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4월에 피고 높이 30-40cm의 화경(花莖)이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리며 소포는 화경 윗부분에 달리고 3-4개로서 다시 잘게 갈라지며 겉에 화경과 더불어 긴 백색털이 밀생한다. 꽃받침 열편은 6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5mm 폭 12mm로서 겉에 명주실같은 백색 털이 밀생하나 안쪽에는 털이 없으며 적자색이다.
잎은 엽병이 길고 5장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으로서 깊게 갈라지며 전체에 긴 백색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지만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다. 밑부분의 소엽은 길이 30-40mm로서 2-3개로 갈라지며 정열편은 폭 6-8mm로서 끝이 둔하다.
수과는 긴 난형이고 길이 5mm정도로서 겉에 백색털이 있으며 암술대는 길이 40mm정도로서 우상(羽狀)의 퍼진 털이 밀생한다.
뿌리에서 잎이 바로 나오므로 줄기가 따로 구분하기 어려움.
어릴때는 뿌리가 가늘지만 4-5년생쯤 되면 뿌리가 길고 굵어진다. 뿌리는 땅속 깊이 들어가고 흑갈색이며 윗부분에서 많은 잎이 나온다.
다년생 초본
"▶흰털이 밀생하는 꽃은 밑을 향햐여 꼬부라져 피고 꽃이 지고난 후의 종자는 노파의 백발을 연상하도록 하므로 """"할미꽃""""이라 불리운다. 우리 나라 고유의 야생화이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분홍할미꽃(P. dahurica Spreng.) : 북한지역이 자생지이며 꽃을 비롯하여 식물체 전체가 왜성이다. 세잎할미꽃은 백두산 주변 및 만주에 생육하며 잎이 혁질이고 화색이 보라색이며 꽃도 대형이다. 한방에서 생약으로 이용하는 ""백 두옹""은 원래 세잎할미꽃의 뿌리를 일컫는다. ▶가는잎할미꽃(P. cernua Speng) : 제주도 산록 양지바른 곳에 자생하는 잎이 가늘고 끝이 뾰족하다. 5월에 분홍색으로 개화한다. ▶산할미꽃(P. nivalis) : 함북에서 서식하며 7월 암적자색으로 개화한다."
꽃은 종 모양 길이 2.5~3cm 화피는 6장 긴 난형 남자색 또는 남보라색 겉면에 긴 털이 밀생하고 길이 2~3cm 너비 7~8mm 수술은 다수 꽃밥은 노란색이다. 암술은 다수 씨방에 털이 있다. 총포는 길이 2~3cm 손바닥 모양으로 깊게 6개로 갈라졌으며 갈래는 줄 모양 바깥면에 흰 털이 밀생하고 꽃줄기 끝에 윤생한다.
잎은 밑동에서 총생하고 엽병의 길이는 5~7cm 3장의 소엽으로 된 겹잎이며 길이 2~4cm 너비 3~5cm이다. 소엽은 넓은 난형 3갈래 갈라지고 끝부분에 불규칙한 톱니 또는 겹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흰색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긴 난형 모여서 두상으로 되고 길이 4mm 정도이다. 암술대는 깃 모양으로 길이 35mm 정도 이고 깃 모양의 털은 약간 퍼지고 털의 길이는 3mm정도 이다.
꽃은 6-7월에 피며 길이 20cm정도의 화경(花莖)이 나와 끝에 밑을 향한 꽃이 1개씩 달리고 총포는 잘게 갈라지며 겉에 백색털이 있고 밑부분에 자줏빛이 돈다. 꽃받침잎은 6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4mm 폭 13m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자주색이다.
할미꽃보다 작고 잎에 털이 적으며 근생으로 3-5개의 잎이 나오며 엽병은 길이 25-90mm로서 백색털이 있고 잎은 3-5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다. 밑부분의 소엽은 길이 16mm정도로서 2-3갈래로 갈라지며 정열편은 폭 3-5mm로서 뒷면 맥위에 백색털이 있고 표면에는 털이 거의 없다.
수과는 긴 난형이고 암술대는 길며 수과와 더불어 백색털이 밀생하고 털은 길이 3mm정도이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종모양으로 밑쪽을 향한다. 꽃줄기는 길이 10∼30cm이고 그 윗부분의 총포는 대가 없으며 3∼4갈래로 갈라진 잎조각은 다시 줄 모양으로 갈라지고 겉에 털이 빽빽이 난다. 꽃받침잎은 6개로 장타원형이고 흰 털이 빽빽이 난다. 안쪽에는 털이 없으며 검은 적자색이다.
잎은 기주우상복엽이다. 소엽은 5개이고 밑부분의 소엽은 2∼5개로 갈라진다. 꼭대기에 갈라진 잎 조각의 끝은 뾰족하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는 명주실 같은 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