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otamogeton fryeri A.Benn.
- 가래과(Potamogetonaceae)
- 가래속(Potamogeton)
- 수중엽에 엽신이 있고 수중경의 밑부분에서 피침형의 잎이 호생한다. 잎은 꽃이 필 때는 윗부분이 쓰러지지만 남는 수도 있으며 길이 11-14cm 나비 7-25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엽병으로 흐른다. 수면에 뜨는 잎은 화서가 돋는 부분에서는 대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원형이며 원저이거나 또는 약간 밑으로 흐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5.5-12cm로서 가장자리가 파상이다. 엽병은 길이 5-15cm이며 탁엽은 길이 5-8cm로서 막질이고
- 꽃은 양성으로서 5-8월에 피고 화경은 길이 10-15cm로서 윗부분이 굵다. 액생하는 이삭화서에 황록색 꽃이 달리고 화서는 길이 3-5cm이며 암술 수술 및 자방은 각 4개이고 화피는 없다. 약격(葯隔)이 자라서 부채처럼 된다.
- 수과는 넓은 난형이며 단단한 과피에 쌓여 있고 뒷면에 좁은 날개가 있다.
- 마디에서 뿌리와 줄기가 나와 자란다.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지역에서 자란다.
- 다년생 수초
- ▶가는가래(P. cristatus Regel et Maack): 물 속에 있는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물 속에 잠기는 잎은 길이 4-6㎝ 폭 0.7㎜ 끝이 뾰족하고 물 위에 뜨는 잎은 긴 타원형이다. ▶가래(P. distinctus A. Benn.): 물에 잠기는 잎은 잎자루가 3-4㎝이고 얇다. 물 위에 뜨는 잎은 잎자루가 6-10㎝ 긴 타원형 표면은 녹색 매끄럽고 뒷면은 엷은 황색이다. ▶애기가래(P. octandrus Poi
- 대동가래와 비슷하지만 수중엽에 엽신이 있고 수중경의 밑부분에서 피침형의 잎이 호생하는 것이 다르다.
- 국가식물표준목록
- J. Bot. 42 : 72-73 (1904)
-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도감등록수 4942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