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Artemisia selengensis f. subintegra (Pamp.) Kitag. |
|---|---|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 속명 | 쑥속(Artemisia) |
| 이명 | 가는잎물쑥 |
| 잎 |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며 길이 2.5-5cm이다. 표면에 털이 없으며 밑부분은 흰빛이 돌고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가면서 잎이 선상 피침형으로 되고 윗부분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물쑥과 달리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 |
| 꽃 | 꽃은 8-9월에 연한 황갈색으로 피며 길이 3mm 지름 2-2.5mm로서 종형이고 원줄기 끝에 엽액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전체가 좁은 원추화서로 된다. 총포는 부분적으로 거미줄같은 털이 덮여 있고 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난형 둔두로서 길이 1.2mm이고 중편은 넓은 난형 외편은 긴 타원형이다. |
| 열매 | 수과는 타원형으로 갈색이며 길이 1.5mm정도이고 9-10월에 익는다. |
| 줄기 | 높이가 120cm에 달한다. |
|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
|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
| 형태 | 다년초 |
| 유사종 | ▶물쑥 : 기본종 |
| 특징 | ▶물쑥과 달리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eolin. Fl. Manshur. 622 (Kitag., 1979) |
|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