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http://www.bender-coprinus.de/pilz_der_woche/2014/_pezicula_rubi.html
|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 
|---|---|
| 학명 | Pezicula rubi (Lib.) Niessl | 
| 과명 | 살갗버섯과(Dermateaceae) | 
| 속명 | 접시주발버섯속(Pezicula) | 
| 특징 | 0.5∼1mm. 둥근산형∼돋보기 모양. 둔한 황토황색∼오렌지적색. 나무딸기, 장미 등에 난다. | 
| 자실체 | 자실체는 0.5∼1mm의 극소형. 둥근산형 또는 돋보기모양이고 대가 없이 관목의 죽은 줄기에 붙는다. 둔한 황토황색 또는 오렌지적색이고 건조할 때는 표면이 분상이다. 건조하면 부서지기 쉽다. | 
| 포자 | 포자는 타원상 방추형. 투명, 때때로 3개의 격막을 갖는다. 18∼26×6∼8㎛. | 
| 색상 | 황토황색 또는 오렌지적색 | 
| 발생계절 | 여름~겨울 | 
| 발생형태 | 여름∼초겨울, 나무딸기, 장미 등 관목의 죽은 줄기에 산생하거나 단생. | 
| 분포 | 한국, 유럽 | 
| 식용여부 | 비식용 | 
|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사진출처 : http://www.bender-coprinus.de/pilz_der_woche/2014/_pezicula_rubi.html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