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경부터 가지 끝에서 꽃이 피고 꽃은 가는 화경에 모여 달리며 주줏빛이 돌고 당일 쓰러진다. 외화피는 3개이며 두껍고 녹자색이며 내화피는 3개로서 보다 넓고 자주색이다. 수술은 6개로서 수술대에 털이 많으며 털은 염주형이고 세포가 연결되어 있어 식물학에서 세포실험재료로 흔히 사용한다.
잎은 호생하고 넓은 선형이며 길이 30㎝정도로서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고 윗부분은 수채같이 홈이 파지며 뒤로 젖혀진다.
열매는 타원형의 삭과이다.
여러 대가 총생하며 높이가 50cm정도에 달하고 원줄기는 둥글며 지름 1㎝정도로서 푸른빛이 도는 녹색이다.
다년생 초본.
닭이 장풀에 비해 꽃의 색이 짙어 자주닭개비라 한다.
▶덩굴닭의장풀(Streptolirion volubile): 잎은 호생 긴 잎자루가 있고 심장형 끝은 아주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흰색이다.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꽃잎 밑의 1장은 희고 위쪽 2장은 청색이다.
국가식물표준목록
Atl. J. 150 (183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꽃은 8-9월에 줄기 선단이나 각 엽액에서 1개씩 피고 연한 홍자색이며 지름 약 13mm이고 화경은 길이 1.5-3cm로서 선상의 포가 1개 있다. 꽃받침잎은 피침형 둔두로서 길이 4mm정도이고 꽃잎은 난형이며 끝이 둥글고 길이 5mm정도로서 꽃받침잎과 더불어 3개씩이며 연한 홍색이다. 수술은 3개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헛수술은 3개로서 짧다. 암술 1개이고 수술대 기부에 긴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2~6cm 폭 4~8mm로서 밑부분이 길이 1cm정도의 엽초로 되며 엽초 전체에 털이 있다.
삭과는 타원형이고 길이 8-10mm로서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각 실에 5-6개의 종자가 들어있고 과경은 길이 1.5-3㎝로서 밑으로 굽는다.
줄기 기부는 비스듬히 땅을 기면서 뿌리가 내리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이고 연한 녹색이지만 홍자색이 돌며 줄기에 털이 돋은 1개의 줄이 있다.
줄기의 땅을 기는 부분에서는 마디 마다 수염뿌리가 돋는다.
1년생 초본이다.
열대 지방에 약 60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덩굴닭이장풀(Streptolirion volubile):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심장형 꽃은 흰색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2-3개씩 달리고 지름 5-6mm로서 백색이다. 꽃은 하루 피었다 시드는 1일화이다. 꽃받침은 1-3맥이 있으며 길이 4mm정도로서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수술대에 꼬불꼬불한 털이 있다. 꽃잎은 선형으로 뒤로 젖혀지며 수술은 6개이다.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길이 5-8cm 폭 3-5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깊은 심장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때로는 표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도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3~9cm로서 밑부분이 길이 1-2cm의 엽초로 되고 엽초는 절두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삭과는 3개의 능선이 있으며 타원형이고 부리와 더불어 길이가 8-11mm로서 털이 없다. 종자는 2-6개씩 들어 있으며 겉에 잔돌기가 있다.
털이 없고 2~3m로 자라며 물체에 감긴다.
1년생 덩굴식물.
동아시아에 3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가느다란 덩굴 초본이다.
▶자주닭개비(Tradescantia reflexa): 닭의장풀에 비해 꽃의 색이 짙다.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꽃잎 밑의 1장은 희고 위쪽 2장은 청색이다.
국가식물표준목록
Proc. Linn. Soc. Lond. 1:254 (1845)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꽃은 7-8월에 피고 엽액에서 나온 화경(花莖) 끝의 포로 싸여 하늘색 꽃이 핀다. 포는 넓은 심장형이며 안으로 접히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길이 2cm로서 겉에 털이 없거나 있다. 외화피 3개는 무색이고 막질이며 안쪽 3개 중 위쪽의 2개는 둥글고 하늘색이며 지름 6mm이지만 다른 1개는 작고 무색이다. 2개의 수술과 꽃밥이 없는 4개의 수술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마디가 굵고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난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막질의 엽초로 되며 길이 5-7cm 폭 1-2.5cm로서 털이 없거나 뒷면에 약간 있다. 엽초는 입구에 긴 털이 있고 약간 두꺼우며 질이 연하다.
삭과는 타원형이고 육질이지만 마르면 3개로 갈라지며 2-4개의 종자를 산출한다.
높이 15-5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란다. 가지가 갈라지고 상부는 비스듬히 올라가며 마디는 크다.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1년초.
▶큰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var. hortensis Makino) : 꽃은 한 장의 커다란 포에 싸여 있고 위쪽의 보라색 꽃잎은 2장이며 둥글고 가장자리에 주름이 있다. ▶흰닭의장풀(Commeline communis for. albiflora Makino) : 옛 선비들은 대나무를 닮은 이 풀을 수반의 맑은 물에 재배하며 여름을 시원하게 보냈다.
화서는 원줄기 끝에서 5-6층으로 윤생하며 길이 10-30cm로서 뒤로 젖혀진 백색 털이 있고 각 층에는 5-6개의 포엽이 있으며 가지가 수평으로 퍼진다.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단성화로서 암꽃과 수꽃에 각각 작아진 성기(性器)가 남아 있다. 꽃잎과 꽃받침잎은 각 3개이고 수술은 6개이다.
잎은 10개 내외가 밑부분으로 원줄기를 감싸면서 호생하고 엽신은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15-30㎝ 폭 2.5-7㎝이며 짙은 녹색이고 표면이 거칠며 뒷면에 때로 잔털이 있고 밑부분의 잎은 엽신이 없다.
열매는 둥글고 남자색으로 익으며 지름은 5㎜정도이고 마른 후에도 벌어지지 않는다.
높이가 30-80cm에 달하고 곧게 서며 연하다.
긴 근경은 옆으로 뻗고 흰색이며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나온다.
다년생 초본.
▶자주닭개비(Tradescantia reflexa): 잎은 넓은 선형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고 윗부분은 수채같이 움푹 패어지며 뒤로 젖혀진다. 꽃은 자주빛이 돈다. ▶덩굴닭의장풀(Streptolirion volubile):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심장형 끝은 아주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흰색이다.
국가식물표준목록
Syst. Veg., ed. 14 [J. A. Murray] : 332 (1784)
1)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Nakai, 1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