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속명 | 민들레속(Taraxacum) |
이명 | 안질방이 |
잎 | 잎은 도피침상 선형이며 길이 6-15cm 나비 1.2-5cm로서 무우잎처럼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6-8상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은 둥글게 배열되며 대개 땅에 누워서 자란다. |
꽃 | 꽃은 4-5월에 피고 잎보다 다소 짧은 화경이 나와서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리며 백색 털로 덮여 있지만 점차 없어지고 바로 꽃 밑에만 밀모가 남는다. 총포는 꽃이 필 때는 길이 12mm이지만 15mm로 자라며 지름 25-27mm이고 외포편은 선상 피침형 또는 간혹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곧추서며 뿔같은 소돌기가 있다. 화관은 황색으로서 가장자리의 것은 길이 15mm 나비 2-2.5mm이고 통부는 길이 5mm내외이며 털이 없다. |
열매 | 5-6월이 되면 꽃이 시든 자리에서 씨앗의 날개가 돋아나 하얗고 둥근 모양으로 부푼다. 수과는 갈색이 돌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mm 나비 1.2-1.5mm로서 윗부분에 뾰족한 돌기가 있고 표면에 6줄의 홈이 있으며 부리는 길이 6-8mm이고 관모는 길이 6mm로서 연한 백색이다. |
줄기 | 원줄기가 없이 잎이 총생하여 옆으로 퍼진다. |
뿌리 | 육질로서 길며 포공영근(浦公英根)이라 한다. |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
형태 | 다년초. |
유사종 | ▶좀민들레 산 민들레 흰민들레 서양민들레 등이 있다. ▶서양민들레는 식용민들레도 귀화식물화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크고 꽃이 가을까지 계속 피는 것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
특징 | 생약의 포공영은 민들레의 꽃과 뿌리를 일컫는 것으로 민들레에는 `이눌린` `팔미틴` `세로친`등 특수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학명출전 | Acta Hort. Berg. 4-2: 14 (1907)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