(var. curiuscuka Koch): 잎의 지름이 0.7-1mm이며 서울과 거문도에서 자란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화경(花莖) 윗부분에 털이 있고 늙은 잎에 흠이 생기지 않는다. ▶지리산김의털(var. chiisanensis Ohwi): 화경(花莖) 윗부분에 털이 있고 늙은 잎에 홈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개묵새
학명 : Festuca takedana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큰산묵새
잎 : 근생엽은 길게 자라지만 화경(花莖)에 달리는 잎은 길이 5~10cm 나비 3~4mm로서 밋밋하고 약간 안으로 말리며 엽설은 길이 0.2mm이고 절두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화서는 길이 4~7cm로서 끝이 처지고 좁은 난형 또는 난형이다. 가지는 2개씩 달리며 밋밋하고 털이 없으며 잔이삭은 윤채가 없고 갈색이 돌거나 갈록색이며 길이 7~8mm로서 3~4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4mm 정도로서 1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5mm 정도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6-8mm이며 3-5맥이 있고 예두로서 잔점이 있으며 뒷면이 거칠고 내영은 호영보다 짧거나 길며 거칠다. 수술은 3개이고
줄기 : 높이 15-30cm이고 밋밋하여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짧게 뻗는다.
분포 : 관모봉의 산정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4:33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