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Parasenecio hastata subsp. orientalis (Kitam.) H.Koyama |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속명 | 박쥐나물속(Parasenecio) |
이명 | 박쥐나물 큰박쥐나물 |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호생하며 3각형 또는 창모양이고 예두 심장저이며 길이 25~35cm 폭 30~40cm로서 양면 특히 뒷면에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3개로 갈라지며 양쪽 열편은 다시 갈라지기도 하고 엽병은 길이 9~13cm로서 보통 날개가 있다. |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총포는 길이 10-12mm 나비 5mm이고 포편은 5-8개이며 소화는 6-9개이고 화관은 길이 8-9mm이다. |
열매 | 수과는 선형이며 길이 5~8mm 지름 1.5mm로서 종선이 있고 털이 없으며 관모는 길이 7mm 정도로서 백색 또는 칙칙한 백색이다. |
줄기 | 높이 1-2m이고 곧게 자라며 대궁의 속이 비어 있고 녹색이다. 윗부분에서 가지가 퍼지며 가지에 짧은 털이 있다. |
뿌리 | 근경은 단단하며 짧고 넓게 뻗지 않는다. |
분포 | ▶일본 중국 북부(만주) 사할린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
형태 | 다년초. |
유사종 | ▶기본종은 포편이 8개이고 소화가 13-19개이며 엽병 기부가 넓지 않고 잎 뒷면에 털이 보다 많다. |
특징 | 흔히 `박쥐나물`이라고 하며 종류가 여럿 있으나 통틀어서 박쥐나물로 통칭되는 맛있는 고급 산나물이다. 박쥐나물의 세모꼴 모양의 큰잎은 흡사 박쥐가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형상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학명출전 | Flora of Japan (eds.) IIIb: 52 (K.Iwats. & al, 1995)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