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실체는 반배착생. 갓은 반원형∼조개껍질 형인데 다수 중첩해 나서 층생이 된다. 기부는 기물에 배착하는데 상하로 길게 이어진다. 갓은 2∼4cm(굵기1∼2.5cm의 소형. 두께는 2∼3mm, 갓의 표면은 암갈색∼적갈색이고 연한색의 테 무늬와 테 모양으로 홈이 좁은 간격으로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주름이 잡혀 있다. 살은 두께 1∼2mm, 거의 흰색. 얇고 견고한 가죽질이다.
하면의 자실층은 불완전한 주름살모양이고 주름살 사이의 간격이 넓으며, 기물에 배착된 부분도 불완전한 주름살이 이어진다. 때로는 미로상을 이룬다. 주름살의 표면은 흰색인데 분상이다.
소형∼중형. 반원형∼조개껍질 형. 표면은 짧은 털 밀생, 황백∼회백색 또는 회갈색∼암갈색 등이 동심원상으로 테무늬 형성. 하면은 주름살형인 특징이 있다.
자실체는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된다. 갓은 반원형∼조개껍질 형이고 폭 2∼10cm, 두께 0.5∼1cm의 소형∼중형. 표면에는 짧은 거친 털이 밀생하고 황백∼회백색 또는 회갈∼암갈색 등 여러 가지 색깔이 동심원상으로 다수의 폭이 좁은 테 무늬를 형성한다. 살은 흰색이고 가죽질, 두께는 1∼2mm이다. 표면의 털로 덮인 아래에는 암색의 하피(下皮)가 있다.
자실층은 주름살 형이고 흔히 분지가 되거나 옆의 주름살과 연결이 된다. 주름살의 간격은 1mm 정도로 성기다. 흰색∼황백색이다가 오래되면 칙칙한 쥐색이 된다.
소형∼중형. 표면은 허연색, 담회색, 연한 황토색 또는 연한 흑색끼를 띤다. 자실층은 허연색, 후에 연한 황토색. 원형, 주름살형, 옥수수형 등. 손으로 문질러도 변색되지 않는다.
갓은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하거나, 흔적적으로 형성된다. 폭 2∼10(14)cm, 갓 표면은 허연색, 담회색, 연한 황토색, 오래된 것은 연한 흑색끼를 띠기도 한다. 다소 털이 있거나 또는 민둥하며, 사마귀 모양 점이 생기기도 한다. 동심원상으로 미세하가 홈이 파이기도 한다.
하면 자실층은 허연색, 후에 연한 황토색이 된다. 같은 버섯에 있어서도 관공이 원형, 주름살형, 옥수수형 등 여러 가지로 나타나며, 1∼2개/mm. 이 버섯은 그물도장버섯(Daedaleopsis confragosa)의 자실층과 매우 흡사해서 전문가도 혼동될 정도이지만, 손으로 문질러도 분홍갈색으로 변색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