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흰쑥
학명 : Artemisia stelleriana Besser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쑥속(Artemisia)
이명 : 눈빛쑥 산흰쑥
잎 : 꽃이 없는 줄기의 잎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6-30mm의 엽병과 더불어 길이 3-7㎝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2쌍으로서 끝이 둔하며 긴 타원형이고 표면에 면모가 있으며 밑부분이털로 두껍게 덮여 있고 꽃이 달려 있는 가지 중앙부의 잎은 길이 3-9cm 나비 2-5cm이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두상화는 황갈색이고 꽃이 피기 전에는 처지며 좁은 원추형으로 배열되고 길이 7mm 나비 7-10㎜로서 처음에는 화경이 없으며 꽃이 진 다음의 화경은 길이 1-7mm이다. 총포는 털로 두껍게 덮여 있으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끝이 둔하거나 둥글다.
열매 : 수과는 좁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양끝이 편평하고 털이 없으며 다소 굽는다.
줄기 : 높이 20-65cm이고 꽃이 피기 전에는 가지와 더불어 끝이 처지며 털로 두껍게 덮여 있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자란다.
분포 : 전라 북도 덕유산 이북지역 동해안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uv. Mem. Soc. Imp. Naturalistes Moscou 3: 79 (1834)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흰싸리
학명 : Lespedeza bicolor f. alba (Bean) Ohw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3출겹엽이며 작은 잎은 타원형이고 길이 2-5㎝로서 원두(圓頭)또는 약간 요두(凹頭)이며 엽맥의 연장인 짧은 침상의 돌기가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에는 복모가 있다. 총엽병은 길이 2.5-5㎝로서 털이 없거나 약간 있고 소엽병은 길이 5㎜정도이다.
꽃 : 총상화서는 길이 4-8㎝로서 엽액이나 가지 끝에 달리며 원추화서를 형성하기도 한다. 꽃은 7-8월에 피며 흰색이고 소화경은 길이 1-3㎜로서 털이 약간 있다. 꽃받침통은 견모가 있으며 얕게 4개로 갈라지고 뒤의 것이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협과(莢果)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부리처럼 길고 길이 7-8㎜ 넓이 5㎜로 복모가 약간 있으며 10월에 익는다. 종자는 신장형 비슷하고 갈색 바탕에 짙은 색의 반점이 있다.
줄기 : 줄기 및 가지는 월동중 반 이상은 말라 죽는다. 소지는 능선이 있고 암갈색이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목재는 연한 녹색이며 수는 충실하고 백색이다.
분포 : 강원도와 경기도 산기슭에 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조록싸리(Lespedeza maximowiczii Schneid.): 높이 1-2m에 이르고 밑에서 줄기가 돋아나 많은 가지로 갈라진다. ▶풀싸리(Lespedeza thunbergii var. intermedia T. Lee): 8-9월에 피는 꽃은 붉은 자주색이고 가지 끝 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원추화서를 이룬다. ▶땅비싸리(Indigofera kirilowii max.): 5월경 잎 겨드랑이에서 피는 꽃은 분홍색이다. ▶털조록사리(Lesped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Nat. Sci. Mus. Tokyo 33 : 77 ()
Fl. Japan 678 ()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흰술패랭이꽃
학명 :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f. albiflorus Y.N.Lee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패랭이꽃속 (Dianthus)
잎 : 잎은 선상 피침형 끝이 뾰족하며 아랫부분은 합쳐져 마디를 둘러싸고 길이는 10㎝ 내외이다.
꽃 : 꽃은 흰색 취산화서 지름 5㎜ 내외이다. 작은 포는 난형 여러 조각이 붙는다. 꽃받침은 긴 원통형 길이 3㎝ 이상 끝이 5갈래 갈래는 피침형 끝이 뾰족하다. 꽃잎은 5갈래 끝은 깊이 잘게 갈라지고 밑동에 수염털이 있다. 수술은 10개 길게 나오고 자방은 1개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 원기둥 모양 영존하는 꽃받침 속에 있으며 4갈래로 갈라진다.
줄기 : 털이 없으며 흰 가루가 덮인 것 같은 녹색이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카네이션(D. caryophyllus L.): 전체가 분백색 줄기가 곧게 선다. 잎은 선형 꽃은 향기가 있다. ▶흰패랭이꽃(D. chinensis L. for. albiflorus T. Lee for. nov.): 흰 꽃이 피는 패랭이꽃이다. ▶섬패랭이꽃(D. littorosus Makino ex Nakai): 꽃은 목 부분까지 고루 분홍색이며 꽃잎이 술패랭이꽃에 비해 덜 갈라진다. ▶구름패랭이꽃(D. superbus L. var. spe
특징 : 꽃이 흰색인 술패랭이꽃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흰숙은노루오줌
학명 : Astilbe koreana f. albiflora Y.N.Lee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노루오줌속(Astilbe)
잎 : 잎은 호생하고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2~3회3출복엽이고 소엽은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둔하거나 다소 심장저이며 길이 4~11cm 나비1.5-7cm로서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흰색이며 원추화서는 큰것은 길이 26cm 지름 16cm로서 옆으로 처지고 꼬불꼬불한 갈색 털이 밀생한다. 꽃받침은 중앙에서 5개로 갈라지며 길이 2mm정도로서 털이 없고 꽃잎은 선형이며 길이 5mm 나비 0.5mm정도로서 연홍색이다. 수술은 10개이고 꽃잎보다 다소 짧으며 꽃밥은 둥글고 암술대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꽃받침에 싸이며 끝이 2개로 갈라지는 삭과이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하고 갈색 털이 있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숙은노루오줌과 비슷하나 흰 꽃이 피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흰수크령
학명 : Pennisetum alopecuroides var. albiflorum Y.N.Lee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수크령속(Pennisetum)
잎 : 잎은 길이 30~60cm 폭 9~15mm이며 털이 약간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꽃이삭은 원주형이며 꽃색은 흰색이다. 작은가지에 1개의 양성화와 수꽃이 달린다. 소수화서은 바소꼴로 5mm 정도이며 밑부분에 2cm 정도의 자주색 털이 빽빽이 난다. 첫째 포영에는 맥이 없고 둘째 포영에는 3~5맥이 있다. 수술은 3개이다. 꽃밥이 붉다.
줄기 : 뿌리줄기에서 억센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흰수염며느리밥풀
학명 : Melampyrum roseum var. japonicum f. leucanthum Nakai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
이명 : 흰꽃며느리밥풀흰바꽃
잎 : 잎은 대생하고 긴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둘글며 길이 3-6cm 폭 1-2.5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5-10mm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백색이고 수상화서에 달리며 화서에 포가 다닥다닥 달리고 백색 연모가 있으며 포는 좁은 난형 또는 긴 타워상 피침형이고 가시같은 톱니와 더불어 양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4개로 뾰족하게 갈라지며 다세포로 된 긴 털이 있고 화관은 길이 16-18mm로서 겉에 털이 있으며 하순의 중앙열편에 밥풀같은 2개의 백색 무늬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1cm정도로서 짧은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가지가 길게 자라며 햇볕이 잘 쬐는 곳에서는 적자색이 돈다.
분포 : 남부지방과 서남 군도를 거쳐 일본에까지 분포한다.
형태 : 반기생성 일년초
유사종 : ▶수염며느리밥풀 (var.japonicum FR. et SAV.)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흰수골무꽃
학명 : Scutellaria dentata var. alpina f. albida Y.N.Lee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골무꽃속(Scutellaria)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은 길고 둥근 난형이며 거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흰색이며 수상화서를 이루고 포는 난형이며 자루가 있다.
줄기 : 높이는 15cm가량이고 가지를 친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 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꽃이 흰색인 수골무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흰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resupinata f. albiflora (Nakai) W.T.Lee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송이풀속(Pedicularis)
이명 : 흰꽃마주송이풀흰마주송이풀흰수송이풀
잎 : 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고 넓은 피침형 또는 장 타원상 좁은 난형으로 길이 4~9cm 나비 1~2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갑자기 좁아지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겹톱니가 있고 엽병은 짧다.
꽃 : 꽃은 8~9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모여 달리며 포는 엽상이다. 꽃받침은 앞쪽이 깊게 갈라지고 뒤쪽은 둥글며 2~3개의 둔한 톱니가 있다. 화관은 통상 순형이고 수술은 2강웅예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다.
줄기 : 줄기가 곧추서고 때로 가지가 갈라지며 모여나며 적자색을 띠고 거의 털이 없거나 약간 있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사할린 캄차카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menta Florae Koreae 1003 (W.T.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흰솔나물
학명 : Galium verum var. trachycarpum f. nikkoense (Nakai) Ohwi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갈퀴덩굴속(Galium)
이명 : 꼬리솔나물 흰솔나무
잎 : 잎은 8-10개가 윤생하며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2-3cm 나비 1.5-3cm로서 뒷면은 마디 및 화서와 더불어 털이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지름 2.5mm정도로서 4개로 갈라지며 백색이고 엽액과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4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2개씩 달리고 겉에 털이 없으며 분과는 타원형이다.
줄기 : 높이 70-100cm이고 곧추 자라면서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솔나물 (var. asiaticum NAK.) ▶털솔나물 (var.trachycarpum DC.) : 자방에 털이 있다. ▶흰털솔나물 (for. album NAK.) : 연한 황색 꽃이 피고 자방에 털이 있다. ▶개솔나물 (for. intermedium NAK.) : 연한 황록색 꽃이 핀다. ▶털잎솔나물 (var. trachyphyllum WALLR.) : 잎에 털이 많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 1091(1953); in Bull. Nat. Sci. Mus. Tokyo 33 : 86 (195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흰손바닥난초
학명 : Gymnadenia conopsea f. albiflora Y.N.Lee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손바닥난초속(Gymnadenia)
잎 : 잎은 4~6장이 호생하며 긴 원형 넓은 피침형이고 기링 10~20cm 너비 1~2.5cm 밑동은 줄기를 싸고 비늘잎은 수 장 줄기의 윗부분에 붙는다.
꽃 : 다수의 꽃이 이삭화서를 이루고 포는 럽은 피침형 꽃받침은 난형 끝이 뾰족하고 길이 4~5mm 곁꽃잎은 넓은 난형 꽃받침보다 짧다. 입술꽃잎은 사각상 원형이고 길이 6~8mm 끝이 3갈래 거는 가늘고 길이 15~20mm이다.
뿌리 : 뿌리는 손바닥 모양이다.
분포 : 한국(백두산)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손바닥난초와 닮았으나 흰색 꽃이 피며 손바닥난초가 나는 곳에 드물게 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Manual of Korean Grasses (이영노, 1996)
-
No Image
흰속단
학명 : Phlomis umbrosa f. albiflora Y.N.Lee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속단속(Phlomis)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길며 심장상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큰 것은 길이 13cm 나비 10cm 또는 그 이상되는 것도 있으나 위로 갈면서 작아지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하고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흰색이고 윤산화서는 원줄기 윗부분에서 대생하여 전체가 큰 원추화서로 되며 각 소화서는 엽액에서 대생하고 다시 분지 위에서 소화경이 대생하여 각각 4-5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통형이며 길이 8mm정도이고 열편은 털 같은 돌기로 되며 잔털이 약간 있고 화관은 순형이며 길이 1.8cm정도이고 상순은 모자형으로서 겉에 우단같은 털이 밀생하며 하순은 3개로 갈라져서 퍼지고 겉에 털이 있다. 소포는 길이 7-10mm로서 선형이며 짧은 털이
열매 : 수과로서 광란형으로 꽃받침으로 싸여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 서고 네모지며 전체에 잔털이 있다.
뿌리 : 뿌리에 비대한 괴근이 4-5개 정도 달린다. 뿌리를 속단(續斷)이라 한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서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속단(P. umbrosa Turcz.): 붉은색 꽃이 핀다.
특징 : 속단에 비해 흰색 꽃이 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흰섬쥐손이
학명 : Geranium shikokianum var. quelpaertense f. albiflorum Y.N.Lee
과명 : 쥐손이풀과(Geraniaceae)
속명 : 쥐손이풀속(Geranium)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길고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에 결각상 또는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탁엽은 합생하며 건막질로서 갈색이 돈다.
꽃 : 화경 끝에 소화경이 있는 꽃이 2개씩 달리고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2cm정도로서 백색이다. 꽃받침에 퍼진 털이 있으며 꽃잎은 밑부분 가장자리에만 백색털이 있고 각각 5장씩이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다.
줄기 : 높이 30cm에 달하고 화경 및 엽병과 더불어 밑을 향한 퍼진 털이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퉁퉁하고 여러 갈래이며 지하경은 굵고 가지를 친다.
특징 : ▶흰색꽃이 피는 섬쥐손이. ▶기본종에 비해 식물체가 작고 퍼진 털이 밀생하며 잎 뒷면에 견모가 없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흰섬개회나무
학명 : Syringa patula var. venosa f. lactea K.Kim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 수수꽃다리속(Syringa)
잎 : 잎은 대생하고 심장상 난형으로 끝은 약간 길며 뾰족하고 잎 앞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털이 없으나 주맥 기부에 털이 있고 엽맥이 튀어나와 있다. 엽병은 짧고 털이 없지만 가끔 털이 있는 것도 있다.
꽃 : 개화기는 5월이고 흰색의 꽃이 원추화서에 탐스럽게 핀다. 꽃은 향기가 나며 길이는 7~8mm 정도 되고 열편은 뒤로 젖혀져 있고 수술은 통부에 달린다.
열매 : 삭과로 길이가 9~12mm이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와 가지는 비스듬히 직립한다.
뿌리 : 잔근성의 뿌리가 있다.
분포 : 울릉도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관목 관화식물로 수형은 낙하산형이다.
유사종 : ▶정향나무(S. velutina var. kamibayashii T.Lee): 꽃의 색의 홍자색. ▶섬개회나무(var.venosa T.Lee): 울릉도에서 자라고 회갈색 가지와 삭과에 피목이 산재.
특징 : 흰색의 꽃이 나무 전체를 가리면서 피어 장관이다. 한국 특산종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흰생열귀나무
학명 : Rosa davurica f. alba (Nakai) T.B.Lee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장미속(Rosa)
이명 : 흰생열귀 흰생열귀장미 흰해당화
잎 : 잎은 호생하고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이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예두 원저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길이 1~3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회록색이고 작은 선점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엽축 및 탁엽에 선모가 있다.
꽃 : 꽃은 양성화로 5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새가지 끝에 1개 또는 몇개가 달리며 화경에 선모가 있고 꽃받침열편은 5개이고 길이 2cm이며 겉에 선점이 있고 털이 없거나 안쪽에 털이 있으며 꽃잎은 5개로 넓은 도란형으로서 끝이 오므라지고 흰색이다. 수술은 많은데 이들은 모두 단지모양의 꽃받침통 변두리에 붙는다. 암술은 여럿으로 꽃받침통속 바닥에 붙어 있다.
열매 : 열매는 크기 1.0-1.3㎝로 구형이고 선형의 꽃받침이 달려 있으며 6월에 황홍색으로 익는다.
줄기 : 원줄기는 적갈색이며 털이 없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탁엽 밑에 가시가 있다.
분포 : 북한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생열귀나무(R. davurica Pall.): 꽃은 지름 4-5㎝의 진홍색으로 넓은 도란형이며 끝이 말린다. ▶긴생열귀(var.ellipsoidea): 타원형의 열매가 달린다. ▶민생열귀(R.silenidiflora): 잎의 뒷면에 선점이 거의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Woody Pl. Kor. 279 (1966)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No Image
흰상사화
학명 : Lycoris albiflora Koidz.
과명 : 수선화과(Amaryllidaceae)
속명 : 상사화속(Lycoris)
이명 : 흰가재무릇
잎 : 잎은 가을철에 나오며 선형이고 폭 10~15mm로서 봄에는 말라버리며 달걀 모양의 비늘줄기에 모여나고 피침 모양이다.
꽃 : 화경은 8월에 높이 40~50cm 정도 자라고 속이 비어 있으며 총포는 2개이고 막질이며 10여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린다. 꽃은 백색 바탕에 황색 또는 적색이 돌며 산형 꽃차례로 피며 소화경은 길이가 같지 않다.
열매 : 열매는 익지 않는다.
뿌리 : 인경은 난형이고 지름 4cm 정도까지 되며 흑갈색이다.
분포 : 제주
형태 : 다년초로 여러해살이풀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8 : 100 (192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흰산철쭉
학명 : Rhododendron yedoense f. albflora Chang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진달래속(Rhododendron)
잎 : 잎은 호생하고 좁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도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3-8cm 폭 1-3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표면에 털이 드문드문 있고 뒷면 특히 맥 위에 갈색털이 밀생하며 엽병은 길이 1-5mm로서 갈색털이 많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대에 털이 있고 가지끝에 2-3개씩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색털이 있으며 열편은 좁은 난형이고 길이 4-8mm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며 화관은 백색이고 지름 5-6cm로서 깔때기모양이며 4개로 갈라지고 내면 윗부분에 짙은 반점이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수술대는 털이 없거나 하반부에 포상의 돌기가 있고 암술대는 털이 없거나 기부에 복모가 있다.
열매 : 난형의 삭과는 9월에 익으며 길이 8-10mm로서 긴 털이 있다.
줄기 : 소지에 갈색털이 있으며 어린 가지와 화경에 점성이 있다.
뿌리 : 천근성 수종으로 세근이 많다.
분포 : 전라남도 불갑산과 제주도 한라산에 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산철쭉 (var. poukhanense (Lev.) NAKAI): 꽃의 색은 연한 홍자색. ▶겹산철쭉 (R. yedoense MAXIM.): 꽃은 만첩인데 열매를 맺지 않는 것.
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eikyu 32:80 (1938)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No Image
흰산쑥
학명 : Artemisia freyniana f. vestita (Kom.) Kitag.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쑥속(Artemisia)
이명 : 눈산쑥 흰털산쑥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이며 짧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소열편은 톱니가 있거나 없고 끝이 뾰족하며 나비 1-1.5mm로서 양면에 면모가 밀생한다.
꽃 : 두화는 원추상으로 달리고 총포편은 2줄로 배열되며 겉은 녹색이고 백색 털로 덮여 있으며 모든꽃이 열매를 맺고 화관은 종상 원통형으로서 안팎에 선점이 있다.
줄기 : 높이가 70cm에 달하고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능각이 있고 원줄기가 백색의 털로 덮여 있다.
분포 : 황해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아관목
유사종 : ▶털산쑥
특징 : ▶잎이 짧고 양면에 면모가 밀생하며 총포와 원줄기가 백색 털로 덮여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41 : 367 (193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흰사초
학명 : Carex doniana Spreng.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힌사초
잎 : 잎은 편평하며 폭 5-10mm로서 녹색이지만 뒷면은 회청색이고 질이 연하며 밑부분의 엽초는 갈황색으로서 약간 섬유질이 남는다.
꽃 : 화경(花莖)은 삼각형이며 중앙에 1개의 잎이 달리고 윗부분이 거칠다. 소수(小穗)는 4-6개로서 밑부분의 것은 대가 있으며 밑으로 처지고 웅화수(雄花穗)는 줄기끝에 달리며 길이 3-6㎝로서 선상 원주형이고 연한 녹색이며 곧게 선다. 자화수(雌花穗)는 줄기옆에 달리고 원주형이며 윗부분의 것은 대가 없어 곧추서고 밑부분의 것은 길이 3-7㎝로서 처진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흔히 엽초가 없고 화서보다 길며 자화영(雌花穎)은 긴 타원상 난형으로서 연한 백색이지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수평으로 퍼지고 세모지며 긴 타원상 난형이며 짧은 부리가 있고 길이 3mm정도로서 맥이 많고 연녹색이며 막질이다. 수과는 세모진 넓은 난형이며 헐겁게 들어있다.
줄기 : 총생한다.
뿌리 : 근경은 길게 뻗으며 끝에 새싹이 생겨서 곧추 자란다.
분포 : 중부 이남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g. 3: 825 (182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No Image
흰비비추
학명 : Hosta longipes f. alba (Nakai) T.B.Lee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비비추속(Hosta)
잎 : 잎이 모두 뿌리에서 돋아 비스듬히 퍼진다. 잎은 난상 심장형 또는 타원상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절저 또는 얕은 심장저이며 윤채(潤彩)가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약간 우굴쭈굴해지며 길이 12-13㎝ 폭 8-9㎝로서 8-9맥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화경(花梗)은 길이 30-40㎝로서 길이 4㎝의 백색의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소화경(小花梗)은 길이 4-11㎜이며 포는 얇은 막질로서 자주빛이 도는 백색이고 소화경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꽃이 핀 후 쓰러진다. 화관은 끝이 6개로 갈라져서 열편이 약간 뒤로 젖혀지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삭과는 비스듬히 서며 긴 타원형이다.
뿌리 : 뿌리에서 잎이 모두 돋아 비스듬히 퍼진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비비추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Fl. Kor. 200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흰비로용담
학명 : Gentiana jamesii f. albiflora (Nakai) Toyok.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잎 : 경생엽은 대생하며 5-10쌍이고 중앙엽은 넓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엽병이 없고 길이 7-15mm 폭 3-6mm로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백색이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길이 2.5-3cm로서 백색이며 화경이 없고 꽃받침통은 길이 6-8mm이며 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통부 길이의 1/3-1/4이고 화관통부는 좁으며 열편은 통부 길이의 1/3-1/4이고 열편사이에 있는 부편은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삼각형으로서 안쪽을 향해 후부(喉部)를 덮고 있다.
열매 : 삭과는 과병이 있어서 밖으로 나오고 종자는 방추형이다.
줄기 : 높이 5-12cm이고 네모가 지며 흔히 적자색이 돌고 밑부분에서 실같은 포복지가 옆으로 뻗으면서 소엽이 달린다.
분포 : 강원도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비로용담
특징 : 흰색 꽃이 피는 비로용담.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6: 116 (1956)
1) Honda, Nom. Pl. Jap. 250 (1957)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