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Crataegus komarovii Sarg. | 
|---|---|
| 과명 | 장미과(Rosaceae) | 
| 속명 | 산사나무속(Crataegus) | 
| 이명 | 왕이노리나무 털이노리나무 | 
| 잎 | 잎은 호생하며 3-5개의 장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첨두이고 심장저 또는 절저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맥위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 
| 꽃 | 산방화서는 정생하고 털이 있으며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꽃받침잎은 뒤로 젖혀지고 털이 있으며 꽃잎은 도란형이다. 암술대는 4개이다. | 
| 열매 | 열매는 이과(梨果)로 구형이고 9-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피목이 없다. | 
| 줄기 | 높이가 5m에 달하고 어린가지에 털이 있다. | 
| 분포 | ▶우리 나라에만 분포한다. 경북 강원(설악산) 평북 및 함경도 등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 
|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 
| 유사종 | ▶이노리나무에 비해서 형질이 큰 것을 왕이노리나무라고 한다. ▶ 털이 많은 것을 털이노리나무(var.pilosa Nakai)라고 하며 잎의 양면 과경과 잎자루에 털이 많다. 함경도에 자란다. | 
| 특징 | ▶한국 특산식물이다. ▶잎에 털이 없는 것과 있는 것을 구별하고 또 잎의 크기에 따라 변종을 인정하기도 하나 뚜렷한 차이가 없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Pl. Wilson. 1 : 183 (1912) |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