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Taraxacum platypecidum Diels |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속명 | 민들레속(Taraxacum) |
이명 | 북녘민들레 북방민들레 사칼린민들레 |
잎 | 잎은 근생엽뿐이며 근생엽은 모여난다. 엽신은 도피침형(10~30cm 너비 3~6cm)이고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둔한 거치가 있는데 흔히 바깥쪽에 근생엽에는 둔한 거치가 있고 안쪽줄의 근생엽들은 우상으로 깊이 갈라졌으며 열편들은 흔히 아래로 향하였다. 잎 밑부분은 설형으로 좁아졌고 끝부분은 약간 원형이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거나 거의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털이 성글게 있다. |
꽃 | 꽃은 5월~6월경 두상화서를 이루고 피는데 화서는 줄기끝에 한개씩 붙는다. 총포는 넓은 종형(길이 17~20mm)이다. 총포편은 3줄로 붙는데 바깥줄의 것들은 난형 (길이 5~6mm 너비 3~4mm)이고 끝부분이 뾰족하며 분녹색이고 뒷면 끝부분이 자색이며 부리모양의 돌기가 있고 가장자리에 흰 막질의 넓은띠가 있다. 제일 안쪽줄의 총포편은 피침형(길이 17~20mm 너비 1.5~2mm)이고 엽연에 흰막질의 띠가 있으며 끝부분은 자색이고 조금 무딘모양이 |
열매 | 수과는 연한 갈색이며 밑부분이 좁은 타원형(길이 3.5~4mm)이며 세로로 능각이 있고 능각의 윗부분에는 끝이 뾰족한 돌기가 많으며 6월~7월에 익는다. 열매 끝부분에는 침형으로 길어진 부리(길이 10~12mm)가 있으며 부리끝에 관모가 붙는다. 관모는 백색이고 부드러우며 길이 8~9mm이다. |
줄기 | 줄기 속은 비었고 흰 면모가 성글게 있으며 한포기에서 2~3개 나온다. |
뿌리 | 뿌리는 굵고 곧추뻗는다. |
분포 | 한반도(북부) 일본 중국 러시아 |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학명출전 | Feddes Repert. Sp. Nov. Beih. 12: 515 (1922)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