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갓은 다갈색∼계피색 입자 피복, 중앙은 암적갈색으로 진하다. 대는 같은 색, 고리가 있다. 표면의 알갱이가 다소 크고 밀집된 모양이다. 색깔 차이가 있다.
갓은 폭 2∼5cm 정도의 소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으로 된다. 간혹 가운데가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된다. 표면은 다갈색∼계피색의 입자나 분상 물질이 피복되어 있고 중앙이 암적갈색으로 진하다. 가장자리는 후에 물결모양 굴곡되며, 어릴 때 허연색 피막의 잔편이 부착되어 있다. 살은 백색이고 대는 표면과 비슷한 색을 띤다. 식용.
주름살은 백색∼크림색. 약간 촘촘하며 대에 띠붙음∼치붙음.
대는 2∼7cm(굵기3∼6mm), 위쪽에 작고 부서지기 쉬운 고리가 있다. 표면은 갓과 같은 모양의 작은 입자가 피복되어 있고 고리 위쪽은 백색∼연한 갈색을 띠며 거의 평활하다.
타원형. 평활, 투명, 3.7∼4.5×2.3∼2.8㎛. 포자문은 백색.
다갈색∼계피색
여름~가을
여름∼가을 임내 지상에 발생. 식용한다.
북반구 일대.
식용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소형~중형, 갓은 황토색∼밝은 황갈색 분상물질 피복, 방사상 주름이 잡히는 특징이 있다. 대는 갓과 같은 색, 작은 입자가 피복.
갓은 폭 2.5∼6(10)cm 정도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해 지고 가운데가 돌출되기도 한다. 표면은 황토색∼밝은 황갈색. 입자나 분상 물질이 피복되어 있다. 자라면서 표면에는 방사상의 주름이 잡히기도 하며 어릴 때 가장자리 끝에는 피막의 잔편이 붙어 있다. 식독 불명(식용?).
주름살은 백색. 촘촘하며 대에 치붙음.
대는 3∼5cm, 위쪽에 고리가 있다. 갓과 같은 모양의 작은 입자가 피복되어 있고 고리 위쪽은 백색∼담황토색을 띠며 거의 평활하다. 고리는 백색 막질로 비교적 크고 부서지기 쉽다.
3.9∼5×2.5∼3.3㎛.
황토색, 황갈색
여름~가을
여름∼가을 임내에 버려진 왕겨 위나 대나무밭 낙엽 상에 군생. 흔히 균환을 형성한다.
한국, 일본.
식독불명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이태수, 조덕현, 이지열. 2010. 한국의 버섯도감Ⅰ. 409pp. 저숲출판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소형∼중형. 갓은 벽돌색을 띤 적색∼오렌지갈색 입자 피복. 주름살은 백색, 대는 흔히 연한 색이다. 고리가 있다. 지역에 따라 색깔이 다양해서 혼동되기 쉽다.
갓은 폭 2∼6(10)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으로 되고 가운데가 돌출된다. 표면은 벽돌색을 띤 적색∼오렌지 갈색 또는 홍적색 등의 작은 입자가 밀포되어 있다. 색깔이 비교적 다양한 편이다. 만지면 색깔이 진해진다. 가장자리는 물결모양 굴곡 되기도 한다. 살은 허연색. 식용.
주름살은 백색∼크림색. 대에 띠붙음∼치붙음.
대는 2∼5(7)cm(굵기3∼10mm), 다소 연한 색. 위쪽에 고리가 있다. 고리의 밑은 적갈색의 입자가 피복되며 고리는 소실되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