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털고사리
학명 : Deparia pycnosora (H.Christ) M.Kato
과명 :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속명 : 진고사리속(Deparia)
이명 : 흰털개고사리 흰털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15-30㎝로서 연녹색 또는 자갈색이며 중축과 더불어 인편 및 털이 있다. 엽신은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길이 40-70㎝ 폭 10-20㎝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우편은 퍼지며 대가 없고 피침형이며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원두 또는 둔두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파상의 톱니가 있고 측맥이 다시 갈라지지 않는다. 밑부분에 있는 몇개의 우편은 떨어져 있으며 짧고 약간 밖으로
열매 : 포자낭군은 중륵 가까이에 달리며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다.
뿌리 : 근경은 곧추서고 끝에서 잎이 총생.
분포 :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90 : 36 (197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털고로쇠나무
학명 : Acer pictum Thunb.
과명 : 단풍나무과(Aceraceae)
속명 : 단풍나무속(Acer)
이명 : 산고로쇠나무 산고로실나무 털고로쇠 털고리실 털고리실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둥글며 얕게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점첨두이며 아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지름 7~15cm이다. 뒷면에 짧은 갈색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잎은 가을철에 황색으로 된다.
꽃 : 산방상 원추화서는 새가지 끝에서 잎과 같이 나오고 꽃은 일가화로서 5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지름 5-7mm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5개이며 8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시과는 예각으로 벌어지고 길이 2~3cm이며 10월에 익는다.
줄기 : 곧게 자라고 웅대하게 퍼지며 껍질은 회청색으로 평활하지만 장령목이 되면서부터 세로로 골이져 갈라지고 어린가지는 회황색으로 얕게 갈라진다. 이른봄에 수액을 받아 약수로 한다.
뿌리 : 천근성(淺根性)이고 사출(射出) 또는 수평으로 발달한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00-1 800m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긴고로쇠나무(A. mono Max. for. dissectum Rehder) : 잎이 깊게 갈라지고 열편이 피침형이며 엽병이 매우 길다. ▶집께고로쇠(A. mono Max. for connivens Rehder) : 열매가 예각으로 벌어진다. ▶붉은고로쇠(A. mono Max. for. rubripes T. Lee) : 엽병이 적색이다. ▶산고로쇠(A. mono Max. var. horizontale Nak.) : 열매가 수평으로 벌어진다.
특징 : 고로쇠나무와 닮았으나 잎이 얕게 5갈래로 갈라지고 뒷면에 짧은 갈색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g., ed. 14 [J. A. Murray] 858 (Murray, 1784)
참고문헌 : 1) 국가식물목록심의자료I (국가식물목록위원회, 2001)
-
No Image
털고광나무
학명 : Philadelphus schrenckii var. jackii Koehne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고광나무속(Philadelphus)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철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3-6cm로서 선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잔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뒷면은 백록색으로서 거칠고 꼬부라진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잔털이 밀생하고 엽병은 길이 2-8mm로서 잔털이 있다.
꽃 : 총상화서는 햇가지 끝에 달리며 5-7개의 꽃이 피고 화서에 밀모가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2-3mm로서 백색털이 있다. 꽃받침통은 반원형이고 잔털이 있으며 꽃받침잎은 4개로서 겉에 털이 없고 안쪽에 백색털이 밀생한다. 꽃잎은 4개이며 넓은 난형으로서 둔두이고 암술대에 털이 없으며 암술머리는 4개로 갈라져서 뒤로 말린다.
줄기 : 높이 1-1.5m이고 소지는 밤색이며 백색털이 있고 껍질이 벗겨지지 않는다.
분포 : 진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eddes Repert. 10 : 127 (191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No Image
털계요등
학명 : Paederia scandens var. velutina (Nakai) Nakai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계요등속(Paederia)
이명 : 우단게요등 털계뇨등
잎 : 잎은 대생하고 넓으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에 점첨두이고 원저 재저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 5-12cm로서 뒷면에는 융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1-8c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원추화서 또는 취산화서는 정생하거나 액생하고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첨두이다. 화관은 길이 1-1.5cm 지름 4-6mm로서 백색이고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지고 겉에 털이 있으며 수술은 5개로서 2개가 갈고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둥글며 지름 5-6mm로서 9-10월에 황갈색으로 익고 털이 없다.
줄기 : 덩굴성이며 윗부분이 겨울 동안에 죽으며 어린 가지에 잔털이 다소 있다.
분포 : 바다를 따라 대청도 및 울릉도까지 분포한다.
형태 : 낙엽덩굴성식물
유사종 : ▶계요등(P. scandens Merr.): 잎은 길이 5-12㎝ 나비 1-7㎝로 밑은 심장형이며 끝은 뾰족하다. 잎 뒷면은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거치가 없으며 엽병은 길이 1-6㎝이다. ▶좁은잎계요등(var. angustifolia T.Lee): 잎은 좁고 긴 피침형으로 3-16㎝ 나비 5-10㎜인 것.
특징 : 속명은 라틴어의 `paidor(악취)`에서 유래하며 식물체에서 독특한 냄새가 난다는 의미이다. 맹아력이 강하여 마디마다 새싹이 돋아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ci. Mus. Tokyo 29 : 97 (195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털갯완두
학명 : Lathyrus japonicus var. aleuticus Fernald ex Naka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연리초속(Lathyrus)
잎 : 잎은 3-6쌍의 소엽으로 구성되고 분백색이 돌며 소엽은 난형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길이 15-30mm 나비 10-20mm로서 덩굴손이 흔히 갈라지지 않으나 2-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꽃 : 화서는 길이 6-9cm로서 엽액에서 나오고 화경이 길며 꽃은 5-6월에 피고 길이 25-30mm로서 적자색이며 총상화서의 한쪽에 치우쳐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털이 있으며 밑의 열편이 통부보다 길거나 같고 수술은 10개가 양체로 갈라지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꼬투리는 길이 5cm 나비 1cm로서 5개 정도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능각이 있고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길이 20-60cm이다.
뿌리 : 지하경이 길게 뻗는다.
분포 : 중부이북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갯완두
특징 : 갯완두와 비슷하나 꽃받침에 털이 있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Nat. Mus. Tokyo 31 : 64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털개회나무
학명 : Syringa patula (Palib.) Nakai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수수꽃다리속(Syringa)
이명 : 가는잎정향나무 둥근정향나무섬개회나무암개회나무 정향나무 흰섬개회나무흰정향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난상 타원형 난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6~10cm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5~10mm이고 뒷면과 더불어 융모가 밀생한다.
꽃 : 꽃은 5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전년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리며 향기가 있고 화경은 없으며 화축에 털이 있다. 꽃받침은 융모가 있거나 없고 화관은 4개로 갈라지며 화통이 열편보다 길고 수술은 2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피침형으로 길이 10~16mm이고 피목이 있으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작은 가지는 가늘며 털이 있고 회색으로 피목이 있다.
분포 : 평남 함남북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27: 32 (193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털개억새
학명 : Eulalia quadrinervis (Hack.) Kuntze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개억새속(Eulalia)
이명 : 유드기아재비좀개억새
잎 : 줄기 밑부분을 둘러싼 엽초에 털이 밀생하지 않는다. 잎은 길이 20-40cm 나비 3-8mm로서 백색 털이 있고 엽설은 짧으며 절두이고 엽초에 비스듬히 퍼진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화경(花莖) 끝에 3-7개의 가지가 달린 장상화서는 길이 8-12cm로서 연한 황갈색이고 한쪽으로 처진다. 수축(穗軸)은 희거나 자줏빛이 도는 잔털로 덮이며 소수(小穗)는 2개씩 달리고 그 중 1개는 대가 있으나 1개는 없으며 길이 5-6mm로서 넓은 피침형이고 예두이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다. 속모는 길고 마디사이에 흰빛이 도는 자갈색 털이 있으며 까락은 길이 12-17mm이다.
줄기 : 높이 60-100cm이고 줄기 밑이 굵지 않으며 개억새와 비슷하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vis. Gen. Pl. 2 : 775 (Kuntze, 189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털개살구
학명 : Prunus mandshurica f. barbinervis (Nakai) W.T.Lee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벚나무속(Prunus)
이명 : 털개살구나무 )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5~12cm이며 끝은 급히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겹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 짬에 잔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2~3cm이다.
꽃 : 꽃은 4월에 연한 홍색 또는 거의 백색으로 잎보다 먼저 피고 1~2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8mm이다. 꽃받침조각은 타원형으로 선상 톱니가 있으며 꽃잎은 둥글고 길이 10~12mm이다. 암술대의 하반부와 자방에 털이 있다.
열매 : 과실은 핵과로 황색으로 익으며 떫은 맛이 강하다.
줄기 : 수피는 코르크가 발달하며 소지는 밤색이고 털이 없다.
분포 : 충남 강원 이북에 나며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교목이다.
특징 : 털개살구는 개살구나무에 비하여 잎뒤 맥상에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 Fl. Koreae : 503 (19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털개벚나무
학명 : Prunus leveilleana var. pilosa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벚나무속(Prunus)
이명 : 털개벚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이다. 밑은 뭉툭하고 끝은 날카롭고 뾰족하다. 양면 맥 위에는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거치가 있다.
꽃 : 꽃이 4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자루에 털이 난다.
열매 : 열매는 6월에 익는다.
분포 : 한국
형태 : 낙엽교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털개밀
학명 : Agropyron gmelini (Griseb.) Scribn. & Sm.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개밀속(Agropyron)
이명 : 북개밀
잎 : 잎은 편평하고 길이 15-25㎝ 폭 5-8㎜로서 양면에 긴 털이 있다. 엽설은 길이 0.4-0.5㎜로서 윗부분이 편평하고 절두이며 막질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화수(花穗)는 길이 10-15㎝로서 곧고 화축의 능선이 거칠다. 소수(小穗)는 압착되며 5-8개의 꽃이 달리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2cm로서 백록색이지만 흔히 연한 자줏빛이 돈다. 포영은 길이가 같지 않고 5-7맥이 있으며 길이 9-10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호영은 길이 1cm로서 5맥이 있고 끝에 뒤로 굽은 까락이 있으며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같고 자방에 털이 있다. 인피는 2개 수술 3개이다.
줄기 : 높이 60-100cm이고 밀생한다.
분포 : 태백산 및 북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con. pl. Fl. ross. 3:16 (183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털개머루
학명 : Ampelopsis brevipedunculata f. ciliata (Nakai) T.B.Lee
과명 : 포도과(Vitaceae)
속명 : 개머루속(Ampelopsis)
잎 :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점첨두 아심장저이고 3-5개로 갈라지며 각 열편에 둔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짧은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7cm로서 짧은 털이 있고 덩굴손이 잎과 대생하며 2개로 갈라진다.
꽃 : 취산화서는 잎과 대생하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소화가 많이 달리고 꽃은 양성으로서 6-7월에 피며 녹색이고 화경은 길이 3-4cm이며 화서는 지름 3-8cm이다. 꽃받침은 거의 재두이고 5개씩의 꽃잎과 수술 및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원형 또는 편원형이고 지름 8-10mm로서 9월에 벽색으로 익으며 갈색 피목이 있다.
줄기 : 덩굴성으로 길게 뻗으며 가지에 짧은 털이 많고 수피가 갈색이며 마디가 굵다.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낙엽만경.
유사종 : 개머루
특징 : 개머루와 닮았으나 햇가지와 잎자루 및 잎 뒷면에 짧은 털이 있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Woody Pl. Kor. 311 (1966)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No Image
털개구리미나리
학명 : Ranunculus cantoniensis DC.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이명 : 왜젓가락나물 털젓가락나물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밑부분이 엽초가 되며 3개로 갈라지고 소엽은 2-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뾰족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복모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엽병이 짧고 1-2회3출엽이며 윗부분의 것은 1회3출엽이거나 단순히 3개로 갈라진다.
꽃 : 꽃은 취산화서로 황색이다. 꽃받침은 5개이고 뒤로 젖혀지며 넓은 난형이고 길이 3.5mm정도로서 뒷면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꽃잎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5mm이다.
열매 : 취과는 둥글며 화탁은 타원형이고 백색털이 있으며 수과는 도란형이고 길이 3.5mm정도로서 가장자리가 편편하며 암술대가 거의 젖혀지지 않는다.
줄기 : 밑부분에 퍼진 털이 있으며 윗부분에 복모가 있고 높이 30-80cm이며 가지가 차상(叉狀)으로 갈라지며 속이 비어 있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전체의 모양이 왜젓가락나물과 비슷하지만 털이 있고 수과가 개구리미나리와 비슷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DC.) 1 : 43 (DC., 182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No Image
털갈매나무
학명 : Rhamnus koraiensis C.K.Schneid.
과명 : 갈매나무과(Rhamnaceae)
속명 : 갈매나무속(Rhamnus)
잎 : 잎은 대생 또는 호생하며 원형 또는 난형이고 급한 첨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4-7cm 나비 4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약간 안으로 꼬부라진 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털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황록색이고 짧은 가지의 끝 부근 또는 긴 가지 기부의 엽액에 1-3개가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3-7mm로서 털이 있다. 수꽃의 암술은 퇴화되어 작고 암꽃은 자방은 2-3실로서 둥글며 암술대가 2-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원형 또는 난상 구형이고 1-3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흑색으로 익고 소과경은 길이 3-10mm이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소지는 황갈색이며 잔털이 있고 끝이 흔히 가시로 된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참갈매나무(var. nipponica Makino): 잎이 3-16cm 나비 2.5cm이고 양면이 거의 같은 색이며 뒷면의 중륵이 뚜렷하고 엽병의 길이가 10-25mm이며 열매의 지름이 7mm이고 종자에 깊은 홈이 있다.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tizbl. Bot. Gar. Berlin-Dahlem 5:77 (190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털가침박달
학명 : Exochorda serratifolia var. oligantha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가침박달속(Exochorda)
이명 : 털까침박달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5~9cm로서 난상 타원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상반부에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이고 양면에 털이 없다.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5월 중순에 피며 지름 4cm이고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1-2개씩 달리며 꽃받침잎은 5개로서 난형이고 꽃이 지면 떨어지며 꽃잎도 5개로서 백색이고 도란형이며 끝이 오목하다. 수술은 25개 암술대는 5개이고 자방은 5개의 심피가 합생하며 종자가 1-2개씩 들어 있고 날개가 있다.
열매 : 열매는 9월에 익으며 삭과는 난형으로 모가 지고 익으면 뒷면이 터지면서 날개가 달린 종자가 튀어 나온다.
줄기 : 높이 1-5m이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소지는 붉은 빛이 도는 갈색이며 털이 없고 백색 피목이 산재한다.
분포 : 황해도 및 함경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가침박달(E. serratifolia Moore): 잎은 어긋나고 길이 5-9㎝의 타원형으로 상반부에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이고 양면에 털이 없다. 털가침박달과 달리 화서에 꽃이 3-6개씩 달린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No Image
털가문비나무
학명 : Picea pungsanensis var. intercedens (Nakai) T.B.Lee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가문비나무속(Picea)
이명 : 별종비 오리가문비 털풍산종비
잎 : 잎은 네모가 지며 길이 12-25㎜이지만 보통 20㎜로서 구부러지고 엽흔(葉痕)은 도란형(倒卵形)이다.
꽃 : 포(苞)는 피침형(披針形)이고 점첨두(漸尖頭)이다.
열매 : 구과(毬果)는 난상 타원형으로서 길이 55-70㎜ 지름 25-30㎜이며 실편(實片)은 도란형이고 끝이 좁은 둔두(鈍頭)로서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연한 녹황갈색(綠黃褐色)이고 뒷면에 세로로 주름이 지며 윤채(潤彩)가 없다. 종자(種子)는 난형으로서 암갈색이고 길이 4-4.5㎜ 폭 1.5-2㎜이며 날개는 타원형으로서 연한 황갈색이고 길이 8-9㎜ 폭 4㎜정도이다.
줄기 : 연한 황갈색 또는 연한 황록색이며 동아(冬芽)에 털이 없고 수지(樹指)가 약간 있다. 가지에 털이 있다.
분포 : 함북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고산성 상록 침엽 교목이다.
유사종 : ▶풍산가문비 (Picea pungsanensis UYEKI) ▶종비나무 (Picea koraiensis Nakai)
특징 : 종비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이 길며 실편이 얇고 주름살이 지며 끝이 톱니모양 비슷하게 되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Woody Pl. Kor. 234 (196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터리풀
학명 : Filipendula glaberrima (Nakai)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터리풀속(Filipendula)
이명 : 민터리풀
잎 : 근생엽은 1회우상복엽이고 정소엽은 길이 16cm 폭25cm로서 단풍잎처럼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측소엽은 6-9쌍이며 길이와 폭이 각 1-20mm로서 작은 것과 큰 것이 교대로 달린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측소엽은 1-7쌍이며 탁엽은 피침상 큰 타원형이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가지끝과 원줄기 끝의 취산상 산방화서에 밀생하여 달리고 털이 없다. 꽃받침열편은 4-5개이며 나중에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4-5개로서 둥글며 밑부분이 짧게 뾰족해지고 길이 3mm 정도이다. 수술이 꽃잎보다 훨씬 길며 많고 심피는 5개로서 앞뒤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며 난상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줄기 : 높이는 1m이고 곧게서며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뿌리 : 목질화된 굵은 근경에서 짧은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전국 각지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단풍터리풀(F. multijuga Max.) : 주로 북부지방에 자생한다.
특징 : ▶속명 Filipendula는 라틴어 filum(絲(사))과 folium의 합성어로 잎이 실처럼 가늘다는 뜻이며 종명의 glaberrima는 털이 없음을 나타낸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pert. Spec. Nov. Regni Veg. 13 : 274 (191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No Image
탱자나무
학명 : Poncirus trifoliata Raf.
과명 : 운향과(Rutaceae)
속명 : 탱자나무속(Poncirus)
잎 : 잎은 호생하고 삼출엽이며 엽병에 날개가 약간 있다. 소엽은 혁질이고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6cm로서 둔두 또는 미요두이며 예저이고 둔한 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2.5cm정도이고 잎 표면에 투명점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3.5-5cm로서 정생 또는 액생하고 1개 또는 2개씩 달리며 꽃받침잎과 꽃잎은 5개가 이생하고 꽃잎은 길이 1.5cm정도이며 개출한다. 수술은 20개이고 털은 없으며 자방은 8-10실로 나뉘고 밀모가 있다.
열매 : 장과는 둥글고 표면에 부드러운 털이 많이 나며 지름 3cm로서 향기가 좋으나 먹을 수 없고 9-10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1-1.3cm쯤 된다. 어린 가지는 약간 편평하고 녹색이다.
줄기 : 가지는 편평하며 녹색이고 길이 3-5㎝정도의 굳센 가시가 호생한다. 가시와 가지가 녹색이므로 다른 식물과 쉽게 구별된다.
분포 : 경기 이남 표고 700m 이하의 따뜻한 지역에서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천연기념물 제78(경기도 강화군 강화읍)호 79(경기도 강화군 화도면)호에 지정되어 있다. ⓐ면적:1주(株) 13㎡ ⓑ소유자:개인 ⓒ지정사유:노거수 ⓓ수령:400년 ⓔ나무높이:4m ⓕ뿌리목둘레:1m. 이 나무는 강화도 역사박물관에 이웃해서 토성의 비탈면 아래쪽에 보호를 위해 철책에 둘러싸여있고 석축이 되어 있어서 나무에 해로운 흙이 유실은 염려없다. 굵은 줄기의 아래쪽 내부는 목질부가 부후해 있고 줄기에는 독특한 골이 세로로 나 있다. 건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lva. tellur. 143 (1838)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택사
학명 : Alisma canaliculatum A.Br. & Bouche
과명 : 택사과(Alismataceae)
속명 : 택사속(Alisma)
이명 : 물택사 쇠대나물 쇠태나물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며 밑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감싸는 엽병이 있고 엽병은 길이 15-20cm이며 엽신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양끝이 좁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이 흐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10~30cm 폭 1~4cm이며 털이 없고 5-7개의 평행한 맥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잎 중앙에서 나오며 길이 40-130cm로서 많은 꽃이 윤상으로 달리고 꽃은 7월에 피며 백색이고 마디에 포가 있다. 꽃에는 소화경이 있으며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3개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은 연한 녹색이지만 화분은 황색이며 암술이 많고 암술대가 자방보다 짧다.
열매 : 수과는 환상(環狀)으로 달리는데 납작하고 뒷면에는 1개의 깊은 골이 있다.
뿌리 : 수염뿌리가 많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제주도 및 중부와 북부지역에 자생한다.
형태 : 습생 다년초로 수재(水栽) 관엽식물이다.
유사종 : ▶질갱이택사(A. plantago-aquatica L. var. orientale Samuels.) : 잎이 넓고 둥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nd. Sem. Hort. Berol. 4 (186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No Image
태양국
학명 : Gazania rigens (L.) Gaertn.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태양국속(Gazania)
잎 : 잎은 바소꼴로 흰 털이 난다.
꽃 : 7~9월에 지름 7~8cm의 등황색 꽃이 핀다. 꽃잎 중앙에 갈색과 흰색의 테가 선명하게 생긴다.
줄기 : 줄기는 옆으로 넘어지기 쉬우며 20~30cm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ruct. 2: 451 ()
Fruct. Sem. Pl. 2 : 451 (Gaertn., 1791)
-
No Image
태안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taeanensis S.S.Kang & M.G.Chung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원추리속(Hemerocallis)
잎 : 잎은 약간 작아서 길이 32~56cm 폭 0.5~1.4cm이고 부드러우며 표면은 편평하거나 줄이 있고 연한청녹색 녹색이 도는 황색이다.
꽃 : 화서는 대개 끝이 두개로 갈라지며 간혹 한번더 가지가 갈라지기도 한다. 화서 아래에 드물게 1개의 포를 가지며 길이 1~1.8cm 폭 3~4mm이다. 꽃은 보통 2~5개가 피고 길이가 0.3~5.5cm이며 소화경은 길이 0.2~3cm 폭 3mm로 대체로 포보다 길다. 포는 난형이고 녹색이 돌며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꽃은 보통 주황색을 띤 노란색이거나 드물게 엷은 황색을 띠는 노란색이다. 크기는 길이 5~8.6cm이고 통부는 길이 1~2.3cm 폭
열매 : 삭과는 대체로 약간 둥글고 드물게 장타원상 난형이며 표면은 보통 부드럽거나 사마귀형 돌기가 있고 끝부분은 미요두로 길이 1~2cm 폭 0.8~1.2cm이다. 종자는 광이있는 흑색이고 난형이며 아래쪽에 능각이 있고 길이 4mm 폭 3mm이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개화기와 결실기에 한쪽으로 치우진다. 크기는 32~68cm이고 기저부의 지름은 약 2mm이다.
뿌리 : 뿌리는 방추상 괴경으로 길이 1.5~2.5cm 폭 0.4~0.8cm이고 옅은 회색을 띠는 갈색이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Bot. 22:427-431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