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경(花莖)은 높이 15-18cm로서 밑부분에서 잎이 호생하고 윗부분에서는 잎같은 포가 호생하며 꽃은 6~7월에 피고 화경 끝에 총상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통형이고 홍자색으로서 끝이 퍼져 5개로 갈라지며 순형이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며 원줄기 화경 꽃받침 및 화관에 선모가 많다.
근생엽은 총생하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 예저로서 표면에 주름이 있고 뒷면은 맥이 튀어나와 그물처럼 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긴 타원형으로 톱니가 있다.
삭과로서 타원형이고 포간(胞間)이 벌어진다.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뿌리는 굵고 옆으로 뻗으며 감색이다. 지황(地黃)이라 하고 생지황을 구증구폭(九蒸九暴)한 것이 숙지황(熟地黃)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에 1개 또는 여러개가 위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0.5-5mm로서 삼각상 피침형이며 화관은 끝이 퍼진 종형이고 지름 4-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자방은 5실이며 암술대는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긴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4-7cm 나비 1.5-4cm로서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청색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삭과는 도란형이고 꽃받침열편이 달려 있으며 포간(胞間)으로 갈라진다.
높이 40-100cm이고 원줄기를 자르면 백색 유액이 나온다.
뿌리가 굵다.
다년초.
▶도라지 : 기본종 ▶겹도라지 (for. duplex MAK.): 꽃이 겹으로 되어 있다. ▶흰겹도라지 (for. leucanthum HARA) : 백색 꽃이 피는 겹도라지.
꽃은 6-7월에 피며 가지끝과 원줄기끝에 3-15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리고 지름 3-4cm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피침형이며 짙은 홍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고 뒤로 강하게 젖혀지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밖으로 나오고 꽃밥은 홍색 또는 적색이다.
잎은 길이 3-14cm로 좁은 선형이고 호생하며 다닥다닥 달린다.
삭과는 곧추서며 원주상 타원형으로서 길이 2-3cm 지름 1.7-2.2cm이고 8-9월에 익는다.
높이 60cm이고 곧추서며 가늘고 짧은 털이 있거나 없다.
인경은 길이 3-5cm로 백색이며 긴 타원형이다.
다년초
▶환경부에서 희귀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17) ▶본 종을 L.pumilum 으로 취급하고 솔나리를 변종으로 취급하는 사람도 있다.
▶솔나리(Lillium cernum KOM.) : 원줄기끝에서 몇 개의 짧은 가지가 갈라져 그 끝에서 연분홍 꽃이 아래를 향해 핀다. ▶흰솔나리(Lillium cernum var. candidum NAKAI) : 꽃잎은 뒤로 젖혀지고 흰색이다. 1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꽃밥은 갈색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7-8mm로서 검은 자주색이고 윗부분의 엽액에 산형으로 달리며 화경(花梗)이 없고 소화경(小花梗)은 길이 3-4mm로서 꽃보다 짧다. 화관(花冠)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고 끝이 둔하며 부화관의 열편은 난상 3각형으로 암술과 수술이 합쳐진 대보다 약간 짧다.
잎은 대생하고 곧추선 부분의 잎은 크며 막질(膜質)로 다소 두껍고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3~11cm, 나비 1~4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다소 심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2~4cm이다.
열매는 골돌로서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4-5cm 지름 5-7mm로서 털이 없으며 종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m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덩굴성으로 곱슬털이 다소 있고 밑부분이 곧추서며 윗부분은 덩굴성으로서 길이 40-100cm이다.
덩굴성 다년초
전체에 누운 털이 있다.
▶덩굴박주가리(C. nipponicum): 전체에 곱슬곱슬한 털이 있으며 잎은 막질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갈색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백색이고 윗부분의 엽액에서 실같은 긴 화경(花莖)이 나와 끝에 1송이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녹색이며 뒷면에 긴 백색 털이 난다. 꽃잎도 5개이며 도피침형으로서 끝이 둥글고 꽃받침보다 길다. 수술은 10개 화사는 실모양이고 꽃밥은 흑자색이며 암술대 3개이다. 줄기 하부의 엽액에 폐쇄화가 4송이 달린다.
잎은 대생하고 주걱형 넓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며 양면에 털이 없으나 밑부분은 갑자기 또는 천천히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양쪽 가장자리에 백색 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이다.
높이가 15cm에 달하고 줄기는 연하며 꽃이 핀 후 가지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덩굴처럼 엉긴다. 덩굴 끝은 실처럼 가늘어져서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린다
뿌리는 굵은 방추형이다.
다년생 초본
▶참개별꽃(P. coreana Ohwi): 잎은 선형 좁은 피침형 길이 1.5-2.5㎝ 원줄기와 함께 털이 없으며 끝이 뾰족하다. ▶개별꽃(P. heterophylla Pax.): 줄기는 1-2개씩 나오고 흰 털이 나 있다. 위쪽 잎은 크며 피침형 길이 10-40㎜ 아래쪽 잎은 좁아져서 잎자루 모양이다. ▶긴개별꽃(P. japonica Pax.): 위쪽 잎은 난형 긴 난형이고 아래쪽 잎은 선형 피침형 길이 1.5-3㎝ 양 면에
국가식물표준목록
Nat. Pflanzenfam. ed. 2. 16c: 318 (Engl. & Prantl, 1934)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지름 2.5cm로서 연한 홍색이고 1개씩 달리며 짧은 화병이 있고 꽃받침열편은 긴 난형이며 둔두로서 털이 없고 겉은 적갈색이며 길이 5mm이다. 꽃잎은 난형 또는 원형이고 길이 13-15mm로서 원두 또는 미요두이며 수술은 길이 8-12mm이고 수술대는 백색이며 털이 없다. 암술은 길이 10mm이고 암술머리가 둥글며 암술대와 더불어 적색이고 암술대 기부 및 자방에 융모가 있다.
잎은 호생하고 좁은 난상 피침형이며 긴 점첨두 넓은 예저이고 길이 6-14cm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어린 잎에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엽병에 간혹 밀선이 있다.
핵과는 둥글며 지름 3cm로서 잔털이 있고 7월에 황색으로 성숙한다.
소지는 회갈색이고 약간 윤채가 있으며 지름 2-4mm이고 피목은 가늘며 길고 둥글다.
낙엽 활엽 소교목
▶겹홍도(P. persica for. rubroplena) : 중부 지방 도홍색의 겹꽃으로 관상용으로 이용한다. ▶겹백도(P. p. for. alboplena) : 중부지방 백색의 겹꽃으로 관상용.
꽃은 4-5월에 피며 대에 털이 있고 가지끝에 2~3송이가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색털이 있으며 열편은 좁은 난형이고 길이 4-8mm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며 화관은 연한 홍자색이고 지름 5-6cm로서 깔때기모양이며 4개로 갈라지고 상부의 꽃잎 내측에는 진홍색의 반점이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수술대는 털이 없거나 기부에 복모가 있다. 수술밥은 자색 암술은 길게 쑥 나와 있다. 화경 및 꽃받침에 끈적끈적한 액이 있다.
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고 좁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3-8cm 폭 1-3cm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표면에 털이 드문드문 있고 뒷면 특히 맥 위에 갈색털이 밀생하며 엽병은 길이 1-5mm로서 갈색털이 많다. 어린 순의 인편에는 끈끈한 점액이 있다. 엽병과 잎가에는 양면에 모두 갈색의 잔털이 있다.
삭과는 난형이고 길이 8-10mm로 겉에는 긴 털이 있으며 9월에 성숙한다.
높이 1-2m이고 수피는 회황갈색이 나며 소지는 흰색의 털로 덮여 있다가 다음해에는 없어지고 화경과 더불어 점성이 있다.
천근성으로 세근이 많다.
낙엽활엽관목 수형: 다간형에 수관은 낙화산형이다.
맹아력이 강하다.
▶겹산철쭉(R. yedoense Maxim. et Regel 혹은 R. matsumurai Kom.): 꽃은 만첩인데 열매를 맺지 않는다. 경기도 이북에 자란다. ▶흰산철쭉(for. albiflora Chang): 순백색의 꽃이 핀다. 전남 불갑산에 자란다.
국가식물표준목록
A Revision of the Genus Rhododendron in Japan, Taiwan, Korea and Sakhalin 44 (T.Yamaz., 1996)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같이 피며 연홍색이고 2-4개가 산형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1.7-2.2cm 정도로서 털이 없거나 있고 꽃받침통은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꽃받침잎은 타원형으로 잔톱니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꽃잎은 연한 홍색으로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수술이 꽃잎보다 짧으며 암술대에 잔털이 있고 자방에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며 난형 난상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급한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7cm 폭 2-2.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깊은 복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3-5mm이다.
열매는 핵과로서 구형이고 털이 없으며 7-8월에 적색으로 익고 맛이 약간 떫다. 종자는 둥글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mm정도이다.
줄기는 회갈색이며 회색의 띠를 갖는다.
낙엽활엽소관목.
(P. nakaii Level.)
▶털이스라지(for.rufinervis Nak.): 엽맥에 털이 많다. ▶산이스라지(P. ishidoyana Nakai) : 소화경에 털이 없고 길이 1cm정도이며 꽃받침잎에 선상의 톱니가 있고 털이 없으며 꽃잎은 길이 1㎝이고 난형이며 백색 또는 담홍색인데 열매는 길이 1.7㎝ 직경 1.3㎝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이 둥글며 8월에 황홍색 또는 홍색으로 익는다. 자방에 갈색털이 밀생한다. ▶옥매(P. g. for. albiplena) : 경기도
화경(花莖)은 높이 6-12cm에서 20-25cm로 자란다. 꽃은 5-6월에 피고 1개의 화경이 나와서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리며 포는 선상피침형이고 길이 4-7.5cm 나비 4-6mm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길이 10-17mm로 되며 밑부분이 화경을 얼싸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이 필 때의 총포는 길이 23-26mm 나비 9-16mm이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난형이며 길이 7-8mm 나비 4-6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백색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퍼지며 총상 피침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으로 흐르고 길이 12-35cm 나비 5-30mm로서 밀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수과는 선형이며 길이 13mm 지름 1mm 정도로서 백색이고 관모는 길이 18mm정도이며 연한 갈색이다.
꽃은 5~9월에 피고 보통 2개씩 달리며 연한 홍색이고 보통 줄기 끝에 2개씩 달리며 포는 좁고 긴 난형으로 길이 1~2.5cm이다. 꽃받침잎은 길이 8~10mm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3맥이 있고 끝이 약간 둔하며 윗부분의 것은 곧추서며 옆의 것은 퍼지고 꽃잎은 피침형으로 꽃받침보다 약간 짧다. 순판은 넓은 난형이며 길이 약 1cm로서 중앙 윗부분의 양쪽이 들어가고 희미하게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으나 톱니가 있다. 거(距)는 선형으로 길이 7~10mm이며 끝이 가늘고 뒤로 젖혀진다. 꽃술대는 타원형이며 편평하다. 꽃가루덩이는 흰색이다.
잎은 1개이며 뿌리에서 나고 자루가 있다. 잎몸은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4~7cm 폭 2.5~5cm이다.
꽃은 6월에 피고 백색이며 줄기 상부에서 길이 3-5cm의 총상화서로 핀다. 소화경은 길이 10-15mm 지름 1mm정도로서 성숙기에 암적색으로 된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도란형이고 길이 3mm정도로서 꽃이 피면 곧 떨어진다. 꽃잎은 6개이며 넓은 난형이고 길이 2-2.5mm이다. 수술은 많고 길이 4mm정도이며 수술대는 실모양이고 암술은 1개이다.
경생옆은 2-3개이며 엽병이 길고 2-4회 3출복엽이며 최종소엽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결각과 톱니가 있고 때로는 3개로 갈라지며 길이 3-7cm 폭 2-5cm로서 맥에 잔털이 있다.
장과는 둥글며 지름 6mm이고 7-8월에 익어 흑자색으로 된다. 소과경은 지름 0.6mm정도이다.
줄기는 높이 40-70cm이며 기부에 몇개의 갈색 인편이 있고 털은 없으나 다만 윗부분 화서 부근에 짧은 권모(卷毛)가 있고 갈라지지 않고 2-3개의 큰 잎이 있다.
꽃은 8~10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통꽃만인 두상화는 보통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길이 15mm 지름 20-25mm이다. 총포는 지름 15~20mm이고 총포편은 6~7줄로 비늘같이 배열되며 외포편이 가장 짧고 점차 길어지며 끝에 짧은 가시가 있고 뒷면에 점질과 더불어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통상화관은 길이 약 17mm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중앙부의 잎은 선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길이 6~20cm 폭 5~10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엽병으로 되거나 엽병이 거의 없고 원줄기를 감싸지도 않으며 밑으로 흐르지도 않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며 길이 1-2mm의 가시가 있다.
수과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며 길이 3.5mm정도이고 관모는 길이 12mm정도로서 오갈색(汚褐色)이다.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3-4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려서 밑을 향하고 총포는 난형이며 길이 2cm 지름 2.5-3.5cm로서 다소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포편은 8줄로 배열되고 외편이 가장 짧으며 중편은 선형으로서 끝이 가시처럼 되고 뒤로 젖혀지며 중륵에 검은빛이 돈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2-22mm이며 관모는 길이 18-22mm로서 흑갈색이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타원형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길이 40-50cm 나비 20cm로서 양면에 털이 있고 밑부분이 엽병의 날개로 되며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에 결각상의 톱니와 가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피침상 타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고 길이 15-25cm로서 밑부분이 원줄기에 직접 달리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가지가 있다.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mm로서 4개의 능선이 있고 백색 관모(冠毛)가 있다.
높이 1-2m이고 종선이 있으며 원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두화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지름 3~3.5cm로서 잎같은 포에 싸여 있고 총포는 길이 2.2-3cm 나비 3.4-4.5cm이다. 포편은 7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침형으로서 퍼지고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중편은 내편보다 길고 넓으며 중앙부의 나비가 2-3mm로서 맥이 많다. 통상화만 있으며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8~19mm이며 모두가 양성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형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어지며 밑부분이 좁고 규칙적인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편은 인접해 있으며 옆으로 또는 뒤로 젖혀지고 흔히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딱딱하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수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3.5mm 나비 1.5mm로서 윗부분이 황색이며 다른 부분은 자주색이고 관모는 길이 13-16mm로서 갈색이다.
높이가 50cm에 달하며 곧게 서고 윗부분이 2-3개로 갈라지며 잎과 가지가 많이 달리고 줄과 털이 있다.
5-6월에 원줄기 윗부분의 엽액에서 길이 5-10cm의 화경이 나와 백색 또는 연한 자줏빛이 도는 꽃이 옆을 향해 달리며 화경 윗부분에 선상의 포가 달리고 백색꽃의 순판에 자주색 줄이 있다. 꽃받침잎은 녹색이며 길이 7-10mm이고 부속체는 반원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끝이 오그라든다. 꽃잎은 길이 8-10mm로서 측판 안쪽에 털이 있으며 거(距)는 길이 3-4mm이다.
잎은 호생하며 삼각상 심장형이고 엽병이 있으며 길이 2.5-4cm 폭 3-5cm로서 윗부분의 잎은 폭이 길이보다 짧고 끝이 점차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탁엽은 긴 타원형으로서 빗살같은 톱니가 있다.
높이 20-40cm이며 전체에 털이 약간 있고 보통 여러 대가 한군데에서 나온다. 꽃잎 안쪽을 제외한 전체에 털이 없다.
화경은 길이 5-8cm로서 잎과 길이가 다소 비슷하고 꽃은 4-5월에 피며 흰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7mm이며 부속체는 난상 삼각형으로서 끝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꽃잎은 길이 12-15mm이며 측판에 털이 없고 거(距)는 짧은 원통형이며 길이 6-8mm이다.
잎은 2-3장이 밑부분에 밀생하며 난상 심장형이고 녹색이며 밑부분이 깊은 심장저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와 폭이 각 2-3cm이지만 과시(果時)에는 5cm에 달하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 또는 뒷면에 털이 있거나 없다. 엽병은 길이 3-10cm이고 윗부분에 털이 있거나 없다.
5월에 높이 1-10cm인 몇 개의 화경이 잎다발속에서 나와 끝에 자주색꽃이 1개씩 달린다. 포는 선형이며 길이 4-10mm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3-7mm로서 끝이 뾰족하다. 부속체는 반원형 또는 사각형 비슷하고 원두 또는 요두이며 꽃잎은 자줏빛이 돈다.
잎은 뿌리에서 나오고 길이와 폭이 각 2.5-5cm로서 난형 넓은 타원형 또는 심원형이며 둔두 또는 원두이고 심장저이며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지만 엽맥을 따라 백색무늬가 있고 뒷면은 자주색이다. 엽병은 길이 2-5cm이지만 긴 것은 길이 15cm이상인 것도 있다.
삭과는 난상 타원형으로 3개로 갈라지며 잔털이 있다.
원줄기가 없다.
다년생 초본
종명 varoegata는 반문(斑紋)이 있다는 뜻으로 잎에 무늬가 있음에서 유래하였다.
▶청알록제비꽃(V. variegata var. ircutiana Regel)은 잎 뒷면에 자주빛이 돌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