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남자색이거나 백색이고 화경(花莖)은 1개가 나오며 높이 10-30c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잎은 꽃같고 10~13개이며 길이 2cm 정도로서 선상 타원형이고 꽃밥은 타원형이다. 맑게 개인 낮에만 피고 흐린 날은 오무린다. 꽃잎은 없다.
근생엽은 2회3출 우상복엽이고 엽병이 길며 총포엽은 3개이고 다시 3개로 갈라지며 길이 3-10cm 폭 3-9cm로서 엽병이 있다. 소엽은 2-3개로 깊게 또는 완전히 갈라지고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결각이 있으며 길이 2-6cm 폭 1-4cm로서 대개 소엽병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암수딴그루로 꽃은 연한 황록색이고 잎겨드랑에 이삭화서로 달린다. 수꽃 화서는 수상화서이며 엽액에서 나오고 수화피는 가지가 갈라지고 웅화피는 갈라지지 않는다. 암꽃화서는 갈라지지 않는다. 화피는 6장 수술은 6개이다.
호생 엽병이 길고 마르면 흑갈색으로 되며 잎몸은 깊게 5-7갈래이고 길이와 폭은 각각 5-12㎝로서 밑부분이 보통 심장저이다. 국화잎과 비슷하다. 밑은 대개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중앙열편은 삼각상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게 뾰족해지거나 낮은 원두이며 가장자리가 침상이다.
삭과로 3개의 날개가 있고 2cm정도로서 밑으로 처진 화서에 달려 위를 향하며 종자는 둘레에 날개가 있다.
털이 없고 굵은 뿌리가 옆을 뻗는다.
덩굴성 다년초.
전체에 털이 없다.
▶단풍마(Discorea quinqueloba Thunb.) : 단풍마는 잎이 단풍처럼 갈라져 있다. 뿌리를 마와 같이 식용으로 한다. 또 봄철에 돋는 어린 싹은 나물로 하면 맛이 좋다. ▶참마(D. japonica): 잎은 긴 타원상 좁은 삼각형 심장형 털이 없다. ▶국화마(D. septemloba):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은 흑갈색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며 국화 잎과 비슷하다. ▶각시마(D. tenuipes): 잎은 도꼬로마와 닮았으나
잎은 드문드문 나며 엽신보다 짧은 엽병이 있다.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3-8cm로서 3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엽병은 좁은 날개가 있으며 거의 편평하다. 열편은 난형 또는 난상피침형이고 호생하며 열편은 선형으로서 둔두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짙은 녹색이고 투명한 엽육내에는 많은 가짜 맥이 있다.
포자낭군은 짧은 측열편 끝에 달리며 포막은 종형으로서 2개로 갈라진다. 포자낭탁은 길게 뻗어서 포막 밖으로 나온다.
잎은 총생하고 있으며 털이 없다. 약간 푸른빛이 도는 밝은녹색이다. 엽병은 길이 30-50cm정도로 자갈색을 띠고 있으며 어느정도 윗부분까지 인편이 달린다. 엽신은 2개씩 한쪽으로 갈라져서 8-12개의 우편으로 되며 전체가 부채처럼 퍼진다.우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소우편은 반월상 긴 타원형이며 윗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밑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짧은 대가 있다.
포자낭군은 소엽의 윗가장자리를 따라 달리고 잎가장자리가 젖혀져서 포막처럼 된다.
근경은 짧게 옆으로 뻗고 갈색 인편으로 덮인다.
다년초 하록성 다년생 양치류.
유사종: 섬공작고사리(A. monochlamys Eaton)는 제주도의 한라산 숲 속에 생육하며 상록성 양치류. 본종에 비해 잎이 1회 우상으로 분열하고 엽축 끝부분에 무성아가 생기는 것을 암공작고사리라하며 북부 국경지대에 난다 잎모양이 공작 꼬리같기때문에 '공작고사리'라고 한다. 속명은 희랍어 a(否定)와 diantos(젖다)의 합성어로 '잎이 비에 젖지 않는다.'라는 뜻이다.
상록 잎은 총생하고 엽병은 길이1.5-10cm로서 흑갈색으로 둥글지만 표면에 2줄이 있다. 우축과 더불어 흑갈색 인편이 드문드문 달린다. 엽신은 작은 것은 긴 타원상 난형이며 큰 것은 넓은 선형이다. 곧추서며 길이 7-30cm 폭 18-30mm로서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우편은 대가 없고 7-15쌍이며 삼각상 난형 또는 긴타원상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털이 없고 마르면 갈색을 띠며 중륵이 뒷면으로 튀어나오고 흑갈색으로 된다.
포자낭군은 가장자리의 소맥 끝에 달리며 뒤로 젖혀진 열편으로 덮이고 2-3개가 합쳐지기도 하며 적갈색이다.
근경은 짧고 비스듬히 서며 마른 잎과 인편으로 덮인다.
상록성 다년초
본종은 부싯깃고사리에 비해 잎뒤에 백색 또는 백황색의 분상물이 없고 중축에 두줄이 있는 점이 다르다.
국가식물표준목록
J. Bot. 1879:304 (187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