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 Laetiporus sulphureus (Bull.) Murr. > Laetiporus versisporus (Lloyd) Imaz.
- 잔나비버섯과(Fomitopsidaceae)
- 덕다리버섯속(Laetiporus)
-
거대형. 부채꼴∼반원형, 공통의 밑동에서 다수의 갓이 나와 중첩된다. 선황색∼담홍색, 후에 탁한 흰색. 하면은 선황색. 구미의 것은 색깔에 차이가 있어 보인다.
후막덕다리버섯과 동일종이라고 하였지만, 실제 채집을 해 보면 다른 버섯 종으로 보임
후막덕다리버섯(Laetiporus versisporus (Lloyd) Imaz.)
대형∼거대형. 수간에 다수 혹 모양 발생. 평평한 반원형, 부정형의 여러 개 덩어리 모양을 만든다. 선황색∼탁한 백색. 살은 흰색이다가 암갈색∼가루모양. 변색덕다리버섯이라고도 함. 이 버섯과 덕다리버섯이 동일종이라고 하므로 검토 필요하며, 형태가 너무 달라서 별도 개채를 하였다.
자실체는 처음에 기주의 수간 위에 반구상의 혹 모양으로 발생하지만, 점차 혹모양의 덩어리가 증가되면서 생장을 한다. 흔히 여러 개의 평평한 반원형∼부정형 덩어리 모양 또는 부정형의 선반 모양 등의 갓이 발달하여 전체는 10∼20cm 정도에 달하는 덩어리 모양이 된다. 개개의 갓의 폭은 5∼15cm, 두께는 1∼4cm 정도. 표면은 선황색∼탁한 백색, 점차 탁한 갈색으로 변한다. 살은 어릴 때는 약간 탄력이 있지만, 점차 단단해 지면서, 부러지거나 깨지기 쉽다. 내부의 살은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점차 중심부에서 암갈색이 되고 가루 모양으로 변하게 된다. 그 가루는 후막포자인데 살이 가늘게 조각조각 갈라지는 것이다.
포자는 후막포자가 주로 생성된다. 후막포자는 난형∼아구형. 평활, 황갈색, 5∼10×8∼10㎛. 갓의 하면은 갓과 같이 평활하기도 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얕은 관공이 형성되고 정상적인 포자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
발생은 각종 활엽수의 썩은 부위나 죽은 나무에 나며 갈색부후를 일으킨다. 분포는 한국, 일본. -
자실체는 부채꼴∼반원형의 대형으로 공통의 밑동에서 다수의 갓이 퍼져 나와 중첩된다. 때로는 1 덩어리에 30cm 이상의 크기로 퍼지기도 한다. 개개의 갓은 폭 20cm 내외까지 달하며 두께는 2∼3cm 정도, 방사상으로 많은 골 모양이 된다. 색은 전형적인 선황색을 띠거나, 부분적으로 담홍색을 띠는 것도 있다. 후에 퇴색해서 탁한 흰색∼탁한 갈색이 된다. 살은 황색이나 건조되면 흰색이 된다. 처음에는 물기가 많고 유연하나 노숙되면 부서지기 쉽고, 말리면 부서지거나 분쇄되기 쉽다. 비린내 비슷한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다. 식용하지 않는다.
하면의 관공은 선황색∼황색. 관공은 길이 5mm 정도. 구멍은 원형이고 2∼4개/mm. - 포자는 아구형∼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거의 방울이 들어있다. 5∼6.5×3.5∼4.5㎛.
- 선황색∼담홍색,
- 연중내내
- 연중내내 각종 활엽수의 썩은 부위, 죽은 나무나 가지, 그루터기 등에 난다. 재목의 갈색부후를 일으킨다.
- 전 세계적.
- 비식용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사진출처 : 자체
도감등록수 2469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